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전체맞춤의료를 둘러싼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도덕성 논쟁 -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
Moral Debate on the Use of Human Materials and Human Genome Information in Personalized Genomic Medicine: - A Study Focusing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Duty to Share - 원문보기

의료법학, v.17 no.1, 2016년, pp.45 - 105  

정창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법윤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현대 유전체 맞춤 의료에서 인간유전체 정보를 둘러싼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논쟁들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해 필자는 먼저 인간유전체 맞춤 의료의 정의와 이슈를 정리해 볼 것이다. 이후 본 논문은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를 둘러싼 논란을 크게 두 방향에서 전개한다. 두 방향이란 인간유전체 정보의 소위 개인적인 측면과 공동체적 측면을 말한다. 인간유전체 정보는 과연 누구의 것일까? 한 개인의 것일까? 그 개인이 속한 가족이나 공동체의 것일까? 필자는 인간유전체 정보가 이 두 속성을 모두 갖는다고 본다. 그리고 이 두 속성은 정보가공과 관련하여 개인과 공동체의 입장차를 중심으로 정보가공자인 연구자와 정보소유를 둘러싼 몇몇 문제를 제기한다. 그리고 이렇게 제기된 문제는 또 다른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인체유래물로부터 그 정보를 가공한 연구자는 그 정보에 대해 얼마만큼의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들을 가지고 헬라세포(HeLa cell), 트리스탄 다 쿠나(Tristan da Cunha)섬 사람들의 천식유전자 특허, 과이미(Guaymi)여성 세포주, 하가하이(Hagahai)남성 세포주 등의 사례를 통해 유전체 맞춤의료를 위한 연구와 유전정보데이터베이스 구축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논쟁점들을 고찰해 보려 노력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인체유래물 및 인간유전체 정보의 잊혀질 권리와 공유할 의무의 변증법적 종합을 몇몇 도덕철학자들의 입장을 통해 시도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bate the duty to share and right to be forgotten of human materials and human genome information in modern personalized medicine. This study debates the use of human materials and human genome information in modern personalized medicin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주제어

참고문헌 (41)

  1. 강수택, "시민주의 사회정책의 토대로서 인권과 연대", 사회이론 봄/여름, 2011. 

  2. 김규식 외, "폐암 클리닉을 위한 공유 전자의무기록",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 59. No. 5. 

  3. 김한나.정창록.김소윤, "한국의 인간유전체연구에 있어 개인프라이버시권과 국제데이터공유원칙 적용의 문제점", 한국의료법학회지, 한국의료법학회, 2015. 6. 

  4. 문재완, "잊혀질 권리의 입법현황과 향후 과제". 

  5. 박수헌, "커먼룰과 보관된 인체유래물에 관한 제공자의 권리", 생명윤리정책연구 제6권 제1호, 생명의료법연구소, 2012년 6월. 

  6. 박영철, "생체정보의 보호", 헌법학연구 제10권 제4호, 2004.12. 

  7. 정규원.김수영, "인체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법과정책연구 제13집 제4호, (사)한국법정책학회, 2013. 

  8. 정원규, "현대사회와 분리개념의 분화-사회윤리와 개인윤리", 철학연구 제59집. 

  9. 정영화, "헌법상 정보 프라이버시로서 '잊혀질 권리"', 법학논고 제39집,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6. 

  10. 정창록, "베이비 박스의 도덕성 논쟁",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5권 제2호, 한국의료윤리학회, 2012년 8월. 

  11. 정창록, "보건생명의료분야에서 개인정보 관련 법률 간의 대립과 모순",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18권 제4호, 한국의료윤리학회, 2015년 12월. 

  12. 장은주, "인권과 민주적 연대성: 유가 전통과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 시대와 철학. 

  13. 장원경, "인체유래물의 국제적 이동: 윤리적, 법적, 사회적 논의의 필요성", Global Legal Issues 2012 [1], 한국법제연구원, 2012. 

  14. 이재목,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Moore v. Regent of the California 사건을 중심으로-", 법조 제55권 제4호(통권 제595호), 2006. 

  15. 유지홍, "인체유래물의 법적 지위에 대한 인격적 측면에서의 고찰-인격성의 본체로서 DNA의 성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법학 제56권 제2호, 2015. 6. 

  16. 위라만트리, "인권과 과학기술의 발전", 유네스코포럼 제11호(겨울호), 1999. 

  17. 최경진, "소위 "잊혀질 권리"에 관한 유럽사법재판소(ECJ) 판결의 유럽 법제상 의미-구글 사건을 중심으로". http://slownews.kr/26728 2014년 11월 8일 토요일. (1면, 2면). 

  18. 장원경, 소수토착인구의 인체유래물에 대한 국제 규범적.윤리적 대응방안 (International Legal and Ethical Countermeasures Concerinig Human Materials from Indigenous Peoples), 한국법제연구원, 2013. 6. 30. 

  19. 문성학, 삶의 의미와 윤리, 대구: 형설출판사, 2009. 

  20. 황경식, 개방사회의 사회윤리 제1장, 철학과 현실사, 1995. 

  21. 조선일보, 인체 '게놈 분석 1000달러 시대'왔다, 2014. 2. 27. 

  22. 전자신문, 5788억원 짜리 유전체 정보 라이브러리 구축...개인별 맞춤의학 시대 열린다, 2015. 6. 7. 참조. 

  23. 한겨레, 놈놈놈...이제는 '개인별 게놈' 풀어낸다, 2009. 1. 17 참조. 

  24. 한겨레, 유한양행, 개인 게놈분석 시장 진출, 2012. 8. 9. 

  25. 조선일보, 인체 '게놈 분석 1000달러 시대'왔다, 2014. 2. 27. 

  26. 한국게놈프로젝트 홈페이지 'http://Kpgp.kr/index.php/Edu1-1-8' 2014년 11월 7일. 

  27. 동아사이언스, 헨리에타 렉스, 죽고 나서야 전 세계를 여행한 여인 [강석기의 과학카페 141] 헬라세포 게놈이 공개된 사연, 2013년 8월 26일. http://m.dongascience.com/index/view?newsIdx2113&status. 

  28. http://slownews.kr/26728 2014년 11월 8일 토요일. 

  29. http://hongiiv.tistory.com/668 2014년 11월 9일 참조. 

  30. 생명과학대사전, 2008.2.5. 

  31. Kara H. Ching, Indigenous Self-Determination in an Age of Genetic Patenting: Recognizing an Emerging Human Rights Norm, 66 Fordham L. Rev. 687, 687-688 

  32. Charles Weijer, Gary Goldsand & Ezekiel J. Emanuel, Protecting Communities in Research: Current Guidelines and Limits of Extrapolation, 23 Nature Genetics Nov. 2005. 

  33. McCarthy MI, Abecasis GR, Cardon LR, et al.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for complex traits: consensus, uncertainty and challenges. Nat Rev Genet 2008; 9 

  34. Cochrane GR, Galperin MY. The 2010 Nucleic Acids Research Database Issue and online Database Collection: a community of data resources. Nucleic Acids Res 2010; 38 (suppl 1): D1-4. 

  35. Ching, Gary Goldsand & Ezekiel J. Emanuel, Protecting Communities in Research: Current Guidelines and Limits of Extrapolation, 23 Nature Genetics, 275, 1999, 701면.] 

  36. Debra Harry, Indigenous Peoples and Gene Disputes, 84 Chi.-Kent L. Rev. (2009) 

  37. Rural Advancement Foundation Intemational(RAFI), Indigenous Person from Papua New Guinea Claimed in US Government Patent (1995), http://www.spunk.org/texts/colon/sp001144.txt (2016년 4월 5일 검색) 

  38. Morrison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Resource Studies, Human Genome Diversity Project, http://hsblogs.stanford.edu/morrison/human-genome-diversity-project/ (2016년 4월 5일). 

  39. Moore v.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51 Cal.3d 120; 271 Cal. Rptr. 146;793 p.2d). 

  40. Michael P. Alpers, Perspectives from papua New Guinea, 20.2 Cultural Survival Quarterly (1996). 

  41. Joan L. McGregor, Population Genomics and Research Ethics with Socially Indentifiable Groups, 35 J.L. Med. & Ethics (2007).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