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통영 영운리 연안에서 어류상 및 분포특성을 밝히기 위해 2013년 9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매월 잠수관찰을 실시하였다. 조사 지역은 수심과 저질에 따라 5개의 서식지로 분류하였다; (1) 수심 0~2 m의 사질지역, (2) 수심 2~5 m의 잘피밭, (3) 수심 0~2 m의 암반 노출지역, (4) 수심 2~5 m의 암반지역, (5) 수심 5~8 m의 펄질 지역. 조사 기간 동안 총 26과 43종 1,673개체의 어류가 관찰되었다. 출현 종수는 3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0월, 11월에 가장 많았고 이후 12월에 감소하여 1월에 가장 적었다. 망둑어과는 7종이 출현하여 출현 종수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양볼락과가 4종 출현하였다. 개체수에서는 망상어과가 총 개체수의 26.1%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양볼락과 19.9%, 망둑어과 19.3%였다. 우점종은 볼락 (Sebastes inermis)이며, 아우점 종으로는 망상어 (Ditrema temminckii)와 인상어 (Neoditrema ransonnetii)였다. 어류의 종수와 개체수는 수심 2~5 m의 잘피밭과 암반지역에서 가장 많았고 수심 0~2 m의 사질지역에서 가장 적었는데 이는 어류가 잘피밭과 암반지역을 서식지로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ish were determined by monthly underwater visual census from September. 2013 to August, 2014 at Yeongunri off Tongyeong, Korea.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five habitat types by depth and substrate: (1) sand bottom as depth of 0~2 m, (2)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cm의 치어가 채집된다는 보고가 있는데 (Kanou, 2011), 이번 연구에서도 해조류가 많은 암초지역의 암초에 뚫린 구멍에서 관찰되었고 수심은 0~2 m였다. 세줄얼게비늘은 연안의 암초 지역에서 단독생활을 하며 수컷이 알을 입 속에 넣고 부화 시키는 습성이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편평한 사니질에 잘피가 있는 환경에서 관찰되었다. 혹돔은 유어 성어 모두 연안 암초역에서 단독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enou and Yoshino, 2002).
  • 이번 연구에서는 잠수조사를 통해 경상남도 통영 영운리 연안의 어류상 연 변화를 조사하고 연안역 어류의 분포 수심대, 서식환경 그리고 그 외 어종별 생태학적 정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변화에 의하여 연안역 어류상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점줄망둑이 수심 2 m 이하인 곳에서 관찰되지 않는 이유는? 이번 연구에서는 잘피와 암반뿐만 아니라 사니질 환경 수심 2~8 m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수심 2 m 이하인 곳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펄질의 웅덩 이에서 서식하는 점줄망둑의 서식처가 이번 조사 지역인 A, B 지역 2 m 이하에는 없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A와 B 두 지역의 2~5 m 수심대의 중층에서 군집 유영하는 것이 관찰된 흰줄망둑, 일곱동갈망둑, 볼락은 서식처 환경보다는 특정 수심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는 이유는? 한편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온 상승이 해양에 서식하고 있는 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Wilson, 1992; Kareiva et al., 1993; Taniguchi and Nakano, 2000) 어류의 지리적 분포나 개체군 구조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ll and Magnuson, 1990; Meisner, 1990; Shuter and Post, 1990).
쓰시마 난류와 제주 난류가 함께 통과하는 특징으로 인해 통영 연안에 출현하는 어종은 무엇인가? 남해 동부에 위치한 통영 연안은 쓰시마 난류와 제주 난류가 함께 통과하여 (Lie and Cho, 2002), 온대성 어종뿐만 아니라 아열대 어종 등 다양한 어종이 출현한다. 또한 잘피밭과 같은 해초 지역에는 다양한 어류들이 서식하며, 해초에 의해 만들어진 미소서식지는 자치어에게 은신처 및 성육장을 제공한다 (Parrish, 1989; Bec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rntz, W. 1973. Periodicity of diel food-intake of cod Gadus morhua in Kiel Bay. Oikos, 15: 138-145. 

  2. Beck, M.W., K.L. Heck, Jr., K.W. Able, D.L. Childers, D.B. Eggleston, B.M. Gillanders, B. Halpern, C.G. Hays, K. Hoshino, T.J. Minello, R.J. Orth, P.F. Sheridan and M.P. Weinstein. 2001. The identificati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estuarine and marine nurseries for fish and invertebrat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abitats that serve as nurseries for marine species and the factors that create site-specific variability in nursery quality will impro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se areas. Bioscience, 51: 633-641. 

  3. Bohnsack, J.A. and S.P. Bannerot. 1986. A stationary visual census technique for quantitatively assessing community structure of coral reef fishes. NOAA Technical Report NMFS., 41: 1-15. 

  4. Brock, V.E. 1954. A preliminary report on a method of estimating reef fish populations. J. Wildl. Manag., 18: 297-308. 

  5. Dorenbosch, M., M.G.G. Grol, I. Nagelkerken and G. van der Velde. 2005. Distribution of coral reef fishes along a coral reef-seagrass gradient: edge effects and habitat segregation. Mar. Ecol. Prog. Ser., 299: 277-288. 

  6. Dorenbosch, M., W.C.E.P. Verberk, I. Nagelkerken and G. van der Velde. 2007. Influence of habitat configuration on connectivity between fish assemblages of Caribbean seagrass beds, mangroves and coral reefs. Mar. Ecol. Prog. Ser., 334: 103-116. 

  7. Froese, R. and D. Pauly (Eds). 2016.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fishbase.org, version (01/2016). 

  8. Harmelin-Vivien, M.L., J.G. Harmelin, C. Chauvet, C. Duval, R. Galzin, P. Lejeune, G. Barnabe, F. Blanc, R. Chevalier, J. Duclerc and G. Lasserre. 1985. Evaluation visuelle des peuplements et populations de poissons: methodes et problemes. Rev. Ecol., 40: 468-539. 

  9. Hayase, S. and S. Tanaka. 1980. Habitat and distribution of three species of embiotocid fishes in the Zostera marina belt of Odawa Bay. Bull. Japan. Soc. Sci. Fish., 46: 955-962. 

  10. Horinouchi, M., M. Sano, T. Taniuchi and M. Shimizu. 1998. Food and microhabitat resource use by Rudarius Ercodes and Ditrema Temmincki coexisting in a Zostera Bed at Aburatsubo, Central Japan. Fish. Sci., 64: 563-568. 

  11. Horinouchi, M., Y. Nakamura and M. Sano. 2005. Comparative analysis of visual censuses using different width strip-transects for a fish assemblage in a seagrass bed. Estuar. Coast. Shelf Sci., 65: 53-60. 

  12. Jeong, H.D., J.D. Hwang, K.K. Jung, S. Heo, K.T. Sung, W.J. Go, J.Y. Yang and S.W. Kim. 2003. Long term trend of change in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coastal waters around Korean peninsul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9: 59-64. (in Korean) 

  13. Kanou, H. 2011. A photographic guide to the fishes in Tokyo Bay. Heibonsha, Tokyo, 376pp. (in Japanese) 

  14. Kareiva, P.M., J.G. Kingsolver and R.B. Huey. 1993. Biotic interactions and global change.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Massachusetts, 559pp. 

  15. Kim, B.G. and W.S. Gwak. 2006.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it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in Jisepo bay of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18: 234-243. (in Korean) 

  16. Kim, C.K. and Y.J. Kang. 1997. Stomach contents analysis of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J. Korean Fish. Soc., 30: 432-441. (in Korean) 

  17. Kim, D.H., N. Nakashiki, D. Tsumune, Y. Yoshida, K. Maruyama and F.O. Bryan. 2005. Ocean climate change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WNP) under the multi-century three-member ensemble predictions. Asia-Pac. J. Atmos. Sci., 41: 239-247. 

  18.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Seoul, 615pp. (in Korean) 

  19. Kim, J.S. and W.S. Gwak. 2012.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4: 191-200. (in Korean) 

  20. Kim, J.S., J.Y. Choi, Y.J. Lee and W.S. Gwak. 2013.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Minyang in Tongyeong, Korea. J. Korean Soc. Oceanogr., 18: 227-223. (in Korean) 

  21. Kim, M.S. 2003. Ecology of Fishes. Academy, Seoul, 386pp. (in Korean) 

  22. Kim, T.J., S.J. Lee, W.S. Gwak, D.H. Lee and B.E. Choi. 2010.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an. Korean J. Ichthyol., 22: 179-185. (in Korean) 

  23. Lee, D.H., J.S. Kim, J.S. Park, D.H. Han and W.S. Gwak. 2011a.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eogu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225-233. (in Korean) 

  24. Lee, Y.S., W.A. Lim, C.S. Jung and J.S. Park. 2011b. Spatial distributions and monthly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water of Tongyeong,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4: 154-162. (in Korean) 

  25. Lie, H.J. and C.H. Cho. 2002.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East China Sea. Fish. Oceanogr., 11: 318-328. 

  26. Markevich, A.I. and A.A. Balanov. 2012. Description of Upeneus Japonicus (Mullidae), Japanese Goatfish, a rare species in the Russian waters. J. Ichthyol., 52: 656-660. 

  27.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Kanagawa, 1749pp. (in Japanese) 

  28. Nakamura, Y. and M. Tsuchiya. 2008.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seagrass habitat use by fishes at the Ryukyu Islands, Japan. Estuar. Coast. Shelf Sci., 76: 345-356. 

  29. Nakazono, A. 2002. Fate of tropical reef fish juveniles that settle to a temperate habitat. Fish. Sci., 68: 127-130. 

  30. Ochiai, A. and M. Tanaka. 1986. Ichthyology. Koseisha-Koseikaku, Tokyo, 1139pp. (in Japanese) 

  31. Parrish, J.D. 1989. Fish communities of interacting shallow-water habitats in tropical oceanic regions. Mar. Ecol Prog. Ser., 58: 143-160. 

  32. Senou, H. and Y. Yoshino. 2002. Young fish watching. TBS-Britannica Co., Tokyo, 136pp. (in Japanese) 

  33. Seong, K.T., J.D. Hwang, I.S. Han, W.J. Go, Y.S. Suh and J.Y. Lee. 2010. Characteristic for long-term trends of temperature in the Korean waters. J. Korean Soc. Marine Environ. Energy, 16: 353-360. (in Korean) 

  34.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 

  35. Shimizu, N., K. Tatsuru, M. Tsuboi and Y. Sakai. 2010. Fish fauna in the coastal area of Kurahashi Island, Seto Inland Sea, Japan. Bull. Hiroshima Univ., 2: 43-52. 

  36. Taniguchi, Y. and S. Nakano. 2000. Complex effects of global warming and local environmental disturbance on freshwater fish communities: the mechanisms, predictions, and repercussion effects. Japanese J. Limnol., 61: 79-94. (in Japanese) 

  37. Wilson, E.O. 1992. The diversity of life.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464pp. 

  38. Yamada, U., M. Tokimura, H. Horikawa and T. Nakabo. 2007. Fishes and fisheries of the East China and Yellow Seas. Tokai Univ. Press, Kanagawa, 1262pp. (in Japanese) 

  39. Yamamoto, M., M. Tochino, K. Yamaga and M. Fujiwara. 2002. Juvenile fishes associated with floating seaweeds in the central Seto inland sea,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68: 362-367.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