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풍혈지의 관속식물상과 보전관리 방안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6 no.2, 2016년, pp.213 - 246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정재민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웅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박재홍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풍혈지는 여름철에 너덜지대 사면의 암괴 틈에서 찬 공기가 스며 나오며, 또한 결빙현상을 보이는 국소적 저온환경을 형성하는 지역이다. 풍혈지의 국소적인 저온환경은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의 잔존집단이 온대 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15개소의 주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위협요인 등의 조사를 통하여 풍혈지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5개소의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 조사결과, 풍혈지의 관속식물은 109과 323속 531종 7아종 47변종 1품종 1교잡종, 총 58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멸종우려 식물이 8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26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IV-V등급 식물이 31분류군이었다. 기후온난화에 취약한 북방계 식물이 32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한반도내 식물의 수직적 분포 상에서, 주로 아고산대에서 발견되는 애기가물고사리(Woodsia hancockii), 월귤(Vaccinium vitis-idaea),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토끼고사리(Gymnocarpium dryopteris), 한들고사리(Cystopteris fragilis), 흰인가목(Rosa koreana) 등이 해발고도 100-600 m의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풍혈지는 인위적인 교란과 훼손행위에 대해 어떠한 보호조치 없기 때문에 풍혈지의 주요 식물 종들이 지속적으로 소실되어 가고 있다. 풍혈지에 분포하는 생물종 파악을 위해 모든 분류군을 포함한 생물다양성 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그리고 풍혈지의 안정적인 관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해 국가차원의 보존계획 수립과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 방안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gific talus slopes tend to occur on steep north-facing slopes with bedrock that retains ice and emits cold air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Algific talus slopes provide a suitable microclimate for disjunct or relict populations of northern plant species at low altitude habitats in temperate z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의 주요 풍혈지 15개소에 대한 식물상적조사를 통하여 종조성 특징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밝히고 풍혈지의 체계적인 보전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풍혈지의 식물상적 현황 조사를 통하여 풍혈지가 지닌 식물학지리적 가치를 밝히고 국내 풍혈지의 보전의 중요성과 시급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풍혈지는 인위적인 훼손행위에 어떠한 보호조치 없이 한반도의식생 변화의 과거와 미래를 이해할 수 있는 생물학적 구성요소들이 지속적으로 소실되어 가고 있으며, 기후 온난화에 의해 그 속도가 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혈지란 무엇인가? 풍혈지는 여름철에 너덜지대 사면의 암괴 틈에서 찬 공기가 스며 나오며, 또한 결빙현상을 보이는 국소적 저온환경을 형성하는 지역이다. 풍혈지의 국소적인 저온환경은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의 잔존집단이 온대 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풍혈지의 국소적인 저온환경은 식물 생태계에서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풍혈지는 여름철에 너덜지대 사면의 암괴 틈에서 찬 공기가 스며 나오며, 또한 결빙현상을 보이는 국소적 저온환경을 형성하는 지역이다. 풍혈지의 국소적인 저온환경은 빙하기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의 잔존집단이 온대 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15개소의 주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위협요인 등의 조사를 통하여 풍혈지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5개소의 주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위협요인 등의 조사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15개소의 주요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 위협요인 등의 조사를 통하여 풍혈지 식생에 대한 안정적인 보전 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15개소의 풍혈지에 대한 식물상 조사결과, 풍혈지의 관속식물은 109과 323속 531종 7아종 47변종 1품종 1교잡종, 총 58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에서 멸종우려 식물이 8분류군, 한반도 고유종은 26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인 IV-V등급 식물이 31분류군이었다. 기후온난화에 취약한 북방계 식물이 32분류군으로 조사되었고 특히, 한반도내 식물의 수직적 분포 상에서, 주로 아고산대에서 발견되는 애기가물고사리(Woodsia hancockii), 월귤(Vaccinium vitis-idaea), 좀다람쥐꼬리(Huperzia selago), 토끼고사리(Gymnocarpium dryopteris), 한들고사리(Cystopteris fragilis), 흰인가목(Rosa koreana) 등이 해발고도 100-600 m의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풍혈지는 인위적인 교란과 훼손행위에 대해 어떠한 보호조치 없기 때문에 풍혈지의 주요 식물 종들이 지속적으로 소실되어 가고 있다. 풍혈지에 분포하는 생물종 파악을 위해 모든 분류군을 포함한 생물다양성 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drews, K. M. 2003. A Geological Geophysical Investigation of Ice Mountain Algific Talus, Hampshire County, West Virginia. M.S. Dissertation. West Virginia University, Morgantown. 

  2.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3. Henry, C. 2003. Refuge for an Ice age survivor. Endangered Species Bulletin 28: 24-26. 

  4. Iokawa, Y. and S. Ishizawa. 2003. Vascular plants of wind-hole areas in Japan (1). Journal of Phytogeography and Taxonomy 51: 13-26. (in Japanese) 

  5. Iwatsuki, K. 1992. Fern and Fern Allies of Japan. Heibonsha, Tokyo. (in Japanese) 

  6. Jeon, B. I. 2002. On study of summertime ice formation in the ice valley at Unchiri, Gangwon-Province.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 11: 857-863. (in Korean) 

  7. Jeon, Y. G. 1998. Geomorphic features of Bing-gye valley area (Kyongbuk Province, South Korea): mainly about talu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4: 49-63. (in Korean) 

  8. Jeon, Y. G. 2001. A geomorph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7: 97-106. (in Korean) 

  9. Kil, J., Y. Kim, H. Kim, D. Lee, C. Lee, S. Hwang, D. Kim and M. Kim. 2011. Monitoring of Invasive Alien Species Designa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Act (V).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10. Kim, J. S., J. M. Chung, B. C. Lee and J. H. Park. 2006.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36: 61-90. (in Korean) 

  11. Kim, J. S. and J. H. Yun. 2014.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lgific talu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 357-368. (in Korean) 

  12. Kim, J. Y. 2011. Algific Site's Value as Geosites and Their Conservation Plan. M.S.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in Korean) 

  13. Kim, Y. S., K. H. Kang, J. K. Bae and J. K. Kim. 1998.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Na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 407-414. (in Korean) 

  14. Kitagawa, M. 1972. Notulae fractae ob flora Asiae orientalis (29). Journal of Japanese Botany 47: 355-357. (in Japanese) 

  15. Kong, W. S. 2005. Selection of vulnerable indicator plants by global warming.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41: 263-273. (in Korean) 

  16. Kong, W. S. and J. H. Lim. 2008. Disjunctive distribution of Vaccinium vitis-idaea and thermal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 495-510. (in Korean) 

  17. Kong, W. S., K. Yoon, I. Kim, Y. Lee and S. Oh. 2012. Spatial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governance strategy.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 431-433. (in Korean) 

  18. Lee, B. Y., G. H. Nam, J. Y. Lee, C. H. Park, C. E. Lim, M. H. Kim, S. J. Lee, T. K. Roh, J. A. Lim, J. E. Han and J. 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19.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0. Lee, W. 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21.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Angiosperm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22. Morard, S., R. Delaloye. and C. Lambiel. 2010. Pluriannual thermal behaviour of low elevation cold talus slopes in western Switzerland. Geographica Helvetica 65: 124-134.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Econature, Seoul.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Endemic Species of Korea: Planta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173-226. (in Korean) 

  26. Nekola, J. C. 1999. Paleorefugia and neorefugia: the influence of colonization history on community pattern and process. Ecology 80: 2459-2473. 

  27. Oh, B. U., D. G. Jo, S. C. Ko, B. H. Choi, W. K. Paik, G. Y. Chung, Y. M. Lee and C. G. Jang. 2010. 300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in Korean) 

  28. Oh, B. U., Y. Y. Kim, S. J. Ji and J. G. Kim. 2010. Corydalis alata: A new species of Corydalis sect. Corydalis (Fumariaceae) from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0: 79-83. 

  29. Oh, S. H., Y. M. Lee and W. S. Kong. 2013. Air Hole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 (in Korean) 

  30.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31. Ruzicka, V., M. Zacharda, L. Nemcov, P. Smilauer and J. C. Nekola. 2012. Periglacial microclimate in low-altitude scree slopes supports relict biodiversity. Journal of Natural History 46: 2145-2157. 

  32. Sato, K., G. Kudo and S. Uemura. 1993. Cool-spots site vegetation in Izariiri-Heide, northern Japan.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3: 91-98. (in Japanese) 

  33. Smith, A. R., Pryer, K. M., Schuettpelz, E., Korall, P., Schneider, H. and P. 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 705-7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