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National Park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9 no.2, 2016년, pp.147 - 152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원혁재 (국립공원관리공단 자원보전처) ,  명현호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사업은 국립공원 생태계의 구성, 구조 및 기능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경향성에 대해 과학적 정보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과학적 관리방법을 결정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평가 결과는 공원 보전과 공원정책에 반영하고 국민과의 공감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건강성 평가 프로그램 절차는 목표 설정 및 개념 정립, 개념적 모델 개발, 프레임 설정, 평가 지표 선정, 평가등급 및 지수화, 건강성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건강성 평가 지표는 공통 지표, 선택 지표, 기후 지표 등 총 13개의 지표를 추출하였으며, 평가 결과의 시각화를 위해 픽토그램을 개발하였다. 건강상태를 5개 색깔로 구분하였으며, 과거의 상태와 비교하기 위해 3개의 도형으로 구분하였다. 건강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설악산, 오대산국립공원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북한산, 계룡산국립공원이 낮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echnique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n Korea National Parks. The purpose of natural resource monitoring in national parks is to develop scientific information on the current status and long term trends in the composition, structure, and function of park e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의 목적은 국립공원 생태계의 구성, 구조 및 기능에 대한 현재 상태와 장기동향에 대한 과학적인 정보를 분석하고, 현재 공원관리 방향성에 대한 방법을 결정하며, 미래의 공원관리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NRC, 1994; Elzinga et al., 1998; NPS, 2012). 모니터링 정보 활용은 관리자의 의사 결정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공원 자원 관리의 능력을 향상시키며, 공원관리자가 직면한 위협요인을 완화시키고 법적·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 국립공원사무소는 자연자원조사, 자원모니터링, 수생태계보전, 기상현황, 훼손지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자료 수집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고, 모니터링 사업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국립공원 생태계의 건강성 증진을 위한 대응방안과 현장적용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는 것이다.
  •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사업은 국립공원 생태계의 구성, 구조 및 기능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경향성에 대해 과학적 정보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속 가능한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과학적 관리방법을 결정하는 자료를 제공한다. 평가 결과는 공원 보전과 공원정책에 반영하고 국민과의 공감 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사업은 국립공원 생태계의 구성, 구조 및 기능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경향성에 대해 과학적 정보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국내·외 평가 기법과 사례를 수집하여 국립공원별 생태계 유형범주, 생태계 구성요소 및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 지표를 선정하였다.
  • 픽토그램은 의미하는 내용을 상징적으로 시각화하여 모든 사람이 즉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단순하고 의미가 명료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시각적 전달이나 표현력을 높이기 위해 15개 유형의 픽토그램을 작성하였다. 국립공원 생태계의 현 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5가지 색상을 추출하여 적용하였으며, 3개의 도형을 설정하여 공원 지표의 변동 상태를 표현하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념적 모델이란? 개념적 모델은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들과 그들 사이에서 진행되는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을 시각적이나 서술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개념적 모델 개발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다른 분야의 과학자들과 관리자 간의 통합과 의사소통을 도와준다.
개념적 모델 개발이 가지고 오는 이점은? 개념적 모델은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요소들과 그들 사이에서 진행되는 상호작용에 대한 설명을 시각적이나 서술적으로 요약한 것이다. 개념적 모델 개발은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방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다른 분야의 과학자들과 관리자 간의 통합과 의사소통을 도와준다. 개념적 모델의 다이어그램은 종, 개체군, 군집 및 생태계의 상호작용에 대해 시스템으로 표현해 준다(NPS, 2012).
건강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 설정 결과 대분류와 중분류로 각각 어떤 것들을 구분하였는가? 건강성 평가를 위한 프레임 설정은 대분류 생태계 유형, 중분류로 생태계 구성요소 및 기능으로 구분하였다. 대분류에 해당하는 생태계 유형은 육상생태계와 수생태계로 구분하였으며, 생태계 구성요소 및 기능적 측면에서의 중분류는 생태계 구조 및 기능, 기후변화, 스트레스로 구분하였다. 국립공원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지표가 필수적이며, 스트레스 지표를 기본체계로 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보전, 복원, 관리 행위가 실시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D.Y., Y.P. Kim and K.G. An. 2008.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of Mountainous Stream in Mt. Sik-Jang using Multi-metric Mod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2):156-163. 

  2. Chae, Y.E., S.W. Kim, J.I. Kwak, Y.D. Yoon, S.W. Jeong and Y.J. An. 2015. A Comparative study of Assessment Techniques for Soil Ecosystem Health: Focusing on Assessment Factors of Soil Health.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20(3):15-24. 

  3. Caughlan, L. and K.L. Oakley. 2001. Cost considerations for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Ecological Indicators 1:123-134. 

  4. Choung, Y.S. and K.E. Lee. 2013. Review of a Plant-Based Health Assessment Methods for Lake Ecosystems.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2):145-153. 

  5. Elzinga, C.L., D.W. Salzer and J.W. Willoughby. 1998. Measuring and monitoring plant populations. BLM Technical Reference 1730-1. BLM/RS/ST-98/005+1730. Bureau of Land Management, National Applied Resource Science Center. Denver, Colorade. 477 pp. 

  6. Kim, Y.O., H.W. Choi, M.C. Jang, P.K. Jang, W.J. Lee, K. Shin and M. Jang. 2007. A brief review of approaches using planktonic organisms to assess marine ecosystem health. Ocean and Polar Research 29(4):327-337. 

  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2011. Action Plan for an Introduction of Ecosystem Health Standard Index System in Korea National Park. 16pp. 

  8.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2012. Report on Development of Ecosystem Health Standard Index in Korea National Park. 33pp. 

  9. Korea National Park Service (KNPS). 2016. Korea National Park Basic Statistics. 

  1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08.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1.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10.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II),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12.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V),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3. Myeong, H.H. 2010.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lan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 using Health Assessment. PhD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Korea. 

  14.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14. Enhancement Study of Ecosystem Health Assessment on Korea National Park.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138pp. 

  15. National Park Service. 2012. Guidance for designing an integrated monitoring program. Natural Resource Report NPS/NRSS/NRR-545. National Park Service, Fort Collins, Colorado. 

  16.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4. Review of EPA's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Program: Forests and Estuarie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Ecological indicators for the na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8. Roman and Barrett 1999.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long-term monitoring protocols at Cape Cod National Seasho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