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Educator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1 no.3, 2016년, pp.221 - 231  

하규수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  여경은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초록

최근 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프로그램은 급증하고 있다.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다양해졌고, 창업지원의 한축으로 창업교육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창업교육의 공급이 증가하였고, 최근 창업에 대한 열기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계층에서 창업준비를 위한 창업교육 수요가 증가하게 된 측면도 있다 현재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자들의 대부분은 창업에 필요한 경영 관련 전문지식을 가진 경영학 전공자 또는 해당 업계 전문가이거나 창업유경험자들이다. 최근에는 교육대상자의 종류도 더욱 다양해 졌고, 교육 수요는 더욱 증가되어 가면서 창업교육 전문가의 체계적 양성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의 창업교육전문가 양성과정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외의 사례들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 실정에서 어떠한 개선이 필요할지 개선방안을 도출해 보았다. 국내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은 해외 현황과 비교하였을 때, 체계화된 지속적인 창업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전문가 양성은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함께 동시적으로 교육자 양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기존의 학제(정규 교육의 전공과정)와 연계하여 전문적인 교육자 양성이 가능한 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안으로 분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increas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that are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increased rapidly. Entrepreneurial supporting policy from the government has been diversified and because of increasing suppor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de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현장과 실무 전문성을 겸비한 교수진을 확보하기 위해. 최근 임용되는 교수진들은 기술창업, 소셜벤처, 시니어창업, 예술분야 창업 등 보다 세분화된 전공배경을 가지고 임용 되어 현장과 실무에 대한 전문성을 지니고 있다.
  • 이러한 미스매치 현상의 주요원인은 교육대상 별 교육전략의 부재, 교육전문가 양성 노력의 미흡, 제한적 교육 내용 및 교수법에 의존, 교육환경의 제약 등 복합적 문제가 원인으로 작용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전문가 양성의 현황을 분석해 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현재까지의 창업교육전문가에 관한 연구의 내용은 실무와 이론을 겸비한 교육자가 필요하다는 것과 창업지원내에서 교육의 역할이 멘토링과 컨설팅의 형태로 제공되기 위해 교육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의 정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창업교육전문가 양성의 국내외 현황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창업교육의 양적증대에 반하여, 이를 교육할 교육자 양성은 체계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해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창업교육 인프라를 활용해서 어떻게 하면, 창업교육전문가 양성을 효과적으로 체계적으로 해 나갈 수 있을지 몇 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자들은 누구인가? 최근 창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창업을 준비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창업교육프로그램은 급증하고 있다. 정부의 창업지원정책이 다양해졌고, 창업지원의 한축으로 창업교육지원이 이루어지면서 창업교육의 공급이 증가하였고, 최근 창업에 대한 열기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계층에서 창업준비를 위한 창업교육 수요가 증가하게 된 측면도 있다 현재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자들의 대부분은 창업에 필요한 경영 관련 전문지식을 가진 경영학 전공자 또는 해당 업계 전문가이거나 창업유경험자들이다. 최근에는 교육대상자의 종류도 더욱 다양해 졌고, 교육 수요는 더욱 증가되어 가면서 창업교육 전문가의 체계적 양성에 대한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창업대학원에서는 어떤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왔는가? 창업대학원은 기존의 경영대학원과의 차별화를 위해 창업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하여 대학 졸업생, 예비창업가, 창업가, 창업컨설턴트를 대상으로 창업단계별 실무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왔다. (Kim & Lee, 2016)
창업교육전문가 양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학위과정은 창업대학원이 유일하였으며 대부분이 비정기적인 과정의 세미나, 포럼, 연수, 자격증 과정과 같은 교육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창업교육 현황조사를 통해 살펴보면 창업교육 프로그램은 많으나 창업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고 인증하는 교육 프로그램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창업교육 전문가에 대한 자격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B. J.(1996), What do we teach for Entrepreneur Education?, Conference on Fall 1996,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2. Choi J. I., Kim, K. Y. & Song, C. H.(2013), The Direction to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enter: Insight from the Kauffman Campus Initiativ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8(1), 89-97 

  3.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 Skills-DBIS(2013), Enterprise education: impact in higher and further education, retrieved 28 June 2013 from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enterprise-education-impact-in-higher-and-further-education 

  4. Enterprise Education Impact in HE and FE,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2013) 

  5.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231-244 

  6. Han, J. W. & Lee, M. J.(1998), The Current Status and Suggestions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n Korea, Korea Business Review, 2(2), 5-26. 

  7. Han, J. W., Lee, C. W. & Kim, Y. S.(2007), An Exploratory Study on New Venture Policies for Research Institute based Entrepreneur in Korea,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29(3), 99-117. 

  8. Han, K. S.(2007), The Systematization Pla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47, 379-405 

  9. Hwangbo, Y.& Lee, I. H.(2012), A Study on the role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in the diffusion of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culture,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7(2), 45-53 

  10. Jeong H. B.(2008),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Improvement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Korea Business Review, 12(1), 109-128 

  11. Jo, H. R.(1998), New Direction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Korea Business Review, 2(2), 49-74. 

  12. Kim, J. M., Choi, J. S. & Shin, d. E.(2014), A Study on the Invigor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cusing on the University,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11(3), 371-379 

  13. Kim, J. W. & Lee, W. J.(2016), A Study on the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 of Korea and Its Curricula Analysis: Focusing on the 5 New Entrepreneurship Graduate Schools,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view, 2016 March. 30, 45-59. 

  14. KISED, Korea Institute of Startup & Entrepreneurship Development(2015), University Start-up Inrastructures Retrieved 10 Oct. 2015 from http://www.kised.or.kr/not/kised2.asp?bgbnR&bidx7749. 

  15. Lee, S. M.(2006), The Realities & Tasks of Start-up Business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Entrepreneurship Socieity, 1(1), 124-152 

  16. Lee, W. J. & Hwangbo, Y.(2012), The Chronology of Kore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feature analysis and futur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0(3), 171-182 

  17. Lee, Y. H. & Park, S. H.(2014),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Venture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9(6), 231-244 

  18. Moon, S. H., Kwon, L. M. & Moon, S. J.(2008), An Evolution of Business Education,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51, 141-155 

  19. NACCE(2015), National Association for Community College Entrepreneurship(n.d.) Number of Entrepreneurship Educators retrieved from http://www.nacce.com. 

  20. Ouh, Y. B.(1993), Theoretical analysis on Rasing up Startup and Entrepreneur, Conference on Fall 1993,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21. Park, C. Y.(1993), Study on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University, Conference on Fall 1993,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22. Park, J. W. & Kim, Y. T.(2009),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Improvement of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ial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4), 1777-1801 

  23. The United States Association for Small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USASBE(2015.) Curriculu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usasbe.site-ym.com. 

  24. UNC School of Education(2015), MA in Educational Innovation, Technology, and Entrepreneurship retrieved from http://soe.unc.edu/academics/meite/pos.ph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