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조 삼나물과 다래순의 재수화와 고온 가열조리 중 색소와 산화방지성분의 함량 변화
Content Changes of Pigments and Antioxidants of Dried Samnamul (Aruncus dioicus) and Daraesoon (Actinidia arguta) during Rehydration and High Temperature Cook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4, 2016년, pp.383 - 389  

안해천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rehydration and subsequent heating at high temperature on the pigments and antioxidants of dried samnamul (Aruncus dioicus) and daraesoon (Actinidia arguta). Methods: Rehydration included 16 h-soaking in cold water, and 30 min-boiling and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씹는 맛이 고기와 비슷한 삼나물은 눈개숭마(Aruncus dioicus), 다래순은 다래나무(Actinidia arguta)의 어린 순으로 예부터 나물로 조리하여 섭취하고 있지만 눈개승마와 다래나무의 잎에 함유된 생약 성분과 관련된 약학 연구(Park JH 등 2005)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추출물의 산화방지활성, 혈당저하, 알파글루코시데이스 저해 활성 등(Ahn H & Choe E 2015, Ahn H 등 2015, Lee AY 등 2015) 주로 추출물의 건강기능성에 국한되어 나물 조리 과정 중의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산나물 조리 과정을 시뮬레이션하여 건조 상태의 삼나물과 다래순(묵나물)을 재수화하고 들기름을 넣고 가열 조리하면서 삼나물과 다래순에 함유되어 있던 클로로필, 카로테노이드 등 색소와 폴리페놀, 토코페롤 등 산화 방지 화합물의 함량을 평가함으로써 삼나물과 다래순 나물을 조리하는 과정 중 색상과 건강 기능성에 관련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2014년 산나물 총 생산량과 생산액은? 산나물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타민, 무기질은 물론 색소, 산화방지제 등 기능 성분이 풍부한 식품이다(Ahn H & Choe E 2015, Ahn H 등 2015). 우리나라 2014년 산나물 총 생산량은 40,338톤, 생산액은 3,697억원으로, 강원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그외 전라남도와 경상남도가 주된 생산 지역이었다(Korea Forest Service 2015). 산나물은 수분 함량이 높아 저장성이 낮은 식품으로 대부분 건조시킨 묵나물 형태로 저장, 유통하고 조리 시 재수화한다.
산나물은 영양학적으로 어떤 식품인가? 산나물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비타민, 무기질은 물론 색소, 산화방지제 등 기능 성분이 풍부한 식품이다(Ahn H & Choe E 2015, Ahn H 등 2015). 우리나라 2014년 산나물 총 생산량은 40,338톤, 생산액은 3,697억원으로, 강원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고 그외 전라남도와 경상남도가 주된 생산 지역이었다(Korea Forest Service 2015).
산나물의 조리과정 중 클로로필과 β카로텐은 어떻게 프로바이타민 A의 활성을 잃게 되는가? 산나물은 건조하기 전 대개 블랜칭(blanching) 을 거치며, 블랜칭과 건조 과정 중 클로로필과 카로테노 이드 등 색소는 물론 폴리페놀 등 산화방지 화합물이 손실된다(Ahn H & Choe E 2015). 특히 클로로필은 가열 조리 중 에피머화에 의해 페오피틴, 클로로필라이드 등여러 유도체를 생성하고(Chen BH & Chen YY 1993), β카로텐은 조리과정 중 trans 형태에서 cis 이성질체로 전환되어 프로바이타민 A의 활성을 잃는다(Chandler LA & Schwartz SJ 1988). 산나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는 초록빛과 거친 표면 특성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며(Yang JE 등 2014), 생 산나물의 건조는 물론 건조한 산나물(묵나물) 을 재수화하는 과정에서 산나물의 색도와 조직감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H, Choe E. 2015. Effects of blanching and drying on pigments and antioxidants of daraesoon (Shoot of the Siberian gooseberry tree, Actinidia arguta Planchon). Food Sci Biotechnol 24(4):1265-1270. 

  2. Ahn H, Chung L, Choe E. 2015.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several Korean sanchae. Korean J Food Sci Technol 47(2):164-169. 

  3.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Method 970.64. 

  4. Chandler LA, Schwartz SJ. 1988. Isomerization and losses of trans-, beta-carotene in sweet potatoes as affected by processing treatments. J Agric Food Chem 36(1):129-133. 

  5. Chen BH, Chen YY. 1993. Stability of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sweet potato leaves during microwave cooking. J Agric Food Chem 41(8):1315-1320. 

  6. Chimi H, Cillard J, Cillard P, Rahmani M. 1991. Peroxy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some natural phenolic antioxidants. J Am Oil Chem Soc 68(5):307-312. 

  7. Choe E. 2013. Interaction of light and temperature on tocopherols during oxidation of sunflower oil. J Am Oil Chem Soc 90(12):1851-1857. 

  8. Choi NS, Oh SS, Lee JM. 2001. Changes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quality properties of Aster scaber (Chamchwi) by blanch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6):745-752. 

  9. Granado F, Olmedilla B, Blanco I, Rojas-Hidalgo E. 1992. Carotenoid composition in raw and cooked Spanish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40(11):2135-2140. 

  10. Hong JJ, Ahn TH. 2005. Changes in total flavono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leafy vegetables (spinach, chard and whorled mallow) by blanching time. Korean J Food Cook Sci 21(2):190-194. 

  11. Hwang ES, Kim GH. 2011. Different cooking methods for Korean cabbage and their effe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carotenoid and tocopherol contents. Korean J Food Cook Sci 27(6):713-721. 

  12. Hwang HS, Choe EO. 2011.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stability of perilla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43(3):255-262. 

  13. Jo JO, Jung IC. 2000. Changes in carotenoid contents of several green-yellow vegetables by blanching. Korean J Soc Food Sci 16(1):17-21. 

  14. Khachik F, Beecher GR, Whittaker NF. 1986. Separation,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major carotenoid and chlorophyll constituents in extracts of several green vegetables by liquid chromatography. J Agric Food Chem 34(4):603-616. 

  15. Korea Forest Service. 2015. Forest products production statistics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forest.go.kr/newkfsweb/kfi/kfs/fp/fProducts.do?mnKFS_03_07_03_05&fileDownloadY&dataType/fProducts/2014_fp.zip&pblicDataId&tabs&searchSrvc&subTitle. Accessed June 5, 2016. 

  16. Lee AY, Kang MJ, Choe E, Kim JI. 2015.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Daraesoon (Actinidia arguta shoot) in animal models of diabetes mellitus. Nutr Res Pract 9(3):262-267. 

  17. Min DB, Boff JM. 2002. Chemistry and reaction of singlet oxygen in food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2):58-72. 

  18. Park JH, Lee YJ, Choi JK. 2005.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Korean folk medicine Da Rae Ip. Korean J Pharmacogn 36(1):26-33. 

  19. Rahmani M, Csallany AS. 1998. Role of minor constituents in the photooxidation of virg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75(7):837-843. 

  20. Wang S, Choe E. 2012. Oxidative stability and antioxidant changes in perilla seeds and perilla oil affected by UV irradi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1):8-13. 

  21. Wang S, Hwang H, Yoon S, Choe E. 2010. Temperature dependence of autoxidation of perilla oil and tocopherol degradation. J Food Sci 75(6):C498-C505. 

  22. Yang JE, Lee JH, Kim DY, Choe E, Chung L. 2014. Sensory properties and drivers of liking Sanchae namul (seasoned dish with wild edible greens). Korean J Food Cook Sci 30(2):200-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