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기능성 접착소재의 기술 동향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7 no.2, 2016년, pp.72 - 76  

천제환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고분자표면연구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후속연구

  • 지구환경 보존, 기술혁신 가속화, 가치관의 다양화 및 고령화 등의 사회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용제형에서 좀 더 환경 친화적인 접착 소재 및 고기능성 접착소재의 비중이 커지고 있으며 세계 접착제 시장은 급격한 성장보다 안정적인 시장 유지의 경향을 띄고 있으며, 환경 규제 강화에 따라 용제형은 점차 축소되고 친환경 접착제 비율 증가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는 특히 환경 친화형 신제품의 개발이 예상되고 있는데, 즉 기존의 수성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및 일반 핫멜트 접착제를 대체할 필요가 있어 향후 기술적으로 고기능화가 급속히 기대되는 동시에 이들 제품의 시장 규모도 급속히 팽창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기능성 접착소재는 무엇인가? 고기능성 접착소재란 원래의 접착기능 이외에, 성능과 기능 및 경화방법을 보강⋅특수 기능을 부여하거나 모든 산업용품에 해당되는 환경적합성을 고려하여 단순한 접착 기능 이외에 생산성 향상, 자동화 시스템, 토탈 코스트 다운 등 시장의 니즈에 부응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보유하거나 수계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반응성 및 습윤 경화성 접착제 등과 같이 일반적인 접착환경과 다른 조건에서 접착되거나, 내수성, 내열성, 내구성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는 작업성 등이 월등히 향상된 접착소재이다.
국내 접착제 분야 산업이 친환경 반응성 접착제 수요의 급격한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 문제가 대두되고 친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친환경 반응성 접착제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은 상황이지만 접착제 분야는 상당한 기술 축적 없이는 토착화가 어려운 지식기반 산업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접착제 제조 기술 및 접착 공정 기술이 있음에도 관련 기초 과학 기반이 취약하고 기초 기술의 해외 의존도가 높아 체계적인 연구개발 체제가 확립되지 못하고 있다. 접착제 분야는 기반산업으로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종 제품 및 기술 개발의 결과가 가시화되기 어렵고 공해유발산업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정부지원 정책에서 소외되고 있다.
핫멜트 접착 소재의 경화 방법에 따른 특허 중 습기 경화형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점유한 방법은 무엇인가? 반응성 핫멜트 접착 소재의 경화 방법에 따른 특허는 습기 경화형이 대부분이고 특히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이용하는 습기경화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실란을 이용한 습기 경화형도 일부 출원이 되고 있다. 그 다음이 UV 경화형이 점유하고 있으며 아크릴계 수지가 중심을 이루고 있음. 그리고 대부분의 특허가 외국기업에 의해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고기능 접착제 기술 동향 보고서", 화학소재정보은행 (2010). 

  2. 최길영, "국내 전자용 접착제 산업의 현황과 고도화 방안" (2007). 

  3. "점.접착제 시장분석 및 전망(2015)", Multi Cilent Report (2015). 

  4. "Market Study Adhesive-World", Ceresana Reserch (2012). 

  5. 조경진, "산업용 신소재 적용을 위한 화학제품 개발동향과 전망" (2012). 

  6. "미래의 유망소재", LGERI Repot (2009). 

  7. "접착제 산업 경쟁력 조사" 무역위원회.산업연구원 (2008). 

  8. "World Adhesive & Sealant Conference", 한국접착산업협회 (2013). 

  9. 천제환, "친환경 신발 접착 공정을 위한 차세대 로드맵 수립 연구회", 산업통상 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1). 

  10. "접착기술의 이론과 실제", 한국접착산업협회 (2012). 

  11. "Adhesives and Sealants Market Analysis and Segment Forecasts from 2012 to 2020", PS Research (201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