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인공지능의 급부상과 함께 서비스 로봇은 물론 산업용 로봇에 이르기까지 ICT 융합을 통한 HRI(Human Robot Interaction) 지능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제조, 물류, 공공장소,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인간과 가까이 공존하며 상호작용하는 지능로봇의 안전과 성능에 기반한 신뢰성 확보는 성장하는 로봇 시장에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2014년 실내외에서 운용되는 개인지원로봇에 대한 기본 안전 요구 표준인 ISO 13482가 공표되고 유럽, 일본을 비롯한 세계시장은 국제 표준 에 기반한 서비스 로봇의 인증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최근 국내 로봇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받고 있는 안전 요구조건과 검증에 필요한 위험 평가 프로세스를 소개하고 서비스 로봇의 안전 및 성능 평가 기술과 표준에 대하여 살펴본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글에서는 개인지원로봇의 안전 표준인 ISO 13482의 주요 내용과 서비스 로봇 제조자가 어려워하는 안전 검증을 위한 위험 평가 프로세스를 예제를 통해 소개하고 서비스 로봇의 요소 기술에 대한 안전 및 성능 평가 기술과 국내외 표준 추진 활동에 대하여 정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봇의 시험 인증에서 걸림돌로 작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로봇의 시험 인증에 있어 타 산업 분야와 마찬가지로 경험과 평가 프로세스, 측정 기술의 부족은 비용과 시간의 부가적 투자를 초래하고 로봇 산업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국내 로봇 기업의 해외 시장 선점을 위해 서비스 로봇 제품의 안전 검증 프로세스 정립과 시험 측정 기술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시점이다.
개인지원로봇의 3가지 유형은 무엇인가? • 이동형 도우미 로봇(mobile servant robot): 가정이나 공공 영역에서 개인과 상호작용하며 도움을 주는 임무를 수행하는 이동 가능한 로봇으로 가사 도우미 로봇, 교육 로봇, 안내로봇 등을 들 수 있다 • 신체 보조 로봇(physical assistant robot): 개인의 능력을 보강하거나 증강시키기 위해 사용자를 신체적으로 보조하는 로봇으로 착용형 로봇이나 로보틱 보행 보조 디바이스와 같은 비착용형 로봇이 이에 적용된다. • 탑승형 로봇(person carrier robot): 의도하는 도착지로 사람을 운송하는 목적을 가진 로봇으로 휠체어 로봇이나 자동차 유형의 자율주행 탑승로봇을 들 수 있다, 다만 일반 도로를 운행하는 로봇의 경우 교통 규제의 문제가 있고, 이 표준에서는 시속 20km 이하의 로봇을 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서비스 로봇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국제 표준에 따르면 서비스 로봇은 산업 자동화 이외의 응용 분야에서 인간을 위해 유용한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으로 정의하고[2], 비상업적 임무에 사용되는 개인 서비스 로봇과 훈련된 오퍼레이터에 의해 상업적 임무에 사용되는 전문 서비스 로봇 로봇 기술 편집위원 : 김평수(한국산업기술대)으로 분류한다. 공공 장소의 청소로봇, 사무실이나 병원의 물류 로봇, 소방로봇, 재활로봇과 수술로봇 등은 전문 서비스 로봇에 해당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ISO 13482:2014 Robots and Robotic devices-Safety requirements for personal care robots, ISO, 2014 

  2. ISO 8373 Robots and Robotic devices-Vocabulary, ISO, 2012 

  3. ISO/IEC Guide 51 Safety aspects-Guidelines for their inclusion in standards, ISO 

  4. ISO 12100 safety of machinery-General principles for design-Risk assessment and risk reduction, ISO 

  5. 정영숙, 이경호, 서비스 로봇의 위험 평가 방법 연구, ICROS 2016, 2016.3. 

  6. ISO/TR 14121-2 Safety of machinery-Risk assessment-Part 2: Practical guidance and examples of methods," ISO 

  7. ISO 13849-1 Safety of machinery-Safety-related parts of control systems-Part 1: General principles for design, ISO 

  8. 정영숙, 이경호, ISO 13482 기반 이동 로봇의 위치인식 및 주행 안전 평가에 관한 연구, 

  9. E2828-11, Standard Test Method for Evaluating Emergency Response Robot Capabilities: Mobility: Confined Area Terrains: Symmetric Stepfields, ASTM 

  10. 유원필, 최성록, 이경근, 정영숙, 교육용 로봇 주행 성능 척도 및 성능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ICROS, 2014 

  11. 지능형로봇표준포럼(KOROS), http://koros.or.kr 

  12. KOROS 1103, 실내 서비스 로봇의 주행성능 평가방법: 교육용 로봇, 2014 

  13. KOROS 1070-5, 지능형 로봇의 얼굴 검출 및 식별 알고리듬 성능평가 방법, 2014 

  14. KOROS 1085-1, 실내 이동로봇의 통신 성능평가방법-제 1부 무선랜 통신 환경,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