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지역 팔경의 내용 및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Palgyeong in Gangneung Area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2, 2016년, pp.16 - 26  

권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전공) ,  김성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성종상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에서는 여러 문헌에 흩어진 강릉지역의 팔경을 수집하고, 팔경과 역사문화와의 관계 팔경의 지역적 분포 경관구성 요소 및 내재적 의미를 다각도로 분석 및 해석하였다. 강릉지역의 팔경은 고려에서 근현대까지 오랜 시간 동안 축적 확장되어 왔으며, 단순히 자연경관의 아름다움뿐 아니라 이 지역을 배경으로 한 역사적인 사실과 그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또한, 강릉지역 팔경의 형식과 분포를 종합하여 볼 때, 가장 많은 형식을 차지하는 것은 소상유사형(瀟湘類似型)이다. 그 중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저녁밥 짓는 연기'나 '고기 잡기' 등은 당시 강릉지역민들의 생활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마을단위로 이루어진 팔경이라는 사실을 말한다. 강릉지역의 팔경은 넓게는 시(市) 전체, 좁게는 누정(亭)까지 다양한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대부분의 팔경은 현재 강릉시의 동쪽, 그리고 강동면과 구정면이 접하는 지역에 몰려있다. 강릉 지역의 팔경이 대부분 이곳에 분포되어 있는 상황으로 볼 때, 이 지역이 강릉경관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강릉지역 팔경은 자연요소 60%, 인문요소 36%, 기타 4%로 나타났으며 자연요소에서는 대상 그 자체의 아름다움을, 인문요소와 기타에서는 대상 속에 담긴 전설이나 역사를 담고 있다. 팔경이 표현하는 경관들은 별개의 대상이 아니다. 남대천과 죽도봉, 군선강과 풍호 등 하나의 풍경이 되었다. 또한 신라의 화랑의 이야기가 얽힌 풍호, 군선강 등은 강릉지역의 대표적인 역사경관이 되었으며, 강릉지역의 팔경은 견조도, 한송정, 한송사 등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강릉의 유적 및 전통경관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강릉지역의 팔경은 미적대상인 동시에 역사 문화적 장소이고 더 나아가 심상적(心象的) 공간으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collected information on Palgyeong of the Gangneung area that were scattered around several literatures, and analyzed and interpreted regional distribution, elements of scenery and inherent meanings from various angles. we shed light on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Palgyeong, w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팔경은 대표적 인문경관으로서 역사적․문학적․경관적 관점에서 종합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고려시대부터 전해내려 온 강릉지역의 팔경은 강릉의 역사와 문화를 담는 경관 표상으로 전통경관의 모습과 의미를 되짚어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 판단되는 바, 다각적 접근을 통해 강릉지역의 팔경을 분석 및 해석하여 강릉지역에 전래되는 팔경의 연원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편리성에 의거한 무분별한 개발을 억제하고 궁극적으로는 각 지자체가 건설할 문화경관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팔경이란 무엇인가? 팔경(八景)은 어느 특정한 지역의 자연 경관을 구획하고 이에 이름과 미학적 의미를 붙인 대표적인 인문경관이다. 이는 시문[text]과 산수화[image]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현되었다.
팔경이 구현되기 위해 필요한 상호작용은 무엇인가? 팔경(八景)은 어느 특정한 지역의 자연 경관을 구획하고 이에 이름과 미학적 의미를 붙인 대표적인 인문경관이다. 이는 시문[text]과 산수화[image]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현되었다.
강릉지역 팔경의 연원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강릉지역 팔경의 연원은 Kang and Kim(1991)의 한국팔경구분법에 따라 소상전형(瀟湘典型), 소상유사형(瀟湘類似型), 명소체험형(名所體驗型), 명승형(名勝型), 기타(其他)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An, J. L.(2002). Literary Palgyeong in Korea. Seoul: Jipmundang. 

  2. Lee, H. G.(2008). Literature: A study of poems of Kim kuk-ki on Kyungpo-Dae. Hanmun. 14: 61-95. 

  3. Park, M. I.(1985). A study of Palgyeong in Kangwon-do. The Institute of Kangwon Community and Culture. 5: 33-54. 

  4. Jeong, U. D.(1999). A Study on poems about pavilions of the eight scenic places in Kwandong. Master's thesis. Gangneung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5. Kim, S. I.(1992). A Study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Palkyung in Gwandong.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Seoul. 

  6. Yong, H. J.(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cenery of Kwandongpalgyeong.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sociation of Korean. 9: 83-144. 

  7. Lee, B. R.(2005). The Eight-view of Guandong in the Choson dynesty.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8. Lee, S. K.(2011). Background research of Joseon Dynasty Gwandong travel preval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umanities Institute. 31: 167-196. 

  9. Jo, B. W.(1996). Beautiful Kyungpopalkyeong. Hwalcheon. 512(7). pp.130-132. 

  10. Lee, J. D.(2003). Between with Kyungpodae and Lake. Yulgok Society. 9: 51-56. 

  11. Jo, E. S.(2001). A Study in Comparison with Sosangpalgyongsi and Sosangpalgyongdo.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2. Yeo, K. H.(2003). Poetic Figuration of So-Sang-Pal-Kyoung. The Society of Bangyo Language And Literature. 15: 37-64. 

  13. Jeon, K. W.(2006). A Study on Figuration Aspect and Meaning Coherence of Sosangpalkyung Poetry. Doctoral thesis of Konkuk University, Seoul. 

  14. Han, J. H.(2013). Special Edition: Eight Views of the Xiao and Xiang Rivers in the Ming-Qing and Edo Periods. The Society of Onji Studies. 34: 73-114. 

  15. Song, H. K.(1992). A Study on Eight Views of Hsiao and Hsiang River of Southern Song in China.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16. Kang, M. S.(1992).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Found in Sosangpalkyungdo of Korea.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17. Kim, S. M.(1992). A Study on Sosangpalkyungdo in Early and Mid-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Hoingik University, Seoul. 

  18. Jang, G. S.(1999). A study on eight views of Hsiao and Hsiang riv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ongkuk University, Seoul. 

  19. Park, H. H.(2007). A Study on the paintings of the Hsiao and Hsiang rivers in Joseon dynasty (1392-1910). Doctoral thesis of Hongik University, Seoul. 

  20. Jo, H. M.(2011). A Study on The Eight Views of Xiao and Xiang Rivers in Korean Folk Paintings.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1. Kim, Y. R.(1991). A Study on the type of Palkyung and spatial configuration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2. An, J. L.(1996). A Study on Palgyeingsi in Korea. Doctoral thesis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Seongnam. 

  23. Choi, E. J.(2001). A Study on Creatice Trend of Palkyungsi during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4. Lee, S. A.(2008). Study on Joseon dynasty of The Eight Scenic-Masterpiece Pictures.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25. Park, J. H.(1977). The Visual and the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the Eight Landscapes of Dan-Yang. Chungju University. 10(1): 321-333. 

  26. Kim, D. C. and Min, K. S.(200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ungcheongbuk-do Palkyou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2): 30-39. 

  27. Yong, H. J.(200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cenery of Kwandongpalgyeong.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Association of Korean. 9: 83-144. 

  28. Lee, H. L.(2004). The Characters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Eight Sceneries in Gongju City, Chungnam Provice. The Industrial Science Researches. 16: 1-19. 

  29. Rho, J. H., Shin, S. S. and Jo, C. M.(2007). Articles: An Actual Proof Study on the Viewing Structure of Palkyong - With Emphasis on Imsil-gu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5(1): 11-23. 

  30. Kim, J. H. and Ahn, H. K.(2009). A Study on the Type of Daegu and Gyeongbuk 8 Great Views and the Structure of Scenic Resources - Basic Data Analysis for the Use of Cultural Tourism Resource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1): 291-298. 

  31. Rho, J. H.(2011). A Study o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Yeoju-Palkyung in Old Poems and Ma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1): 14-27. 

  32. Rho, J. H. and Park, T. H.(2011). A Study on the Cheongshimru and Landscape Structure of Yeoju-Palkyung in Old Poems and Ma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9(2): 73-80. 

  33. Son, C. S.(2005). The Poetic Image of Buyeo's Palgyeong. The Research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47: 27-62. 

  34. Kwon, H. J.(2007). A Study on Poetry Songs Views of Chuncheon. The Institute of Kangwon Community and Culture. 26: 57-80. 

  35. Jung, H.(2013). A Study on a Eight Scenery Poems for the Jeonju's Character and Form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iterature and Language. 85: 313-338. 

  36. Kang, J. H.(2014). Literature & Culture: A Study on the Poems on the Eight Scenes of Onyang in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Youngsan Journal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19: 151-181. 

  37. Rho, J. H., Son, H. K., Shin, S. S. and Choi, J. H.(2015). A Study on the Origin and Transfornation of Jeonju-Palkyu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3): 1-15. 

  38. http://gangneung.grandculture.net 

  39. KCRI. Sinjeung Donggukyeojiseungram 6. Changwon: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40. Gangneung Cultural Center(2001). Korean translation of Donghoseungram (東湖勝覽). Gangneung: Gangneung Cultural Center. 

  41. Lee, H.(1909). OhEunjip(鰲隱集). 

  42. Park, J. H.(2011). Hangaekgeonyeonjip(韓客巾衍集). Seoul: Munjin. 

  43. Gangneung Cultural Center(1997). JeungsuImyeongji. Gangneung: Gangneung Cultural Center. 

  44. GNCC(1979). Imyoungmunhwa(臨瀛文化) 3. Gangneung: Gangneung Cultural Center. 

  45. Kim, K. S.(1992). Designated origin of Gangneung Area. Seoul: Inaesa. 

  46. Kim, K. S.(2000). Story in Gangneung. Seoul: Publishing Company Minsokwon. 

  47. Jung, H. K.(2005). Why does the Gangneung munhyang, yehyang called?. Gangwon academy & art research. 1: 217-245. 

  48. Lee, I. R.(2003). Pahanjip(破閑集). Seoul: Shinwonbook. 

  49. An, C.(2014). Keunjaezip(謹齋集). 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Korean Classics. 

  50. Lee, G.(2006). Gajungjip(稼亭集). Changwon: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51. Jung, J.(1998). Hongjaejunseo(弘齋全書). Changwon: Korean Classics Research Institute. 

  52. http://www.grandculture.net 

  53. Kang, Y. J. and Kim, Y. R.(1991). A Study on Type and the Spatial Location of Pal-Kyong (eight scenery)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9(2): 27-35. 

  54. Park, Y. J.(2001). Heritage of Palgyeong in Gwandong and Literary of Nujeong. Journal of Donam. 19: 159-199. 

  55. Choi, S. S.(1989). A Collection of Treatises for Literary of Kangwon.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56. Jeong, U. D.(1999). A Study on poems about pavilions of the eight scenic places in Kwandong. Master's thesis. Gangneung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57. http://encykorea.aks.ac.kr 

  58. Kim, K. S.(2001). Gyeongpoho and its Surrounding Culture. Gangneung: Gangneungsi. 

  59. Park, J. B.(1994). Assistant exploratory trip. Seoul: Dolbegae. 

  60. Korean Studies Archive(2007). Chinese Poetry and Author Dictionary. Seoul: Korean Studies Archive 

  61. Lee, S. W.(2010). The Chinese Literary History. Seoul: Darakwon. 

  62. Temple Culture Research Center(1992). Traditional Buddhist Temple Series. Seoul: Temple Culture Research Cent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