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멘트 바이패스 더스트에 존재하는 염화칼륨의 용해 및 수득 특성
Solubility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KCl in Cement By-Pass Dust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5 no.3, 2016년, pp.43 - 48  

윤영민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  정재현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  추용식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소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멘트 공장에서는 폐기물 재활용 측면에서 다양한 산업부산물 및 생활폐기물을 사용한다. 이들 폐기물에는 다량의 칼륨과 염소 및 소량의 중금속 등도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을 유가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칼륨과 염소를 용해 결정화하여 염화칼륨을 수득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혼합수 함량, 슬러리 온도 및 교반시간 등을 제어하였다. 또한 수득 염화칼륨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종류 함량 등도 분석하였다. 염화칼륨 수득량은 혼합수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1 : 2 (더스트:혼합수) 이상에서는 소폭 증가하였다. 슬러리 온도에 따른 수득량은 일정온도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교반시간 10분 이상에서는 수득량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교반시간 증가에 따라 수득된 염화칼륨의 중금속 종류 함량도 다양하였으며, 주요 중금속은 Pb, Cu 및 $Cr^{6+}$ 등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ment manufacturing plant uses various kinds of industrial/municipal waste. The waste contains considerable amount of potassium, chlorine and small amount of heavy metal. Many researches were performed to fabricate valuable resources from the waste. In this study, various methods, which dissolv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는 KCl 결정만을 용해할 경우이며, 다른 물질과 혼합된 결과는 아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더스트에 CaCO3 등이 혼재해 있는 경우, 용해특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혼합수 함량 및 혼합수 온도 등을 제어하였다. 용해특성 분석을 위해 더스트 100 g 기준, 혼합수 함량을 100 g, 150 g, 200 g, 250 g 및 300 g (1 : 1.
  • 더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어 야 하며, 더불어 가장 일반적인 여과액에서의 중금속 제 거방안도 검토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스트와 혼합수 배합비율, 혼합수 온도 조건 등에 따 른 KCl 수득량 변화 및 여과액 중의 중금속 제거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분석·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부산물과 생활폐기물에 포함된 염소 또는 알칼리 화합물은 킬른 내부에서 어떠한 현상을 일으키는가? 1-3) 이들 산업부산물과 생활폐기 물 등에는 중금속, 염소 및 알칼리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4-5) 염소 또는 알칼리 화합물 등은 고온인 킬른 내부에서 휘발하여, 예열기와 킬른 동체 내부에 코팅을 형성한다. 예열기 및 킬른 내부에 과도한 코팅이 생성 되면 원료 및 클링커 이송을 어렵게 한다.
시멘트 공장에서 사용하는 산업 부산물과 생활 폐기물 등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은 무엇인가? 최근 시멘트 공장에서는 제조비용 절감과 자원재활용 측면에서 다양한 산업부산물과 생활폐기물을 보조 원·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1-3) 이들 산업부산물과 생활폐기 물 등에는 중금속, 염소 및 알칼리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4-5) 염소 또는 알칼리 화합물 등은 고온인 킬른 내부에서 휘발하여, 예열기와 킬른 동체 내부에 코팅을 형성한다.
염소 또는 알칼리 화합물로 인해 형성되는 예열기 및 킬른 내부의 코팅으로 인해 야기 될 수 있는 문제는? 4-5) 염소 또는 알칼리 화합물 등은 고온인 킬른 내부에서 휘발하여, 예열기와 킬른 동체 내부에 코팅을 형성한다. 예열기 및 킬른 내부에 과도한 코팅이 생성 되면 원료 및 클링커 이송을 어렵게 한다. 6-7) 또한 염 화물은 최종 제품인 시멘트 물성을 불량하게 하며, 콘 크리트에서는 1m3 당 300 g 이하의 염소 이온량을 함 유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Pranab Barkakati, Dipak Bordoloi, Prakash Ch. Borthakur, 1994 : Paddy husk as raw material and fuel for making portland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4(4), pp613-620 

  2. P.E. Tsakiridis et al., 2005 : Examination of the jarosite- alunite precipitate addition in the raw meal for the production of portland cement clinker,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35(11), pp2066-2073 

  3. M. Schneider et al., 2011 : Sustainable cement production-present and futur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41(7), pp642-650 

  4. N. Gineys, G. Aouad, D. Damidot, 2011 : Managing trace elements in Portland cement - Part II: Comparison of two methods to incorporate Zn in a cement,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3(6), pp629-636 

  5. N. Gineys, G. Aouad, D. Damidot, 2010 : Managing trace elements in Portland cement - Part I: Interactions between cement paste and heavy metals added during mixing as soluble salt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2(8), pp563-570 

  6. HuXing Chen, Xianwei Ma, HengJie Dai, 2010 : Reuse of water purification sludge as raw material in cement production,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32(6), pp436-439 

  7. Gang-Soon Choi, F.P. Glasser, 1988 : The sulphur cycle in cement kilns: Vapour pressures and solid-phase stability of the sulphate phas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18(3), pp 367-374 

  8. Korea Industrial Standards, 2011 : Ready-mixed concrete, KS F 4009 

  9. N.B. Singh, K.N. Bhattacharjee, A.K. Shukla, 1995 : Effect of alkali bypass dust on the hydration of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blended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25(4), pp883-892 

  10. H. Y. Ghoraba et al., 2004 : Resuse of Cement Kiln Bypass Dust in the Manufactur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Polymer-Plastics Technology and Engineering, 43(6), pp1723-1734 

  11. TAMURA N., SAITO S., KONDOU K., 2010 : Washing method for incineration ash and dust in combustion gas extracted from cement kiln, PCT/JP2010/0522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