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강댐 상류 소유역의 유출량 추정을 위한 SWAT 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SWAT Model Applicability for Runoff Estimation in Nam River Dam Watershed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58 no.4, 2016년, pp.9 - 19  

김동현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김상민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Insti. of Agric, and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model for runoff estimation in the Nam river dam watershed. Input data for the SWAT model were established using spatial data (land use, soil, digital elevation map) and weather data. The SWAT mo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상류에 위치하고, 장기간의 실측자료 수집이 가능한 산청, 신안, 창촌 소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 각 소유역의 연도별 유출량, 유출률 및 유출특성을 분석하고 다양한 평가지표를 이용 하여 남강댐 상류에서 유출되는 유출량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 모형을 적용하여 남강댐 상류 소유역인 산청, 신안, 창촌의 유출량을 산정하고 실측자료와 모의자료의 비교 및 분석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SWAT 모형의 입력자료인 수치고도, 토지피복도, 토양도를 ArcGIS를 통해 구축하고 산청 기상관측소의 2000 ~ 2014년까지 기상자료를 수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WAT 모형은 무엇인가?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은 준분포형 모형으로서 수치고도자료인 DEM을 이용하여 유역경계를 자동으로 산정하고, 유역내 토지이용과 토양에 따른 수문반응단위를 통해 유역의 유출량, 유사, 영양물질의 이동 등을 모의한다. 국내 주요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성 평가 및 검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 졌으며, 유역의 유출량 추정 및 분석을 기본으로 비점 오염, 토양유실량, 하천수질개선 그리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미래 유출량 추정 및 분석 등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남강댐 유역의 강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남강댐 유역은 연평균 강수량이 1,634 mm (2000 ~ 2014년의 연평균 강수량)으로 남부지방 (1,000 ~ 1,800 mm)에서도 다우지역에 속한다 (기상청). 또한 하상계수가 크기 때문에 우기에 남강의 수위, 유속이 증가 하고 하천 침식 및 고농도의 탁수가 발생하여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남강댐 상류 소유역에 대한 유출량 추정 및 수문 특성에 대한 분석은 향후 남강댐의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할 것이다.
SWAT 모형의 국내 적용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SWAT 모형의 국내 적용사례를 살펴보면 유역단위 유출량 추정과 실측자료와 모의자료를 비교하고 적합성을 평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Moon and Kim (2006)은 대전광역시 3대 하천인 유등천, 대전천, 갑천의 수위관측지점에 SWAT모형을 적용하여 소유역에 대한 유출량을 추정하여 최적 매개 변수와 COE, R2, R.E 등 모형 평가지표를 통해 적용성을 평가한 바 있다. Kang et al. (2013)은 제주도 남부지역에 위치한 강정천과 악근천을 대상으로 2009 ~ 2012년까지 실측한 유량자료를 활용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고 장기간의 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실측 자료를 통해 매개변수 보정으로 일유출량 모의를 정밀하게 분석한 바 있다. Jung et al. (2012)은유량자료 수득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유역면 적만을 활용하는 비유량법, 유출에 영향을 주는 지형인자를 이용하는 지역회귀방법, 그리고 SWAT 모형의 유량추정 방법을 비교한 바 있으며, 금호강 유역 내에 하류지점에 위치한 동촌 수위관측소의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각 방법을 통해 유량을 산정 및 비교한 결과 비유량법과 SWAT 모형의 유량추정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판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reen, W. H. and G. A. Ampt, 1911. Studies on soil physics, 1. the flow of air and water through soils.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s 4: 11-24. 

  2. Jung, J. Y., B. S. Kang, and Y. K. Cha, 2007. Separation of baseflow using antecedent recession requirement and estimation of representative unit hydrograph by the Nash model.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1762-1767 (in Korean). 

  3. Jung, Y. H., C. G. Jung, S. W. Jung, J. Y. Park, and S. J. Kim, 2012. Estimation of upstream ungauged watershed streamflow using downstream discharge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6): 169-176 (in Korean). 

  4. Kang, M. S., S. K. Yang, W. Y. Jung, and D. S. Kim, 2013. Characteristics of runoff on southern area of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2(5): 591-597 (in Korean). 

  5. Kim, K., J. H. Kim, C. K. Park, 1997. Pesticide runoff from soil surface by rainfal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ral Agriculture 16(3): 274-284 (in Korean). 

  6. Kim, P. W., 2012. A Study on simulation on runoff and pollution load of Namgang-dam basin using SWAT model. Master's thesis, Gyeongnam University (in Korean). 

  7. Kim, S. M., S. J. Kim, and S. M. Kim, 2012. A comparative study of unit hydrograph models for flood runoff estimation for the streamflow stations in Namgang-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3): 65-74 (in Korean). 

  8. Lee, J. M., Y. D. Kim, B. S. Kang, and H. S. Yi, 2012. Impact of climate change on runoff in Namgang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5(6): 517-529 (in Korean). 

  9. Lee, Y. J., 2011. Application of SWAT for estimating daily inflow of Jinyang reservoir. Master's thesis, Changwon University (in Korean). 

  10. Moon, J. P., and T. C. Kim, 2006. Streamflow estimation for subbasins of Gap stream watershed by using SWAT2000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8(5):29-38 (in Korean). 

  11. Neitsch, S. L., J. G. Arnold, J. R. Kiniry, and J. R. Williams Grassland, 2009.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Soil and Water Research Laboratory-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Blackland Research Center-Texas AgriLife Research. 

  12. Park, J. Y., M. J. Park, S. R. Ahn, and S. J. Kim, 2009. Watershed modeling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on stream water quality of Chungju dam watershe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10): 877-889 (in Korean). 

  13. Soil Conservation Service. 1972. Section 4: Hydrology in national engineering handbook. SC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