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투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및 과학학업성취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Grit, Interest, Task-Commitment, Self-Regulation Ability, and Science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3, 2016년, pp.445 - 455  

문공주 (이화여자대학교) ,  함은혜 (한국교육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학업성취와 관련된 주요 정의적 변인들인 흥미, 자기조절능력, 과제집착력이 투지(Grit)와 어떤 구조적 관계를 보이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학생 180명(남학생 77명, 여학생 103명)이 투지, 흥미, 자기조절능력, 과제집착력과 과학학업성취(중간시험, 기말시험점수)를 조사하는 설문에 답하였다. 본 연구자들은 위 다섯 가지 요인들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두 개의 가설모형을 설정하였다. 하나의 가설모형에서는 투지가 흥미에 영향을 주고, 투지가 다시 자기조절능력과 과제집착력에 영향을 미치며, 이 후 자기조절능력과 과제집착력이 과학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으로, 이모형에서는 흥미가 자기조절능력과 과제집착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그 사이를 투지가 매개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와 다른 모형에서는 투지와 흥미가 독립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각각 자기조절능력과 과제집착력에 영향을 미치는 모형으로 가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와 가설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와 모형의 적합도 확인을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투지와 흥미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작용하는 모형이 최적의 모형으로 선택되었다. 또한 과제집착력이 흥미와 자기조절능력과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 참여한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의 변인별 상관관계 비교를 통해 투지와 흥미, 과제집착력, 자기조절능력, 그리고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가 남학생과 여학생에게서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그동안 중요하게 연구되지 않았던 투지와 과제집착력과 같은 요인들에 대한 조사를 제안한다. 투지와 과제집착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가 감소하는 원인과 학생들이 어렸을 때 가졌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할 수 있으며, 과학학업성취와 관련된 다양한 정의적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는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tudents' grit, interest, self-regulation ability, task-commitment and achievement within science learning. Our concern is understanding how grit is related to the other non-cognitive variables, i.e., interest, self-regul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의 학습 동기 관련 연구는 투지를 다룬 경우가 많지 않고, 과학학업성취와 관련해서는 보고된 연구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학 학습 영역에서의 투지를 측정하고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과학 교과영역에서 검증한다는 것에도 그 의미가 있다.
  • (2015)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흥미의 일관성’이 학업적성취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예측력이 낮은 것으로 지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를 독립적으로 측정하였으며, 흥미와 투지가 자기조절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한 모형을 설정하였다. 모형 1은 투지가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진 흥미와 자기조절능력, 흥미와 과제집착력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가정을 검토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 또한 자기조절능력이 투지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Wolters & Hussain,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능력이 투지와 흥미의 과학학업성취에 대한 영향을 자기조절능력이 매개할 수 있는지도 고려하였다. 과제집착력은 과학 영역에서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져 왔으며(Jang et al.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투지, 흥미, 자기조절능력, 과제집착력과 과학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이에 그동안 과학교육연구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투지와 과제집착력과 같은 끈기 및 노력과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조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투지와 과제집착력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흥미가 감소하는 원인과 학생들이 어렸을때 가졌던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탐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또한 과학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여학생과 남학생의 차이에 대한 결과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Britner, 2008; Patrick, Mantzicopoulos, & Samarapungavan, 2009; Simpkins, Davis-Kean, & Eccles, 2006), 최근 Strayhorn (2013)의 연구에서도 흑인 남학생들의 대학에서의 성취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투지를 강조한 점에 착안하여 측정 변인들의 평균값 및 요인 간 상관관계에 대하여 성별에 따른 비교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래의 연구 결과를 통해 투지 요인의 측정과 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의 해석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투지와 함께 자기조절능력과 과제집착력을 함께 조사하였다. 과제집착력과 자기조절능력은 학업을 지속하고 문제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정의적 요인으로 과학학업성취의 예측 요인으로 보고되어왔다.
  • 이러한 측정 문항의 상황 의존적인 특성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를 매개하는 일반적인 구인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맥락으로서 학업성취에 대한 예측력이 높게 나타나는 구인으로 최근 강조되고 있는 투지(Grit) 요인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를 측정하고, 자기조절능력 및 과제집착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요인들이 과학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목표 성취를 위한 장기적인 노력과 끈기를 의미하는 투지(Grit) 개념은 Duckworth et al.

가설 설정

  • 본 연구자들은 한국 학생들이 국제성취도비교 시험들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에 비해 흥미가 상대적으로 다른 국가보다 낮게 나타난 현상으로부터, 흥미 외에 어떤 것이 과학학업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투지가 흥미와 함께 과학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가정하였다. 이에 과학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인 흥미, 자기조절능력, 과제집착력과 투지요인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가설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 본 연구자들은 흥미와 투지가 각각 자기조절능력 및 과제집착력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에 차이가 나타나므로, 투지와 흥미의 관계를 독립적으로 하는 모형 2를 최적의 모형으로 채택하기 위해서는 투지를 모형에서 제외할 수 있는 지도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모형 2에서 투지에서 자기조절능력, 투지에서 과제집착력으로의 경로계수를 0으로 고정한 모형 2`를 가정하고, 투지를 모형에서 제외하는 것이 모형의 적합도를 떨어뜨리는지를 확인하였다. 모형 2`의 적합도 지수는 전체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투지가 모형에 포함된 모형 2의 적합도와 비교할 때 x2 값을 제외한 모든 지수에서 적합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Table 5 참조).
  • , 2011; Duckworth & Quinn, 2009; Ivcevic & Brackett, 2014; Robertson-Kraft & Duckworth, 2014). 이처럼 투지는 장기 목표에 대한 인내와 열정을 개념화 한 것으로 과학 교과의 어려움 및 끈기가 요구되는 특성으로 비추어 볼 때 과학학업성취에 대한 예측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같은 가정을 바탕으로 Bazelais, Lemay, & Doleck(2016)은 투지가 대학생들의 과학학업성취에 대한 예측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적 흥미란? 연구자들마다 사용하는 흥미에 대한 정의는 연구의 목표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어 왔으며(Aschbacher, Ing, & Tsai, 2013),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흥미에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업적 흥미는 학생들이 학업상황에서 특정 과제나 과목에 관여할 때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를 포함한 심리학적 상태이다(Hidi & Harackiewicz, 2000; Hidi & Renninger, 2006). 학습 영역에서의 흥미는 상황적 흥미(Situational Interest)와 개인적 흥미(Individual Interest) 의 두 가지 하위 영역으로 제안되어 왔으며(Krapp, Hidi, & Renninger, 1992), 상황적 흥미는 주변 상황에서 받는 자극에 대한 일시적인 주의집중과 정서적 반응을 나타내는 심리적 상태이며, 개인적 흥미는 학생들이 과목에 지속적으로 관여하고 관심을 가지고 싶어 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Hidi & Renninger, 2006, p.
학습 영역에서의 흥미는 어떤 영역으로 제안되어 왔는가? 학업적 흥미는 학생들이 학업상황에서 특정 과제나 과목에 관여할 때 나타나는 인지와 정서를 포함한 심리학적 상태이다(Hidi & Harackiewicz, 2000; Hidi & Renninger, 2006). 학습 영역에서의 흥미는 상황적 흥미(Situational Interest)와 개인적 흥미(Individual Interest) 의 두 가지 하위 영역으로 제안되어 왔으며(Krapp, Hidi, & Renninger, 1992), 상황적 흥미는 주변 상황에서 받는 자극에 대한 일시적인 주의집중과 정서적 반응을 나타내는 심리적 상태이며, 개인적 흥미는 학생들이 과목에 지속적으로 관여하고 관심을 가지고 싶어 하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Hidi & Renninger, 2006, p.113).
과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부족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흥미와 학습 동기가 낮아지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어온 이유는 무엇인가? 과학 교과는 학생들에게 어려운 과목으로 여겨지거나, 특별한 능력을 가진 사람만이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많으며, 이 때문에 과학학습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학생들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 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가 부족하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흥미와 학습 동기가 낮아지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어왔다 (Baram-Tsabari & Yarden, 2009; Kim & Lee, 2009; Krajcik, Czerniak, & Berger,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schbacher, P. R., Ing, M., & Tsai, S. M. (2013). Boosting student interest in science. The Phi Delta Kappan, 95(2), 47-51. 

  2. Bak, B. & Kang, H.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lf-report form of integrative creativity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1(1), 155-177. 

  3. Baram-Tsabari, A. & Yarden, A. (2009). Identifying meta-clusters of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heir change with a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99-1022. 

  4. Bazelais, P., Lemay, J. D., & Doleck, T. (2016). How does grit impact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4(1), 33-34. 

  5. Bloom, B. S. & Sosniak, L. A. (1981). Talent development vs. schooling. Educational Leadership, 38, 86-94. 

  6. Bong, M., Kim, S., Reeve, J., Im, H., Lee, W., Jiang, Y., Kim, J., Kim, H., Noh, A., Noh, U., Paek, S., Song, J., Shin, J., Ahn, H., Woo, Y., Won, S., Lee, K., Lee, M., Lee, S., Lee, S., Lee, J., Jung, Y., Cho, C., & Hwang, A. (2012). SMILES (Student Motivation in the Learning Environment Scales). Korea University Brain Motivation Research Institute. Retrieved from http://bmri.korea.ac.kr/korean/research/assessment_scales/list.html?idassessment. 

  7. Bowman, A. N., Hill, L. P., & Denson, N. (2015). Keep on truckin' or stay the course? exploring grit dimensions as differential predictors of educational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intentions.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6, 639-645. 

  8. Britner, S. L. (2008). Motivation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A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in life, physical, and earth science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8), 955-970. 

  9. Charness, N., Tuffiash, M. I., Krampe, R. T., Reingold, E., & Vasyukova, E. (2005).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chess expertise.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19, 151-165. 

  10. Chi, E. & Ju, U. (2012). Exploring the construct and developing the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5(1), 69-94. 

  11. Chung, Y. & Ahn, M. (2010).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self-regulati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related affective domain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9(4), 389-400. 

  12. Duckworth, A. L. & Quinn, P. D.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13. Duckworth, A. L., Kirby, T. A., Tsukayama, E., Berstein, H., & Ericsson, K. A. (2011).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2, 174-181. 

  14.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15. Ericsson, K. A., Krampe, R. T., & Tesch-Romer, C. (1993).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100(3), 363-406. 

  16. Ericsson, K. A. & Ward, P. (2007). Capturing the naturally occurring superior performance of experts in the laboratory: Toward a science of expert and exceptional performance.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 346-350. 

  17. Fortus, D. (2014). Attending to a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7), 821-835. 

  18. Glynn, S. M.,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59-1176. 

  19. Gungor, A., Eryilmaz, A., & Fakioglu, T. (2007). The relationship of freshmen's physics achievement and their 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8), 1036-1056. 

  20. Hidi, S. & Harackiewicz, J. (2000). Motivating the academically unmotivated: A critical issue for the 21st centur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0(2), 151-179. 

  21. Hidi, S. & Renninger, K.A. (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22. Hope, K. (1974). The Interpretation of path coefficients. Sociology, 8(3), 485-489. 

  23. Ivcevic, Z. & Brackett, M. (2014). Predicting school success: Comparing conscientiousness, gri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52(0), 29-36. 

  24. Jang, J., Chung, Y., Choi, Y., & Kim, S.-W. (2013).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ask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1-16. 

  25. Jeon, K., Park, H., & Noh, T. (2006). The impact of motivational and cognitive variables on multiple-choice algorithmic chemistry problem solving achievement goal, perceived ability, learning strategy, and self-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6(1), 1-8. 

  26. Jeong, M. & Park, W. (2006). Analysis of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on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Biology Education, 34(2), 145-154. 

  27. Jeong, S., Kim, B., Koo, I., & Park, J. (2010). Effects on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attitudes, and scientific achievements of experimental classes for kinetics unit us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6), 681-692. 

  28. Jo, S. (2011). The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6), 958-969. 

  29. Kang, S., Yang, J., & Yeau, S. (2002). Analysi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sychological learning environment which influence on science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30(2), 190-196. 

  30. Kim A. & Cho, Y.-M. (2001). Relative potency of intelligence and motivation variables in predicting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5(4), 121-138. 

  31. Kim, K. & Lee, H. (2009). The impact factors and longitudinal change of interest on scientific subject. Journal Science Education, 33(1), 100-110. 

  32. Kim, S. & Seo, H. (2011).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elated to science inquiry skill and affective domain of sci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2), 307-323. 

  33.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NY: Guilford Press. 

  34. Komarraju, M. K., Karau, S. J., & Schmeck, R. R. (2009). Role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in predicting college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1), 47-52. 

  35. Krajcik, J., Czerniak, C., & Berger, C. (2003), Teaching science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lassrooms: Project-based approach, 2nd ed., McGraw-Hill, New York. 

  36. Krapp, A., Hidi, S., & Renninger, K. A. (1992).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In K. A. Renninger, S. Hidi, & A. Krapp (Eds.), The Role of Interes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pp. 3-25). Hillsdale, NJ: Erlbaum. 

  37. Ku, B.-D., Yang, A.-K., & Choi, J.-J. (2014).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in self-efficacy: Focused on theses and journal paper in Korea since 2000.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5(5), 1979-2000. 

  38. Lee, J. & Chung, Y. (2014).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attitude toward science, science motivati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science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5), 491-497. 

  39. Lee, J.-A., Park, S., & Kim, Y. (2011). Think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3), 773-796. 

  40. Lee, S. & Sohn, Y. (2013). What are the strong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Deliberate practice and Gri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0(3), 349-366. 

  41. MacCann, C. & Roberts, R. (2010). Do time management, grit, and self-control relate to academic achievement independently of conscientiousness? In R. Hicks (Ed.),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Current directions (pp. 79-90). Bowen Hills, QLD, AUS: Australian Academic Press. 

  42. Maddi, S. R., Matthews, M. D., Kelly, D. R., Villarreal, B., & White, M. (2012). The role of hardiness and grit in predicting performance and retention of USMA cadets. Military Psychology, 24(1), 19-28. 

  43. Meece, J. & Painter, J. (2008). Gender,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p. 339-367). Mahwah, NJ,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44. Mun, K., Mun, J., Shin, S., & Kim, S. (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physics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7), 693-701. 

  45.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09). Learning science in informal environments: People, places, and pursuit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6. Park, H.-J. (2008). Test of Group invariance for the structural model among motivation, self-concept and student achievement: Using PISA 2006 data.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3), 43-67. 

  47. Park, J. & Jhun, Y. (2014). An analysis of difficulti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lass on weigh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4(3), 295-301. 

  48. Park, J., Paik, S., & Kim, D. (2003). An analysis of conceptual difficulities in electro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in-service chemistry teachers, and chemist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6), 660-670. 

  49. Park, M. & Lee, Y.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task commitment of science-gifte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4), 961-977. 

  50. Patrick, H., Mantzicopoulos, P., & Samarapungavan, A. (2009). Motivation for learning science in kindergarten: Is there a gender gap and does integrated inquiry and literacy instruction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66-191. 

  51. Reed, J., Pritschet, B. L., & Cutton, D. M. (2013). Grit, conscientiousness,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5), 612-619. 

  52. Renzulli, J. S. (2000). The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s a paradigm for school refor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9(2), 95-114. 

  53. Robertson-Kraft, C. & Duckworth, A. L. (2014). True Grit: Trait-level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Predicts Effectiveness and Retention among Novice Teachers. Teachers College Record, 116(3), 1-27. 

  54. Schunk, D. H. & Zimmerman, B. (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5. Seo, H. (2009).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 Biology Special Class at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personality traits and learning preference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9(3), 457-476. 

  56. Simpkins, S. D., Davis-Kean, P. E., & Eccles, J. S. (2006). Math and science motivation: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links between choices and beliefs. Developmental Psychology, 42(1), 70-83. 

  57. Strayhorn, T. L. (2013). What role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 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Journal of African American Studies, 18, 1-10. 

  58. Swarat, S., Ortony, A., & Revelle, W. (2012). Activity matters: Understanding student interest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9(4), 515-537. 

  59. Wolters, C. A. & Hussain, M. (2015).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10(3), 293-311. 

  60. Woo, Y. (2014). Relationships among utility value, persistence, and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self-efficacy: The mediating role of situational interest.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8(3), 405-420. 

  61. Yune, S. & Bae, S. (2011). Learning difficulties of science gifted high-school students based on Korea science academy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6), 920-930. 

  62. Zimmerman, B. J. (1989).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3), 329-399. 

  63.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84-290. 

  64.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 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