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돼지 분뇨와 sPAES 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Fuel Cells Using Pig Waste and sPAES Membrane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4 no.4, 2016년, pp.453 - 458  

이세훈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  문지윤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  김영숙 ((주)ETIS) ,  추천호 ((주)ETIS) ,  나일채 ((주)CNL Energy) ,  이정훈 ((주)CNL Energy) ,  이무석 (코오롱인더스트리(주) Eco 연구소 중앙기술원) ,  이동훈 (코오롱인더스트리(주) Eco 연구소 중앙기술원) ,  박권필 (순천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MEA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와 돼지분뇨를 이용해 미생물연료전지(MFC)를 구동하였다.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과불소계막과 탄화수소막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탄화수소막으로 sPAES 막을 사용하였고 과불소계막은 Gore 막을 사용했다. sPAES MEA가 Gore MEA보다 OCV는 50mV 높았고 출력 밀도는 비슷했다. sPAES 막을 강화시킴으로써 성능을 안정시킬 수 있었다. 미생물 연료전지의 셀 온도 $45^{\circ}C$에서 최고의 성능을 얻었고 배양액 순환속도 50 ml/min에서 최고의 성능을 얻었다. 최적 조건에서 돼지 분뇨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에서 최고 $1,100mW/m^2$의 출력 밀도가 발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al fuel cells (MFC) were operated with pig wastes and 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MEA (Membrane and Electrode Assembly). Performance of hydrocarbon membrane was compared with that of perfluoro membrane at MFC condition. Sulfonated-Poly(Arylene Ether Sulfone) was used as hydr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미생물연료전지에서도 탄화수소계막으로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sPAES)막을 사용해 미생물 연료전지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생물 연료전지의 해결해야할 또 하나의 문제는 낮은 성능인데 본 연구에서 돼지 분뇨를 사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구동조건에 따른 성능 변화를 연구해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Grzebyke등[3]은 polyethylene/poly(styrene-co-divinylbenzene)을 슬폰화하여 Nafion막 대신 사용하였는데 성능은 Nafion막에 비해 낮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미생물연료전지에서도 탄화수소계막으로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sPAES)막을 사용해 미생물 연료전지의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미생물 연료전지의 해결해야할 또 하나의 문제는 낮은 성능인데 본 연구에서 돼지 분뇨를 사용한 미생물 연료전지에서 구동조건에 따른 성능 변화를 연구해 미생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해질막이 고가이며 PEMFC 가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전극과 전해질막의 가격이 전체 PEMFC 가격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전해질막이 고가인 이유는 불소계막을 사용하기 때문이므로 불소계막 대신 탄화수소계 막을 사용해 가격을 낮추고자 하는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Grzebyke등[3]은 polyethylene/poly(styrene-co-divinylbenzene)을 슬폰화하여 Nafion 막 대신 사용하였는데 성능은 Nafion막에 비해 낮은 결과를 얻었다.
미생물연료전지와 PEMFC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미생물연료전지(MFC)는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와모두 동일한 데, 다른 점 하나는 anode에 수소를 공급하는 대신 미생물과 유기물을 공급하여 전기를 발생하는 에너지 변환장치이다. MFC는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전자와 프로톤을 생성해 PEMFC의 백금 촉매 역할을 하는 것이다.
MFC에서 촉매로 사용되는 전자방출균은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미생물이 유기물을 산화시킬 때 발생하는 전자는 미생물세포막에 존재하는 일련의 전자전달계를 경 유하면서 ATP형태의 에너지를 생산하게 되고, 전자전달계를 빠져 나온 전자는 최종전자수용체를(terminal electron accepter, TEA)를 환원시키면서 대사 작용이 완성된다[1]. 일부 미생물은 전자를 체 외에존재하는금속산화물같은최종전자수용체로이동시킬수있다. 이런 미생물은 전자방출균(exoelectrogen)이라하며, 이 미생물이 MFC에서 촉매로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Nester, E. W., Anderson, D. G., Roberts, C. E. and Nerster, M. T., Microbiology: A Human Perspective, 7th ed., McGraw-Hill, New York(2011). 

  2. Environmental Statistics Yearbook Vol. 25, the Ministry of Environment(2012). 

  3. Grzebyk, M., Pozniak, G., "Microbial Fuel Cells (MFCs) with Interpolymer Cation Exchange Membrane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41, 321-328(2005). 

  4. Kim, Y. S., Chu, C. H., Jeong, J. J., Ahn, M. W., Na, I. C., Lee, J. H. and Park, K. P.,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Fuel Cells Using Livestock Waste and Degradation of MEA," Korean Chem. Eng. Res., 52(2), 175-181(2014). 

  5. Morrisa, J. M., Jin, S., Crimid, B. and Prudend, A., "Microbial Fuel Cell in Enhancing Anaerobic Biodegradation of Diesel,"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46, 161-167(2009). 

  6. Nandy, A., et al., "Utilization of Proteinaceous Materials for Power Generation in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by a New Electrogenix Bacteria Lysinibacillus sphaericus VA5,"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53, 339-344(2013). 

  7. Du, Z., Li, H. and Gu, T., "A State of the Art Review on Microbial Fuel Cells: A Promising Technology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Bioenergy," Biotechnology Advances, 25, 464-482(2007). 

  8. Jeong, J. J., Shin, Y. C., Lee, M. S., Lee, D. H., Na, I. C., Lee, H. and Park, K. P., "Characteristics of Poly(arylene ether sulfone) Membrane for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Korean Chem. Eng. Res., 51(5), 556-560(2013). 

  9. Min, B. K., Kim, J. R., Oh, S. E., Regan, J. M. and Logan, B. E., "Electricity Generation from Swine Wastewater Using Microbial Fuel Cells," Water Research, 39, 4961-4968(2005). 

  10. Song, J. H., Kim, S. H., Ahn, B. K., Ko, J. J. and Park, K. P., "Effect of Electrode Degradation on the Membrane Degradation in PEMFC," Korean Chem. Eng. Res., 51(1), 68-72(2013). 

  11. Lee, H., Kim, T. H., Sim, W. J., Kim, S. H., Ahn, B. K., Lim, T. W. and Park, K. P., "Pinhole Formation in PEMFC Membrane After Electrochemical Degradation and Wet/dry Cycling Test," Korean J. Chem. Eng., 28, 487-491(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