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Made of Recycled Aggregate Modified by Carbonation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8 no.4, 2016년, pp.445 - 454  

하정수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신진학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정란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한식 (삼성물산 건설부문 주거성능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노후 시설물의 증가에 따라 건설폐기물은 일정 수준까지 증가한 이후, 현재는 어느 정도 안정화 된 추세에 있지만, 전체폐기물 중에서 건설폐기물은 아직까지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천연 골재 채취 금지에 의한 골재 난 심화 및 골재 공급원 개발에 의한 국토훼손과 자연환경 파괴 등에 따라 환경복원에 막대한 국가예산 소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에 대한 대책 방안으로 국토교통부는 순환 골재 품질기준을 공포하여 순환 골재 품질에 따른 용도와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추진하고 있으나,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은 용도로의 활용은 아직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자의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탄산화 개질 조건인 $20^{\circ}C$, RH 60%, $CO_2$ 20%에서 순환 잔골재 4일, 순환 굵은 골재 14일간 탄산화를 실시한 순환 골재의 품질개선효과 및 이를 이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성능 평가를 통하여 구조용 콘크리트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그 결과, 탄산화 개질을 통하여 순환 잔골재의 흡수율이 0.91%, 순환 굵은 골재의 흡수율이 0.7% 저감되어 품질개선에 기여하였다. 또한, 탄산화 개질 골재를 이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및 내구성능이 일반 콘크리트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구조용 콘크리트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increase of decrepit facilities, construction waste increased to a certain level and now the increase is more or less stabilized. Yet construction waste still constitutes the largest portion of the overall wastes. Also, it is inevitable to spend a huge amount of the national budget due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콘크리트로의 적용을 위해서는 탄산화 개질 골재의 품질 개선 효과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물리적 성능 개선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자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순환 골재의 탄산화 개질 방법에 의한 순환 골재의 품질 개선 효과 및 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개선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구조용 콘크리트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구조용으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저자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순환 골재 탄산화 개질 방법에 의한 순환 골재 품질 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과 기타 내구특성에 대한 검토와 성능 개선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구조용으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저자가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순환 골재 탄산화 개질 방법에 의한 순환 골재 품질 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탄산화 개질 순환 골재를 사용한 순환 골재 콘크리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과 기타 내구특성에 대한 검토와 성능 개선 효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9(a) NFA-NCA 시험체는 표면 건조가 확연하게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순환 골재를 사용한 Fig. 9(b) RFA-RCA 시험체는 가장 많은 수분을 내포하고 있다. 덧붙여, Fig.
  • 6 이상인 경우 부식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22)동일한 환경 조건 하에서 Cl- 농도가 일정하다 가정하면, OH- 농도에 관련이 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pH는 탄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기 때문에, Cl-/OH- 농도비가 높아지므로 탄산화 저항성 또한 염해와 깊은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는 무엇으로 오는가?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일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해 성능이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는 순환 골재 부착 이질재(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양과 부착 이질재가 내포하는 공극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순환 골재의 품질을 정하는 기준에 있어서 부착 이질재의 양 및 공극의 양과 관련이 깊은 흡수율을 품질 구분에 가장 큰 지표로 설정하고 있다.6)
고품질의 순환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가열 및 기계마모법 등의 비용 문제로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순환 골재를 구조용 콘크리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부착 이질재가 적은 고품질의 순환 골재가 요구되기 때문에, 고품질의 순환 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가열 및 기계마모법 등의 고도 처리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많은 비용과 환경부하가 발생하여 적용이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순환 골재의 품질 향상 기술에 대한 개발이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징은?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일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해 성능이 저하한다고 알려져 있다. 순환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성능 저하는 순환 골재 부착 이질재(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양과 부착 이질재가 내포하는 공극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고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순환 골재의 품질을 정하는 기준에 있어서 부착 이질재의 양 및 공극의 양과 관련이 깊은 흡수율을 품질 구분에 가장 큰 지표로 설정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Generation and Processing Status of National Waste (2013), No. KECO2014-PE14-38,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pp.22-30. 

  2.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Study on Activation Measures of Recycled Aggregate, 11-1613000-000638-0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pp.3-34. 

  3. Korea Construction Economy and Industry Association, Study on Master Plan establishing of Aggregate Demand and Supply, 1-1613000-000269-1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4, pp.71-157. 

  4. Waste Resources Management Division, Construction Waste Recycling Promotion Act, Law No. 13527, Ministry of environment, 2015, pp.1-20. 

  5. Technology Policy Division, Quality Standard of Recycled Aggregate, Bulletin No. 2013-9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pp.19-25.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Recycled Aggregates for Concrete, KS F 2573,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4, pp.6-8. 

  7. Tangchirapat, W., Buranasing R., Jaturapitakkul C., and Chindaprasirt P., "Influence of rice husk-bark ash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containing high amount of recycled aggrega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22, No.8, 2008, pp.1812-1819. 

  8. Corinaldesi, V., and Moriconi, G., "Influence of mineral additions on the performance of 100% recycled aggregate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23, No.8, 2009, pp.2869-2876. 

  9. Kou, S., Poon, C., and Agrela, F., "Comparisons of natural and recycled aggregate concretes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different mineral admixtur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33, No.8, 2011, pp.788-795. 

  10. Cakir, O., and Sofyanli, O.O., "Influence of silica fume on mechan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Housing and Building National Research Center Journal, Vol.11, No.2, 2015, pp.157-166. 

  11. Akca, K.R., Cakir, O., and Ipek, M.,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recycled aggregate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98, 2015, pp.620-630. 

  12. Cartuxo, F., de Brito, J., Evangelista, L., Jimenez, J.R., and Ledesma, E.F., "Rheological behaviour of concrete made with fine recycled concrete aggregates-Influence of the superplasticizer",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89, 2015, pp.36-47. 

  13. Katz, A., "Treatments for the improvement of recycled aggregate",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16, No.6, 2004, pp.597-603. 

  14. Cheng, H., and Wang, C., "Experimental study on strengthen concrete regenerated aggregate with water glass", New Building Materials, Vol.12, 2004, pp.12-14. 

  15. Kim, N. Y., Kim, H. J., and Bae, J. S., "A Study on the Property Estimation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and Characteristic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Using the Surface Coated Treatme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 Vol.28, No.4A, 2008, pp.603-609. 

  16. Choi, H. B., "Water Absorbtion Controlling Type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Quality Enhancement of Recycled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15, No.6, 2015, pp.561-567. 

  17. Zhang, H., Zhao, Y., Meng, T., and Shah, S.P., "The modification effects of a nano-silica slurry on microstructure, strength, and strain development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pplied in an enlarged structural test",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95, 2015, pp.721-735. 

  18. Powers, T.C., "A Hypothesis of Carbonation Shrinkage", Journal of the PCA Research and Development Laboratories, Vol.4, No.2, 1962, pp.40-50. 

  19. Papadakis, V.G., Costas, G., Vayenas, and Michael, N.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durability of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88, No.2, 1991, pp.186-196. 

  20. Choi, Y. J., Lee, K. M., Kim, J. H., Jung, S. H., Lee, M. K., "Applicability Study of the Rapid Carbonation Test Equipment for Concrete,"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18, No.2, 2006, pp.601-604. 

  21. Korea Concrete Institute, Engineering of Concrete, 2011, pp.300-374. 

  22. Korea Concrete Institute, Engineering of Concrete, 2011, pp.421-430. 

  23.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Concrete : Crack, Deterioration and Measures, 2010, pp.114-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