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아시아·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관 비교 분석
Analysis and Comparison of Views of Nature Between East Asia and the Western World and its Mean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3, 2016년, pp.485 - 498  

이유미 (타슈켄트 니자미 국립 사범대학) ,  손연아 (단국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과 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에 대한 관점을 문헌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서양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자연을 규칙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바라보며, 입자론, 기계론적 관점을 취한다.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며 타협적 관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자연을 계속 변화하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파동론적 입장을 취한다. 서양 자연관의 특징은 자연을 규칙성을 지닌 존재로 보고, 인간 중심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물의 구성 요소가 되는 원자나 입자들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 인과율적인 법칙을 찾아 자연의 규칙을 밝혀내어 자연을 설명하고자 한다. 동아시아 자연관의 첫 번째 특징은 논리적이고 비타협적인 서양의 자연관과 달리, 서정적인 자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천지와 만물, 인간이 서로 조화롭게 연관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는 유기체적 자연관은 동아시아 철학의 기본이 되는 음양이원론과 오행설의 바탕이 된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직관적 자연중심 사상이다. 동아시아는 천(天) 중심사상을 갖고 있다. 하늘 아래에서 인간은 차별이 없다. 서양의 과학정신이 매우 엄밀하고 비타협적인데 비하여 동아시아 지역은 관용적이어서, 모든 것을 등가치적으로 다루는 타협적인 관용성이 사고의 패턴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과학 지식과 개념은 개인의 자연관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여진다. 한국의 학교 과학교육에서는 현대 서양과학의 자연관을 따르고 있으며, 자연관에 대한 인지유형에 대한 고려를 충분히 하지 못한 채 과학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동 서양의 자연과 자연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학교 과학교육에 접목하여 학생들이 갖는 다양한 문화와 과학에 대한 생각을 함께 나눌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views and the meaning of nature between the Western world and East Asia were compa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In the West, it is recognized that nature and human beings are separate. Nature is understood as regular and rational. They, therefore, take the view of particle a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관 연구가 일반적으로 인문학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연관이라는 단어가 세계를 보는 관점, 가치, 태도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자연관 연구는 인문학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즉, 자연관 연구는 유교, 도교, 불교 등의 종교를 통해서 알아보거나 유학, 노장 사상과 같은 동아시아 철학, 혹은 신화, 설화 그리고 문학 작품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Kim & Kim, 1998; Shin, 2004; Shin, 2008; Lee, 2007; Lee, 2004).
음양이원론과 오행설의 바탕이 되는 동아시아 자연관은 무엇인가? 동아시아 자연관의 첫 번째 특징은 논리적이고 비타협적인 서양의 자연관과 달리, 서정적인 자연관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천지와 만물, 인간이 서로 조화롭게 연관되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는 유기체적 자연관은 동아시아 철학의 기본이 되는 음양이원론과 오행설의 바탕이 된다. 그리고 또 하나의 특징은 직관적 자연중심 사상이다.
동, 서양이 바라보는 자연에 대한 관점은 어떻게 다른가?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과 서양의 자연의 의미와 자연에 대한 관점을 문헌분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서양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 자연을 규칙적이고 합리적인 것으로 바라보며, 입자론, 기계론적 관점을 취한다. 반면, 동아시아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며 타협적 관용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자연을 계속 변화하는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파동론적 입장을 취한다. 서양 자연관의 특징은 자연을 규칙성을 지닌 존재로 보고, 인간 중심의 입장에서 자연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4)

  1. Aikenhead, G. (1997). Toward a first nations cross-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5), 217-238. 

  2. Allen, N. J. &, Frank E. Craqley, F. E.(1998) Voices from the bridge: Worldview conflicts of Kickapoo student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11-132. 

  3. An, J. (1997). Sunja's view of nature. Journal of Inje University, 13, 93-108. 

  4. Cho, H. (1994). Science-technology-society and science education. Seoul: Science of Education Publication. 

  5. Cho, H. & Park, S. (1995). Theor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eoul: Science of Education Publication. 

  6. Cho. H. (2013). Philosophical discourse on science education with a focus on socio-scientific issues. Human Science Research, 38, 339-359. 

  7. Choi, Y. (2010). View of nature of Confucius. Pan Korea Philosophy, 56(Spring), 1-31. 

  8. Choi, T. (2002). View of nature appear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tudy of Korea Literary Criticism, 11, 255-268. 

  9. Chong, J. (2006). Som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concept of nature. Study of East-West Philosophy, 41, 5-23. 

  10. Chuan, F., Liao, Y. & Zheng, J. (2003). History of Chinese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Iljungsa. 

  11. Cobern, W. (1993). A cooperative research group for the study of culture and science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Paper presented the UNESCO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cience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12. Cobern, W., Gibson, A. & Underwood, S. (1999) Conceptualizations of nature: An interpretive study of 16 ninth graders' everyday thin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3. Collingwood, R. (1996). The idea of nature. Philosophy of Science, 18(4), 170-184. 

  14. Collingwood, R. (1997). The idea of nature. Philosophy of Science, 19(1), 239-256. 

  15. Dhindsa, H. (2005) Cultural learning environment of upper secondary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anl of Science Education 27(6), 575-592. 

  16. Fujishima, H. (2003). Why does Japanes choose Rika rather than science. Tokyo: Tsukiji Shokan. 

  17. Han, T. (1972). Taoism view of nature. Theology Forum, 11, 71-83. 

  18. Herbert, S. (2008) Collateral learning in science: students' responses to a cross-cultural unit of 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7), 979-993. 

  19. Hiroshi, W. (2000). Learning theory in Edo period. Keio University Journal Philosophy, 105, 109-136. 

  20. Im, J. (1998). Korean's evolutional view of nature appeared in ancient myths. Folk Study, 8, 243-277. 

  21. Jang, H. (1998). Life and whole life. Seoul: Sol Publication.. 

  22. Jangja (2012). Jangja..Kim, H.(Tr.) Koyang: Yonam Seoga. 

  23. Jeo, E. (1920). Talking about spirit and memorial service. Kaebyok, 5, 32-38. 

  24. Jeong, J. (1997). Structural aspect of mental 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society. Seoul: Korea University Press. 

  25. Jeong, J. (2010). Oriental myths. Paju: Gimyoungsa. 

  26. Kawasaki, K. (1996). The concepts of science in Japanese and Western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5, 1-20. 

  27. Kawasaki, K. (2002).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English and Japanese linguistic assumptions. Canadian and International Education, 31(1), 19-51. 

  28. Kawasaki, K. (2007). Towards worldview education beyond language-culture incommensur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5, 29-48. 

  29. Kawasaki, K., Fujimura, S. & Kawahara, I. (1999). Japanese view of nature looking from metaphor of the books. Study of science education, 23(1), 42-49. 

  30. Kookminilbo. Korean is sanguine youth and Chinese, wise old. 2006. 5. 25. 

  31. Kim, C. (Ed.) (1995). Cheongguyongon. Seoul: Myungji University Press. 

  32. Kim, D. (2004). Scientific understanding for the teachings of Shakyamuni Buddha in the Jikji(I). Report of Science Education, 35, 39-47. 

  33. Kim, K. (1926). Choseon is the country of superstition. Choseon Farmers, 2(3), 5-11. 

  34. Kim, K. (2000). Comparative philosophical study of Eastern view of naturemacroscopic comparison and view of East-West. Eastern Philosophy, 16, 83-110. 

  35. Kim, I. (2003). Koreans' sense of value-Shamanism and philosophy of education.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36. Kim, M. (1926). Luck and fortune is absurd lie - living better or worse is unbreakable law of cause and effect. Choseon Farmers, 2(3), 20-25. 

  37. Kim, Y. (1987). Korean's view of nature and Sejong science. Research of King Sejong Study. 55-79. 

  38. Kim, Y. (1993). Context of Korean traditional science. Seoul: Ilnyem. 

  39. Kim, Y. & Kim, Y. (1998). Science and philosophy in East world. Seoul: Iljisa. 

  40. Kim, S. (1950). Haedongkayo. Seoul: Jeongumsa. 

  41. Koo, S. (1997). What is the nature. Graduate School Research Journal-Dongkook Graduate School, 27, 115-151. 

  42. Lao Tzu (2012). Tao Te Ching of Lao Tzu and comment of Wang Bi . Kim, H. (Tr.). Seoul: Hongik Publishing. 

  43. Lee, H. (1999). Korean ancient view of nature and royal politics. Seoul: Hyean Publication. 

  44. Lee, K. (1997). East Asian view of nature and Korean's understanding of nature. Study of Eastern Classic Literature., 9. 139-168. 

  45. Lee, K. (2007). Conception structure of Korean 3. Seoul: Shinwon Munhwasa. 

  46. Lee, M. (1933). Superstition and new women. New Woman, 7(12), 24-27. 

  47. Lee, M. (2006). Corresponding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vocabulary. Japan Study, 5, 105-118. 

  48. Lee, O. (1998) Diversity and equity for Asian American students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1(1), 107-122. 

  49. Lee, S. (2002). Nature and human of Sunja. Korean Philosophy, 22, 127-138. 

  50. Lee, Y. (1993).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of science. Seoul: Dongkoon University Press. 

  51. Lee, Y. (2007). Meaning of 'Nature' appeared at novels during 1930s.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2007 winter conference proceeding, 77-86 

  52. Minjoongseorim (2008). Essence Korean Dictionary. Minjoongseorim. Paju: Minjoongseori. 

  53. Mitsuhisa, H. (2012). Outlook Japan style science education. Tokyo: Toyokan Publisher. 

  54. Miyakyo, Y. (2009). Natural science from folklore. Tokyo: Kei Jukudai Publication. 

  55. Mookja (1993). New translation of Mookja. Kim, H. (Tr.). Seoul: Myongmoon-dang. 

  56.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07). Traditional thought about heaven, time and earth. Seoul: Doosan Donga. 

  57. Naver Encyclopedia. http://terms.naver.com. 2011. 11. 4 

  58. Naver Korean Dictionary. http://krdic.naver.com. 2011. 11. 3 

  59. Needham, J. & Colin, J. (2000).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Science of Mathematics, Heaven and Earth. Seoul: Kkachigeulbang. 

  60. No, S., Moon, S., & Jang, S. (2008). Educational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s. Seoul: Dongmoonsa. 

  61. Ogawa, M. (1995) Science education in a Multiscience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79(5), 583-593. 

  62. Patchen, T., Cox-petersen, A. (2008). Construction Cultural Relevance in Science: A Case Study of Two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92, 994-1014. 

  63. Park, S. (2005). History of Korean scientific philosophy. Seoul: Youth Book. 

  64. Platon (2000). Timaeus. Park, J. (Tr.). Paju: Seokwangsa. 

  65. Ponting, C. (2010). Green world history. Hongseong: Keumulko. 

  66. Ryu, S. (2004). The significance of nature's silence in sijo. Journal of Shijo Study, 20, 5-27. 

  67. Sa, J. (1928) Lair of devils deceiving the world and people. Byolkeonkon, 3(5), 88-94. 

  68. Sachi, M. (2004). Theory of scientific culture-connection people and nature. Tokyo: Asakura Shoten. 

  69. Shin, D. (2004). Study of traditional view of nature. Journal of Kyongbuk Social Science University, 12, 7-26. 

  70. Shin, D., Kim, N. & Yeo, I. (2010). Dongyibogam. Paju: Dulnyouk.Publication.. 

  71. Shin, D. & Lee, D. (2000). Children's view of environmental value and attitudes. Environmental Education, 13(2), 63-73. 

  72. Shin, J. (2008). The dialectic of discourse of shamanism in colonization period and literature. SAI 4. 361-396. 

  73. Shiro, O. (1995). What is view of nature. Physics Education, 43(1), 41-42. 

  74. Son, M. (1937). Study of superstition. Sahaekongron, August, 67-73. 

  75. Stanley, W., Brickhouse, N. (1994) Multiculturalism, universalism, an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8(4), 387-398. 

  76. Sunja (2008). Sunja. Seoul: Eulyumunhwasa. 

  77. Sutherland, D. (2002) Exploring culture, language and the per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 1-25. 

  78. Ohasi, Y. (2003). Study on Japan scientific view. Journal of Pedagogy Bunkyo University, 37, 1-2. 

  79. Won, J. & Paik, S. (2005). Theoretical study about world view that has influence on students' scientific conceptual change. Cheongra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1), 1-10. 

  80. Won, J. & Paik, S. (2011). Analysis of relation between features of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and factors related students' learning.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282-295. 

  81. Yabuuchi (1997).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Seoul: Minumsa. 

  82. Yeo, J. (1983. 5. 6). Chinese toleration. Kyonghyang Shinmun, 1. 

  83. Yun, J. (1994). Meaning and its change of Shijo in late Choseon period. Kroean and Korean literature, 31, 99-118. 

  84. Ziman, J. (1994).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and society. Seoul: Science-Wave Publica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