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 방법론을 사용한 유아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불안 탐색
Exploring Science Education Anxiet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Q-Methodolog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3, 2016년, pp.69 - 82  

김자은 (경희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연하 (경희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xiety regarding science education via Q-methodology. Methods: As the first step, 268 Q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esources such as books and research paper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five stages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 (2005)는 과학교육을 여러 영역으로 세분해서 불안감의 상대적 점수를 파악하였는데 유아 교사들의 자료준비와 관련된 점수가 가장 높았다. 과학 환경 구성 및 자료와 관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재원을 확보하여 자료를 공급해 주는 것이 일차적인 해결책이 될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른 시각으로 이 현상을 접근해 보고자 한다. 시중에 판매되는 유아과학교구들은 주로 단순한 실험 몇 가지를 수행할 수 있는 자료들로 구성이 되어 있어서 활용성이 떨어지며 한번 구입하면 보관하고 관리해야 하는 교사의 부담이 따른다.
  • 첫째, Q 방법론과 관련된 것으로 Q 모집단의 대표성과 Q 표본의 포괄성에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과학교육과 관련된 불안의 주관성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전체 유아 교사의 인식을 대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과학교수와 관련되어 우리의 유아교사들이 역량 지각을 낮게 하거나 불안해 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들이 과학교육과 관련하여 느끼는 불안을 Q 방법론을 사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구조화된 개념을 중심으로 양적 측정에 의존하던 기존의 유아교사의 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사연구의 패턴에 변화를 추구하고 유아교사의 과학교육과 관련된 불안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는데 일조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가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불안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Q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여, 집단이 가진 고유한 불안인식의 특성을 파악하고,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제언을 도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유아 과학교육과 관련된 전문 서적, 연구 논문 등을 통해 268개의 Q 모집단을 구성하고, 현장 전문가와 학계 전문가의 도움을 얻어 33개의 최종 Q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 따라서 과학교육에 자신 없어하는 교사들에게 얼마나 유능한지 자신을 평가하게 하는 방식이나 상급학교 교사들을 위해 개발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는 연구방식에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과학교육에서 유아교사가 느끼는 불안의 유형을 Q 방법론을 사용하여 새롭게 접근해 보고자 한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과학교수와 관련되어 우리의 유아교사들이 역량 지각을 낮게 하거나 불안해 한다는 선행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유아교사들이 과학교육과 관련하여 느끼는 불안을 Q 방법론을 사용하여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구조화된 개념을 중심으로 양적 측정에 의존하던 기존의 유아교사의 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사연구의 패턴에 변화를 추구하고 유아교사의 과학교육과 관련된 불안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는데 일조하는 것이 목표이다.
  • Q 표본(Q sample) 선정 유아교육관련 현장 전문가 3명(서울 Y유치원 교사, 경기도 S유치원 원장, 경기도 S유치원 교사)과 학부와 대학원에서 과학교육을 지도하는 대학교수 1명(서울 K대학교)이 총 5차례 분석과정을 거처 268개의 Q 모집단을 33개의 Q 표본 진술문으로 선정하였다. 진술문의 유사성, 상호배타성, 포괄성 등을 고려한 분석으로 1차에서 70개의 진술문을 추출하고, 2차에서는 진술문들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범주화 작업을 하였다. 진술문들은 크게 교사의 과학지식, 교사의 과학교수방법, 학습자의 발달수준,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가치, 환경구성에 관한 불안으로 범주화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유아교사의 과학 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 자신감을 느끼고 있는가? Cho와 Kim (2013)은 과학교과에 관한 지식수준이 높은 교사일수록 과학교수에서 적극성을 가지고 있으며, Kwon (2007)은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지도하는 유아들의 과학 활동 참여도가 과학교수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이 지도하는 유아들의 참여도 보다 높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아교사는 다른 교과 영역에 비해 과학영역의 지도를 회피하거나 자신 없어 한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Y.
유아과학교육의 성패를 결정짓는 요소로 가장 중요한것은? 유아과학교육의 성패를 결정짓는 요소로서 교육의 주체인 유아교사의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유아교사가 과학에 대해 긍정적 또는 부정적 태도인지 혹은 어느 정도의 과학적 지식이 있는지에 따라 교육목표 설정이 달라지며, 나아가서는 교수의 실제가 좌우될 수 있다.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빈번하게 탐색되는 개념은 무엇들이 있는가? 효율적 유아과학교육은 교사를 통해 달성 될 수 있으나 실제로 우리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육에 대한 역량과 자신감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학계와 현장의 고민을 반영하듯, 유아 교사들의 과학교수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중 가장 빈번하게 탐색된 개념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유아교사의 과학교과지식, 그리고 과학교수태도이다(B. K.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haille, C., & Britain, L. (1991).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New York: Harper Collins. 

  2. Gelman, R., & Brenneman, K. (2004). Science learning pathways for young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9(1), 150-158. 

  3. Hong, S.-Y., & Diamond, K. E. (2012). Two approaches to teaching young children science concepts, vocabulary,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2), 295-305. 

  4. Perry, G., & Rivkin, M. (1992). Teachers and science. Young Children, 47(4), 9-16. 

  5. Sherwood, R. D., & Westerback, M. E. (1983). A factor analytic study of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utilized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3), 225-229. 

  6. Tsou, J. Y. (2006). Genetic epistemology and Piaget's philosophy of science Piaget vs. Kuhn on scientific progress. Theory and Psychology, 16(2), 203-224. 

  7. Cho, B. K., & Go, Y.-M. (2004).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kindergarten teachers' science anxie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in Science Education, 24(2), 267-276. 

  8. Cho, B. K., Go, Y.-M., & Nam, O. J. (2015).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aju: Yangseowon. 

  9. Cho, B. K., & Seo, S. Y. (2001). Self-efficacy beliefs of kindergarten scien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 361-373. 

  10. Cho, H.-S. (1998).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8(2), 283-301. 

  11. Cho, H.-S., & Yoo, E. Y. (2011). Elements of good science teaching as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2), 333-359. 

  12. Cho, J. H., & Kim, K. S. (2013).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anxiety based on their lev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139-158. 

  13. Han, Y. M. (2010).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Seoul: Changjisa. 

  14. Hwang, U. M., & Cho, H. S. (2001). (Research to improve the ability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Paju: Jungminsa. 

  15. Kang, K.-S. (2007). Science anxiety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16. Kim, B. J. (1999). Consumer taxonomy using Q methodology. Korea Marketing Review, 14(4), 53-71. 

  17. Kim, H. (2013).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in teaching science of attitude toward science and knowledge about scienc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3(2), 281-296. 

  18. Kim, H. & Chae, J. Y. (2014).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science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science on science teaching anxiety.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0(3), 69-84. doi:10.14698/jkcce.2014.10.3.069 

  19. Kim, H. K. (2008). Q methodology: Philosophy, theories, analysis, and application. Seoul: Communication Books. 

  20. Kim, M. A. (2002). The effects of inquiry-centered scienc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S. E. (2010). Theory and philosophy of Q methodology.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0(4), 1-25. 

  22. Kim, Y. H. (2010). Prospectiv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self-reported instructional competencies in the 7th national preschool curriculum.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0(2), 139-159. 

  23. Kim, Y.-O., Lee, G.-R., Cho, H.-J., & Cha, G.-A. (2012). A study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activity anxiety, attitude,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level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99-115. 

  24. Kwon, J. Y. (2007). Study of science education practices based upon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level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6(1), 85-113. 

  25. Lee, E.-J. (2010).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lecture model for enhanc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teachers'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6. Lee, E. J. (2013). Relationships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9(4), 135-158. 

  27. Lee, J. H. (1998). Concept of representation: Its relation to symbol, image, and imit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8(1), 55-68. 

  28. Lee, K. M. (2005). An investigation of science anxiety of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385-406. 

  29. Lee, K. M. (2009). Teachers' perception on their own science teach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3(3), 237-263. 

  30. Lee, M.-A. (2008). A study on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Korea. 

  31. Lee, S. J. (2007). A study on the child care teacher's goal of scientific educa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practice teaching meth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2.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13). Manual book of Nuri curriculum for the 3 to 5 years old. Seoul: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The third standard care program.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4. Park, H.-S. (2007). Analysis of inquiry levels in the laboratory practices b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35. Park, S. (2003). Development of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strument in science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 105-134. 

  36. QUANL program [Computer software]. Retrieved from Korean Society for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website: http://www.kssss.org 

  37. Shin, D. (2010). The effect of practical teaching for developing in prospective secondary scienc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8. Shin, E.-S., & Kim, H.-J. (2007).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for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4(3), 221-2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