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보건관리전문기관의 작업환경관리 지도에 따른 일부 지역 사업장 보건업무담당자와 근로자의 실천도
Practice of Health Managers and Workers according to Guidance of Work Environment Management of Specialized Health Management Institution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6 no.2, 2016년, pp.198 - 209  

김윤희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guidance services for the management of the workplace environment of the specialized health management institution, by making inquiries on the perception and extent of practice by health managers and workers in the work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용노동부에서 ‘01~05년 작업환경측정 추이 및 측정결과 분석, 노출기준 초과 사업장의 개선 현황’(MoEL, 2006), ‘연간 사업장 규모별, 유해인자별, 지방청별 측정실 시현황과 노출기준 초과현황 통계자료’(MoEL, 2008)를 제공해오고 있으나 측정현황 및 노출기준 초과에 대한 작업환경개선 현황에 국한되어 최근 유해인자에 대한 중소규모 사업장의 작업환경관리 실천여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된 보건관리위탁제도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전문기관의 작업환경관리 지도에 대한 사업장 담당자와 근로자의 실천도를 조사하여 전문기관의 업무수행방법과 제도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보건관리위탁제도에 대한 실효성에 대하여 논의되면서 전문기관의 업무수행방법과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전문기관의 작업환경관리 지도에 대한 만족도, 담당자의 공학적 개선 지도에 대한 실천도와 사유, 관리적 개선 지도에 대한 실천도와 사유로 구분하여 실천도와 사유에 대하여 자유설문형식으로 묻고 조사자가 기록하는 심층면접을 시도하였다.
  •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형식적인 설문조사에서 탈피하여 담당자와 근로자를 심층면접을 통하여 보다 진솔한 답변을 얻고자 하여 직접적인 현장 순회와 건강상담시 면담을 통하여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얻고자 하였다. 둘째, 작업환경관리에 대하여 담당자와 근로자의 실천도를 비교한 최초자료이며, 그동안 요구도 조사와 담당자의 인식 및 태도 조사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면, 실제로 작업환경관리 개선 지도에 대한 실천도를 통하여 보건관리위탁제도가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에 대하여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가설 설정

  • 첫째, 광주지역 97개 사업장만의 담당자와 근로자를 대상자로 하였기 때문에 지역적 특화된 업종과 보건관리자 선임업종을 확대하여 언급할 경우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둘째, 단면조사로 현재 만족도이기 때문에 과거의 만족도와 전, 후 비교를 하였을 경우에는 만족도의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셋째, 사업장 당 담당자와 근로자 1인만을 대상자로 하여 사업장 전체의 실태와 의견을 반영한다라고 보기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건관리전문기관은 어떤 기관인가 ? 보건관리전문기관은 보건관리에 대한 사업주의 의무사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 건법 제 16조 3항, 동시행령 제19조(MoGL, 2015)에의거,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정을 받아 사업장 보건관리업무를 전문적으로 지도⋅지원해주는 기관이다 (OHSI, 2015)(이하 ‘전문기관’으로 함). 전문기관의 지정인력으로는 의사, 간호사, 산업위생 관련 자격자가 있으며, 표준업무 내용으로는 사업장 보건관리 계획수립 및 평가, 위험성 평가, 유해물질관리, 작업환경관리, 작업관리, 보호구 관리, 보건교육, 건강진단관리, 직업병관리, 질병관리, 건강상담, 건강증진, 응급 처치 지도, 산업재해조사, 보건관리체계구축, 산업보 건정보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OHSI, 2015).
전문기관의 지정인력은 누구인가 ? 보건관리전문기관은 보건관리에 대한 사업주의 의무사항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 건법 제 16조 3항, 동시행령 제19조(MoGL, 2015)에의거,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정을 받아 사업장 보건관리업무를 전문적으로 지도⋅지원해주는 기관이다 (OHSI, 2015)(이하 ‘전문기관’으로 함). 전문기관의 지정인력으로는 의사, 간호사, 산업위생 관련 자격자가 있으며, 표준업무 내용으로는 사업장 보건관리 계획수립 및 평가, 위험성 평가, 유해물질관리, 작업환경관리, 작업관리, 보호구 관리, 보건교육, 건강진단관리, 직업병관리, 질병관리, 건강상담, 건강증진, 응급 처치 지도, 산업재해조사, 보건관리체계구축, 산업보 건정보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OHSI, 2015). 중소규모 사업장 보건관리를 전문기관의 인력과 시설을 공동으로 활용하여 종합적인 관리를 함으로써, 근로자에게는 건강증진의 효과가 나타남과 더불어 사업주에게는 경제적 비용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를 기대하였다(OHSI, 2015).
작업환경관리에 있어 유해 인자별 순위는 ? 1%)이 ‘실천한다’고 답하여 공학적 개선 지도가 대부분 실천되지 않음을 보여줬다. 유해 인자별로는 유기화합물, 분진 및 금속류, 소음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천하지 않는 사유로는 소음, 유기화합물에서는 ‘고비용’이 높았고, 분진 및 금속류 사업장에는 ‘결정권이 없음’이 높았다.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94조(MoGL, 2015)에 의하면, 사업주는 작업환경측정 결과 노출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해당시설⋅설비의 설치⋅개선 또는 건강진단의 실시 등 적절한 조치하도록 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Occupational Health Service Institution(OHSI). Health management business guidebook.;2015. p.2-13 

  2.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FKTU). Current status, issues and improvement of workplac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s.;2012. p. 1-6 

  3. Jeong JO. The starting point of occupational health, workplaces rounding(Safety health reviews. No 35). Korea Employers Federation(KEF);2011-01 

  4. Kim GS, No JH, Lee GJ, Jeong HG, and Mun YH. Study on workplace environ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health Problems. The Kor J of Occup Med 1993;5(1):3-14 

  5. Kim GY, Pi YG, Lee GJ, Kim JJ, Ki YH.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roviding and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and study on effective management of protective equipment.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8. p. 2-3 

  6. Korea Employers Federation(KEF). Issues with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policies and improvement proposals in the Eyes of Employers.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mmissiom;2014. p. 3-37 

  7.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KSOEM).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Gyechuk Munhwasa.;2014. p.48-51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Available from:URL:https://www.moel.go.kr/search/search.jsp 

  9.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The Regulations on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Institutes and Disaster Prevention Institutes. Published Rulings No. 71. 2014 

  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MoGL).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Ordinance No.11862. 2013 

  1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MoGL).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Ordinance of the President. No.26093. 2015 

  12.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MoGL). Enforcement Rules of the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Act.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No. 122. 2015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Workplace environment measurement trend between 2001 and 2005.; 2006 

  14.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Current status of workplace environment measurement 2007.; 2008 

  15. Park BH, Kim HS, Lee YJ, An GD, Lee BK. Change in workplace environment standards after occupational health proxy Service. Soonchunhyang J of Ind Med, 1999;5(1):67-76 

  16. Park BI. Survey on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trend 2012. Incheo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213. p. 850 

  17. Won JW, Hwang JH, Lee MS, Choi SY, Lim JH. Study on improvement of effective workplace health management. Incheo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2008. p. 2014-2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