$\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3년 8월 6일 한반도에서 발달한 다세포(Multicell) 대류계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Multicell Convective System that Occurred on 6 August 2013 over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6 no.2, 2016년, pp.321 - 336  

윤지현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민기홍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ages caused by torrential rain occur every year in Korea and summer time convection can cause strong thunderstorms to develop which bring dangerous weather such as torrential rain, gusts, and flash flooding. On 6 August 2013 a sudden torrential rain concentrated over the inland of Southern Kore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규모 대류계에 동반되는 집중호우는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중규모 대류계에 동반되는 집중호우는 그 시공간적 규모가 종관 관측 규모보다 작기 때문에 발생 지점과 시간을 예측하기가 곤란하다(Kim and Lee, 2006). 한반도에 집중호우를 야기하는 유리한 조건들로는 강한 남서 하층 제트(Low Level Jet, LLJ)에 동반된 온난 이류, 상층 골에 동반된 한랭이류, 상층제트에 의한 강한 경압성 등이 있다(Lee et al.
본 연구에서는 MERRA 자료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25o)로 다세포 대류계의 발달에 중요한 돌풍 전선 및 찬 공기풀(cold pool)의 형성 등을 분석하는 데는 해상도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재분석 자료로는 분석이 어려운 현상들을 미국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NCAR)에서 개발한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 Skamarock et al., 2005) v3.51 모델 시뮬레이션 결과를 추가하여 더욱 상세히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모델 도메인 영역과 물리 과정에 대한 내용은 3장에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뇌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여름철에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대기 중의 적운 대류 현상은 뇌우를 발달하게 하는 등 집중호우, 순간 돌풍과 같은 악기상의 원인을 제공한다. 강풍과 폭우를 동반하는 뇌우는 한 시간 이내에 발달하여 소멸하는 단세포 뇌우(singlecell storm)와 여러 단세포 뇌우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다세포 뇌우(multicell storm), 수 시간 동안 유지되며 강풍과 해일 및 토네이도를 발생시키는 거대세포 뇌우(supercell storm)로 분류된다(Markowski and Richardson, 2010). 이러한 단세포 대류계, 다세포 대류계 및 거대세포 대류계는 연직 바람 시어(vertical wind shear)의 크기에 따라서 구분되기도 한다(Weisman and Klemp, 1984; Fovell and Tan,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dburakhimov, B. F., 2005: The calculation of the frontogenetic function. ROMAI J., 1, 1-2. 

  2. Fovell, R. G., and P.-H. Tan, 1998: The temporal behavior of a numerically simulated multicell-type storms, Part I: The convective cell life cycle and cell regeneration. Mon. Wea. Rev., 126, 551-577. 

  3. Holton, J. R., 2004: An Introduction to Dynamic Meteorology. 4th ed. Elsevier, 576 pp. 

  4. Kim, H. W., and D. K. Lee, 2006: An observational study of mesoscale convection system with heavy rainfall over the Korea Peninsula. Wea. Forecasting, 21, 125-148. 

  5. Kim, H. W., and D. K. Lee, 2008: An analysis of mesoscale vorticity of internal of convective storm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Proceedings of the Spring Meeting of KMS, 34-35. 

  6. Lee, D. K., H. R. Kim, and S. Y. Hong, 1998: Heavy rainfall over Korea during 1980-1990. Korean J. Atmos. Sci., 32-50. 

  7. Markowski, P., and Y. Richardson, 2010: Mesoscale Meteorology in Mid-latitudes. WILEY Press, 430 pp. 

  8. Martin, J. E., 2006: Mid-latitude Atmospheric Dynamics: A First Course. WILEY Press, 336 pp. 

  9. Nam, K. Y., Y. H. Kim, K. I. Kim, and J. C. Nam, 2005: Study on the multi-cell storm structure using dual doppler radars observations. Asia-Pac. J. Atmos. Sci., 41, 967-981. 

  10. Ogura, Y., and M. T. Liou, 1980: The structure of a midlatitude squall line: A case study. J. Atmos. Sci., 37, 553-567. 

  11. Rienecker, M. M., and Coauthors, 2011: MERRA: NASA's Modern-era retrospective analysis for research and applications. J. Climate, 24, 3624-3648. 

  12. Rotunno, R., J. B. Klemp, and M. L. Weisman, 1988: A theory for strong, long-lived squall lines. J. Atmos. Sci., 45, 463-485. 

  13. Skamarock, W. C., J. B. Klemp, J. Dudhia, D. O. Gill, D. M. Barker, W. Wang, and J. G. Powers, 2005: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2. NCAR Tech Notes-468+STR, 88 pp. 

  14. Smull, B. F., and R. A. Houze, Jr., 1985: A mid-latitude squall line with a trailing region of stratiform rain: Radar and satellite observations. Mon. Wea. Rev., 113, 117-133. 

  15. Song, I. S., and H. Y. Chun, 1998: The role of gravity wave to the multi-cell storm. Proceedings of the Meeting of KMS, 146-149. 

  16. Song, I. S., H. Y. Chun, S. M. Lee, and T. Y. Lee, 2000: A numerical study on physical processes related to periodic cell regeneration in multicell storm. Asia-Pac. J. Atmos. Sci., 36, 51-64. 

  17. Sun, J., and T. Y. Lee, 2002: A numerical study of an intense quasi-stationary convection band over the Korean Peninsula. J. Japan Meteor. Soc., 80, 1221-1245. 

  18. Thorpe, A. J., M. J. Miller, and M. W. Moncrieff, 1982: Two-dimensional convection in non-constant shear: A model of mid-latitude squall lines. Quart. J. Roy. Meteor. Soc., 108, 739-762. 

  19. Weisman, M. L., and J. B. Klemp, 1984: The structure and classification of numerically simulated convective storms in directionally varying wind shear. Mon. Wea. Rev., 112, 2479-24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