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영재교육 이해관계자의 관심도 연구
The Study on Stakeholder' Concerns Regarding Consulting for Gifted Education Institut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6 no.2, 2016년, pp.235 - 255  

이미순 (대구대학교) ,  손성국 (대가 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영재교육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122명의 이해관계자가 SoCQ(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Hall & Hord, 2011)에 응답하였으며, Hall과 Hord(2011)의 채점표(SoCQ scoring device)를 활용하여 이해관계자의 응답 반응을 상대적 강도(relative intensity)로 환산하였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 이해관계자의 특성(소속기관, 영재교육경력, 영재업무 지속여부, 영재 연수유형)에 따른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t 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재교육 이해관계자들은 1단계(정보)에 대한 관심이 가장 높고, 4단계(결과)에 대한 관심이 가장 낮은 변화초기 단계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한편, 전문가 연수를 받은 이해관계자들은 6단계(재조정)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나,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하여 저항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성공적인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을 정착하고 확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takeholders' concerns regarding consulting in gifted education institutes. A total of 122 stakeholders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responded to SoCQ(the Stage of Concerns Questionnaire, Hall & Hord, 2011). The SoCQ responses of these stake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와 같은 지속적인 양적 성장은 질적 성장을 보장하여 주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체계적인 실시와 폭넓은 확산을 위하여 관심중심수용모델에 근거하여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영재교육 이해관계자의 관심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델을 통하여 영재교육 변화 실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실행수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영재교육의 질적 변화와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기본전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영재교육 이해관계자들의 관심 정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영재교육 컨설팅을 기획하고 실시하는 컨설턴트에게 도움을 주고, 컨설팅 확산 및 정착을 위한 영재교육의 문제점 및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컨설팅을 통한 영재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관심중심수용모델을 적용한 선행연구(강영삼, 1998; 권낙원, 추광재, 박승렬, 2006; 김찬민, 서순식, 2003; 이경순, 2007; 이용운, 2004; 이지은, 신재한, 2012; Donovan, Hartley, & Strudler, 2007; George, Hall, & Stiegelbauer, 2006; Sahin & Thompson, 2007; Ward, West, & Isaak, 2002)에 따르면, 이해관계자의 특성에 따라 관심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관심 정도에 따른 체계적인 지원책 수립을 위해서, 소속기관의 위치, 영재업무 경력, 연수 유형, 영재업무 지속여부를 배경변인으로 하여 이해관계자의 관심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관심단계설문지(SoCQ)는 영재교육 이해관계자의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관심단계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로써 영재교육기관 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및 처방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새로운 변화인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초점을 맞추고, 영재교육의 실제적인 주체인 영재교육 이해관계자의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에 대한 관심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델을 통하여 영재교육 변화 실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해관계자의 관심과 실행수준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영재교육의 질적 변화와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기본전제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영재교육 이해관계자들의 관심 정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영재교육 컨설팅을 기획하고 실시하는 컨설턴트에게 도움을 주고, 컨설팅 확산 및 정착을 위한 영재교육의 문제점 및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컨설팅을 통한 영재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는 무엇인가? 영재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이 필요한 사람이다. 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은 영재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는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발전을 위해서 인적자본을 확보하고 활용하는 차원에서도 지속되고 있다(Gagné, 2003; Renzulli, 2003; Sternberg, 2003).
영재교육평가가 실제 교육활동에 정착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1; Feng, 2004). 일반적으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자 혹은 교육자들은 성실하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에 임하여, 스스로 자신의 수업을‘성공적인’활동으로 생각하며, 영재교육의 성과를 평가하는 시간보다 계획하고 가르치는데 시간을 투자하려는 경향성을 보인다. 둘째, 영재 및 영재교육의 경우 교육의 성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성공여부를 평가하기 어렵다. 셋째, 영재교육 이해관계자들은 영재교육평가를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의 한 과정으로 수용하기보다는 영재교육기관 및 교육담당 교사를 관리하고 감독하는 방안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평가에 대한 거부감을 갖는다.
영재교육기관 컨설팅의 절차에서 준비 단계는 어떠한가? 준비 단계는 컨설팅을 접수하고, 예비 진단을 통해 컨설팅 계약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컨설턴트와 의뢰인의 첫 만남이 이루어지는 단계로서 의뢰 접수 및 컨설턴트 선택 및 배정이 일어난다. 그 뒤 의뢰인의 상태, 강점과 약점, 개선이 가능한 부분과 도움이 될만한 자원들, 예비적 해결 대안을 탐색하는 예비 진단 과정과 학교 컨설팅 계약이 체결된다(진동섭, 홍창남, 김도기, 2008; VanTassel-Baska, 2004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영삼(1998). 학교조직 특성에 따른 장학문화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6(1), 136-179. 

  2. 강현석, 정정희, 박창언, 박은영, 황윤세, 장사형, 이신동, 이경화, 최미숙, 이순주, 이효녕, 문병상(2007). 최신영재교육과정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3. 권낙원, 추광재, 박승렬(2006). 교육과정 실행 수준 결정 요인 탐색. 교육과정연구, 24(3), 87-106. 

  4. 권정국(2006). 제7차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 수준 연구.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5. 김경자(1993). 교육과정 혁신: 관심에 기초한 교육과정 실행 모형(CBAM). 서울: 교육과학사. 

  6. 김대현(2011). 교육과정의 이해. 서울: 학지사. 

  7. 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에 관한 질적 실행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8. 김민환(2009).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3), 87-107. 

  9. 김이천(2005). 초등학교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분석.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10. 김찬민, 서순식(2003). 정보통신활용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 조사연구. 교육연구, 20, 275-299. 

  11. 문대영(2010).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관심도.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245-262. 

  12. 이경순(2007). 한국과학영재학교의 u-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교육과학연구, 38(2), 169-196. 

  13. 이용운(2004). 교사의 교육과정 관심수준에 기초한 지원처방 효과 연구: 창의적 재량활동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4. 이지은, 신재한(2012). CBAM에 기초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도 및 실행도 분석. 교사교육연구, 51(1), 137-151. 

  15. 진동섭(2003). 학교 컨설팅: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 방법. 서울: 학지사. 

  16. 진동섭, 홍창남, 김도기(2008).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 컨설팅. 경기: 교육과학사. 

  17. 차정호, 백상수, 오정숙(2010). E-러닝에 대한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유아특수교육연구, 10(4), 191-215. 

  18. 추광재(2007). 교육과정에 관한 교사의 관심.인식.실행 결정요인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9. 한국교육개발원(2012). 제 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20. 한국교육개발원(2013). 국가 수준의 영재교육기관평가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1. 한국교육개발원(2004). 영재교육기관 평가 편람.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홍후조(2002).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서울: 문음사. 

  23. Callahna, C. M.(2001). Program evaluation. In M. S. Landrum, C. M. Callahan & B. D. Shaklee(Eds.), Aiming for excellence: annotations to the NAGC pre-k-grade 12 gifted program standards(pp. 53-66). Washington DC: Prufrock press. 

  24. Callahan, C. M., & Caldwell, M. S. (1995). A practitioner's guide to evaluating programs for the gifted.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25. Cooke, L., & Friend, M. (1991). Principles of practices of consultation in schools. Preventing School Failure, 35(4), 6-9. 

  26. Council of State Directors of Programs for the Gifted &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2012). 2010-2011 State of the stated in gifted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27. Curtis, M. J., & Meyers, J. (1985). Best practices in school-based consultation. In A. Thomas & J. Grimes(Eds.), Best practices in school psychology.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School Psychologists. 

  28. Donovan, A. (1990). Team consultation. A presentation to York Country Public Schools. 

  29. Donovan, L., Hartley, K., & Strudler, N. (2007). Teacher concerns during initial implementation of a one-to-one laptop initiative at the middle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39(3), 263-286. 

  30.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6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1. Davis, N. W., & Roblyer, M. D.(2005). Preparing teachers for the "school that technology Built": Evaluation of program to train teachers for virtual schooling.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3(4), 619-641. 

  32. Feng, A. X. (2004). A metaevaluation of survey result of stakeholder perceptions of gifted program. In J. VanTassel-Baska & A. X. Feng (Eds.), Designing and utilizing evaluation for gifted program improvement(pp. 67-86). Waco, Texas: Prufrock Press. 

  33. Feng, A. X., & Brown, E. (2004). Using focus groups in gifted program evaluation. In J. VanTassel-Baska & A. X. Feng(Eds.), Designing and utilizing evaluation for gifted program improvement(pp. 109-132). Waco, Texas: Prufrock Press. 

  34. Feng, A. X., & VanTassel-Baska, J. (2004). Collecting students impact data in gifted programs:Problems and processes. In J. VanTassel-Baska & A. X. Feng(Eds.), Designing and utilizing evaluation for gifted program improvement(pp. 133-154). Waco, Texas: Prufrock Press. 

  35. Fuller, F. F. (1969). Concerns of teachers: A developmental conceptualiz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6(2), 207-226. 

  36.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60-74). Boston: Allyn and Bacon. 

  37. George, A. A., Hall, G. E., & Stiegelbauer, S. M. (2006). Measuring implementation in schools: The stages of concern questionnaire. Austin: SEDL. 

  38. George, A. A., Hall, G. E., & Uchiyama, K. (2000). Extent of implementation of a standards-based approach to teaching mathematics and students outcomes.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35(1), 8-25. 

  39. Hall, G. E., George, A. A., & Rutherford, W. L. (1979). Measuring stages of concern about the innovation: A manual for the use of the SoC questionnaire. Univ. of Texas at Austin. (ERIC Document ED 147-342) 

  40. Hall, G. E., & Hord, S. M. (2006).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2nd Ed.).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41. Hall, G. E., & Hord, S. M. (2011). Implementing change: P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3rd Ed.).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42. Hall, G. E., & Loucks, S. F. (1977). A developmental mode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treatment is actually implemented.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14(3), 263-276. 

  43. Hall, G. E., & Rutherford, W. L. (1976). Concerns of teachers about implementing teach ing. Educational Leadership, 34(3), 227-233. 

  44. Haney, J. J., & McArthur, J. (2002). Four case studies pf prospective science teachers' beliefs constructivist teaching practices. Science Eduction, 86(6). 737-863. 

  45. Kubr, M. (1996). Management consulting: A guide to the profession.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46. Olenchak, F. R., & Castle, C. (1995). Reliable and valid attitude assessment in gifted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Tampa, FL. 

  47. Renzulli, J. S. (2003).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75-99). Boston: Allyn and Bacon. 

  48. Sahin, I., & Thompson, A. (2007) 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That Influence Faculty Members Technology Adoption Level.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5(2), 167-190 

  49. Schwartz, J., & Taylor, E. L.(1995). Accountability in gifted education: Indicators of succes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Tampa FL. 

  50. Sternberg, R. J. (2003). Giftednes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88-99). Boston: Allyn and Bacon. 

  51. Traxler, M. A. (1987). Gifted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A national review.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0, 107-113. 

  52.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53. VanTassel-Baska, J. (2004a). The processes in gifted program evaluation. In J. VanTassel-Baska & A. X. Feng(Eds.), Designing and utilizing evaluation for gifted program improvement(pp. 23-40). Waco, Texas: Prufrock Press. 

  54. VanTassel-Baska, J. (2004b). Assessing classroom practice: The use of a structured observation form. In J. VanTassel-Baska & A. X. Feng(Eds.), Designing and utilizing evaluation for gifted program improvement(pp. 87-108). Waco, Texas: Prufrock Press. 

  55. Ward, J. R., West, L. S., & Issak, T. J.(2002). Mentoring: A strategy for change in teacher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0(4), 553-5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