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충남 서천 유부도와 인근 섬에 분포하는 식물상 연구
Study on Flora Distributed of Nearby Island and Yubu-do in Seocheon, Chungnam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3, 2016년, pp.11 - 27  

오현경 (계명대학교 동영학술림) ,  손병율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윤상기 (전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survey of the flora distributed in Seocheon tidal flat wetland protected area of nearby island (Daejuk-do, Tokki-deung, Muk-do) and Yubo-do Seocheon-gun Chuncheongnam-do,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31 taxa including 65 families, 167 genera, 204 spe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인 충남  천 유부도와 인근 섬(대죽도, 토끼등, 묵도)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현지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인 충남 서천 유부도와 인근 섬(대죽도, 토끼등, 묵도)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후 유형별로 구분하고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본 지역의 식물생태를 보호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유부도와 인근 섬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후 유형별로 구분하고 식생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본 지역의 식물생태를 보호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부도의 지형적 특징은 무엇인가? 2km이다.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섬의 남쪽에는 낮은 구릉성 산지가 있으며, 북쪽으로는 저평한 지형을 이룬다. 서쪽과 남쪽 해안에는 사빈해안이 형성되어 있으며, 동쪽 해안으로는 간석지가 펼쳐져 있다(http://100.daum.
유부도의 위치는 어디인가? 유부도는 동경 126° 36ʹ, 북위 35° 48ʹ에 위치하며, 금강 하구에서 6.5km 떨어져 있고 면적은 0.
유부도 일원이 제8호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날짜는 언제인가? net/encyclopedia/view). 유부도 일원은 국토해양부에서 제8호 서천갯벌 습지보호지역으로 2008년 1월 30일에 지정하였다. 행정구역은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유부도 및 서천군 서면, 비인면, 종천면 일원이고, 면적은 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KJ. 2010. A Study of Methods for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Present State of the Coastal Wetlands as Protected Area-Focused on th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in Suncheon Bay and Taeanhae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4(2): 130-13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 Gun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Port Office. 2009. Citizen Monitoring Marine Protected Areas. (in Korean) 

  3. Han YH.Lee YH.Kim JB and Cho KJ. 2013.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oastal Sand Dune in the East Coa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6(1): 55-6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4. Hong SK.Kim JE.Oh KH and Ihm HS. 2013. Ecological Value of Tidal-flat Island in Jeonnam Province and Its Validity for Designating Provincial Park. KJEE 46(1): 41-5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Kim CH and Myung H. 2008. A 4-years Follow-up Survey of Flora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1(5): 25-3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Kim CS and Song TG. 1983. Ecological Studies on the Halophyte Communities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s in Korea (IV)-The Halophyte Communities at the Different Salt Marsh Habitats-. Korean J. Ecology 6(3): 167-17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im HS and Lee JS. 2009.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lant Resource for Restoring the Salt Marshes in Korean Southern and Western Coasts. J. Korean Island 21(1): 79-9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Kim J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Wien University. Austria. 

  9.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s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534.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206.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332. (in Korean) 

  12.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13.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Appendix): 1-3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ee WT.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5. Lee YM.Park SH.Jung SY.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7.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n German)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Four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9. Numata. 1975. Naturalized plants. Japanese books. Tokyo. (in Japan) 

  20. Oh HK and Beon MS. 2009. Analysis on Community and Flora of Jakeundang in the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177-18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1. Oh HK and Rho JH.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alophytes Resource in Wetland Protected Area at the Gomso Bay.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2): 127-14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2. Oh HK.Kim SC and You JH. 2013. Halophytes and Vegetation of Seocheon Tidal Flat Wetland Conservatio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2(5): 409-42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Oh HK.Kim SC and You JH. 2014.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Daesong Tidal Flat Wetland, Ahnsan-si, Gyeonggi-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2): 31-4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Park KH.You JH and Song BG. 2010.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Kor. J. Env. Eco. 24(4): 395-40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5. Shim HB.Cho WB and Choi BH. 2009.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Korea J. Pl. Taxon. 39(4): 264-27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6. Waisel, Y. 1972. Biology of Halophytes Press. New York. (in America) 

  27. Yim YJ and Jeon ES.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 Botany 23(3-4): 69-8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Yim YJ and T. Kira. 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 25: 77-88. 

  2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1475 

  30. http://www.kma.go.kr 

  31. http://www.meis.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