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특성에 따른 강우유출수 유출특성 및 상관관계 분석
Characteristics of Storm Runoff and Analysis of Its Correlation with Forest Propertie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7, 2016년, pp.1007 - 1016  

정우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에너지공학과) ,  장순웅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has been strengthened to protect the source waters in Korea and to improve their water quality. Increasing of non-point source caused water quality problem continuously. Research on runoff from forests, which occupy over 65% of the land in korea, is insuffici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산림지역의 강우유출수의 특성을 파악하고, 강우특성이 다른 2지점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통계분석을 통해 강우특성과 EMC농도의 상관분석 및 CODMn-TOC간의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 또한, 유출 특성 및 영향인자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기물 유입 분석을 위해 적용되고 있는 CODMn의 적용성을 비교하기 위해 TOC와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산림지역의 강우유출특성과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이 우리나라 국토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얼마인가? 최근, 도시 및 포장지역 등 초기농도가 높은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연구가 되었지만, 산림지역의 강우유출수가 수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산림은 우리나라 국토의 65%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에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및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Kim and Kwon, 2005).
비점오염원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14). 비점오염원은 점오염원과 달리 오염물질의 유출량 및 농도가 예측되지 않고, 하수종말처리장과 같은 집중처리가 불가능하여 상수원의 보호 및 수질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Han and An, 2008). 이에 따라, 4대강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을 통해 환경기초시설을 확충하여 비점오염원을 관리하였지만 수질에 대한 우려는 지속되었다(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산림지역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점의 유출수를 채취한 방법은 무엇인가? 산림지역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및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대상지점의 유출수를 채취하였다. 시료 채취는 강우 시작부터 1시간까지 15분 간격으로 총 5회 이후로 1~2시간 간격으로 강우종료 시 까지 총 10회의 채수를 실시하였다. 채취한 시료는 아이스박스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D. H., Jung, J. W., Yoon, K. S., Lee, K. S., Choi, W. J., Lim, S. S., Park, H. N., Yim, B. J., Hwang, T. H., 2012, Estimation of TOC concentration using BOD, COD in runoff from paddy fields, J. Korean Soc. Water Environ., 28(6), 813-818. 

  2. Choi, J. Y., Lee, S. Y., Kim, L. H., 2009, Wash-off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s from forest landuse, J. korean soc. Hazard Mitig., 9(4), 129-134. 

  3. Choi, K. S., Kim, B. C., Kim, H. B., Sa, S. H., 2000, Relationships between organic carbon and $COD_{Mn}$ in a deep reservoir, lake Soyang, Korea, Kor. J. Limnol., 33(4), 328-335. 

  4. Chung, W. J., Lee, I. K., Lee, S. J., Chang, S. W., 2014, Assessment of constructed wetland of removal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rainfall characteristics in wolmun stream, J. korean soc. Hazard Mitig., 14(1), 327-332. 

  5. Han, J. H., An, K. K., 2008, Water quality variation dynamics between artificial reservoir and the effected downstream watershed: The Case study, Kor. J. Limnol., 41(3), 382-394. 

  6. Hur, J., Chung, N. J., Shin, J. K., 2007, Spectroscopic distribu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 in a dam reservoir affected by turbid storm runoff, Environ. Monit. Assess., 133(1-3), 53-67. 

  7. Jeong, J. J., 2011, Hydrologic controls on the export of dissolved and particulate organic carbon in a forest stream investigated by high-frequency in-situ monitoring,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 Protection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8. Kalbitz, K., Schemerwitz, J., Schwesig, D., Matzner, E., 2003, Biodegration of soil-derived dissolved organic matter as related to its properties, Geoderma, 113 (3-4), 273-291. 

  9. Kang, C. G., Lee, S. Y., Marla, C. M., Kim, L. H., 2009, Application of free water surface constructed wetland for treating the agricultural runoff, J. Environ. Impact Assess., 25(1), 63-76. 

  10. Kang, C. G., Lee, S. Y., Gorme, J. B., Lee, J. U., Kim, L. H., 2009, Determination of EMC and wash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from broad-leaved forest areas, J. Environ. Impact Assess., 18(6), 393-399. 

  11. Kawasaki, M., Ohte, N., Katsuyama, M., 2005, Biogeochemical and hydrological controls on carbon export from a forested catchment in central Japan, Ecol. Res., 20(3), 347-358. 

  12. Kim, G. H., Kwon, S. H., 2005, Estimation of BOD loading of diffuse pollution from agricultural-forestry watersheds, J. Korean Soc. Water Qual., 21(6), 617-623. 

  13. Kim, J. G., Sin, M. S., Chang, C. W., Jung, S. M., Kim, B. C., Kim, J. G., 2007, Comparison of TOC and DOC distribution and the oxidation efficiency of BOD and COD in several reservoirs and rivers in the Han River system, J. Korean Soc. Water Qual., 23(1), 72-80. 

  14. Kim, M. H., Ryu, H. J., Kim, M. S., Lee, W. H., 2002, Hydraulics, First ed, Dong Hwa Technology, korea. 

  15. Kim, S. J., Kim, J., Kim, K., 2010, Organic carbon efflux from a deciduous forest catchment in Korea, Biogeo-science, 7, 1323-1334. 

  16.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17. Lee, H. H., Ha, S. K., Hur, S. O., Jung, K. H., Kim, W. T., Kim, K. H., 2006, Characteristics of runoff and percolation on sloping land with different soil textures, Korean J. Soil Sci. Fert., 39(5), 268-273. 

  18. Lee, J., Lee, S., Yu, S., Rhew, D., 2016, Relationships between water quality parameters in rivers and lakes : BOD5, COD, NBOPs, and TOC, Environ. Monit. Assess., in progress. 

  19. Liu, C. P., Sheu, B. H., 2003, Dissolved organic carbon in precipitation, throughfall, streamflow, soil solution, and stream water at the Guandaushi subtropical forest in taiwan, Forest Ecol. Manag., 172, 315-325. 

  20. Lyou, C. W., Shin, Y. C., Heo, S. G., Lim, K. J., Choi, J. D., 2006,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from forest watershed, Korean Commit. Irrig. & drain., 13(1), 63-71. 

  21. Michalzik, B., Kalbitz, K., Park, J. H., Solinger, S., Matzner, E., 2001, Fluxes and concentration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nitrogen - A synthesis for temperate forests, Biogeochemistry, 52(2), 173-205.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0, Analysis of water and non-point pollutants balance in the Keum river. 

  23. Park, J. H., Moon, M. J., Han, S. W., Lee, H. J., Jung, S. J., Hwang, K. S., Kim, K. S., 2014, Application of regression analysis model to TOC concentration estimation, J. environ. Impact Assess., 23(3), 187-196. 

  24. Raymond, P. A., Saiers, J. E., 2010, Event controlled DOC export from forested watersheds, Biogeochemistry, 100(1), 197-209. 

  25. Tao, S., 199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in DOC in the Yichun River, China, Water Resour. Res., 32(7), 2205-2210. 

  26. Yur, J. H., Kim, G. H., 2005, Comparison of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 loads from urban, agricultural and forestry watersheds, J. Korean Soc. Water Qual., 23(2), 184-189. 

  27. Zhang, S., Lu, X. X., Sun, H., Han, J., Higgitt, D. L., 2009, Geochemical charateristics and fluxes of organic carbon in a humandisturbed mountainous river (the Loudingjiang River) of the Zhujiang (Pearl River), China, Sci. Total Environ., 407(2), 815-82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