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북지역에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재배와 발효 우분의 시용이 청보리의 생산성과 유기 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Cropping with Legume and using fermented Cattle Manure on Productivity of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Organic Hanwoo feeding Capacity in Gyeongbuk Region of Korea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4 no.3, 2016년, pp.525 - 537  

조익환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헤어리베치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발효우분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2012~2015년에 실시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3년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55~5.82, 0.49~0.52 및 3.51~3.72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44, 0.36 및 2.92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비구에 비해 이들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평균 ha 당 100 kg/ha 이상의 질소시용 시에 무비구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청보리의 3년 평균 조단백질 함량, ADF 함량 및 상대 조사료가치(RFV) 등은 단파구(각각 7.89%, 29.71% 및 104.89)보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구(각각 8.81~9.02%, 31.71~32.69% 및 105.44~108.83)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NDF와 TDN 함량은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구가 반대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과 TDN 함량에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2.15~3.66과 2.13~3.39두(평균 2.14~3.54두)로 단파구의 각각 1.93~2.79와 2.18~2.91두(평균 2.06~2.85두)보다 높은 사육능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우분 질소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더욱 뚜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를 재배 시에 콩과 사료작물을 혼파함으로써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유기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grow organic forage as a prime requirement for organic Hanwoo cattle production over a period of 3 years (2012~2015) in Gyeongbuk region, Korea through mixed cropping of winter fodder barley with legume and application of fermented cattle manure. The effect of barley-legum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북지역에서 2012~2015년 동안 대표적 월동작물로 재배되고 있는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인 헤어리베치 혹은 사료용 완두를 혼파 재배하고 질소질 화학비료를 대체한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동계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양질의 조사료를 확보하며 유기쇠고기 생산을 위한 단위면적당 한우 사육능력까지도 추정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헤어리베치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발효우분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2012~2015년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분뇨에 포함된 영양분은? , 2005). 특히 가축분뇨에는 질소, 인산, 칼슘 등 각종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오래전부터 작물의 생육에 매우 중요한 양분 공급원으로 활용되어 왔고(Jo et al., 2008), 가축분뇨를 이용하여 사료작물 재배 시 작물의 생산성이 화학비료에 대등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고 확인한 바 있다(Jo et al.
화학비료의 장단점은? 한편 조사료 생산지역에서도 작물의 생산성 증대만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질소, 인산 및 칼리 등 화학비료는 식물체에 흡수가 잘 되고 이용률은 높지만, 적정한 양 이상 시용하게 되면 토양의 산성화, 용탈에 의한 지하수 오염 그리고 토양 내 미량 영양소의 고갈 등 환경오염과 비경제성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Schechtner, 1978; Corre-Hellou et al., 2006; Constantin, et al.
콩과 사료작물의 영양적인 장점은? , 2014). 또한 콩과작물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사료가치가 높을 뿐 아니라 기호성이 좋아 조사료 품질 개선 작물로 이용되기도 한다(Kim et al., 2004; Lee and 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Constantin, J., N. Beaudoin, F. Laurent, J.-P. Cohan, F. Duyme, B. Mary. 2011. Cumulative effects of catch crops on nitrogen uptake, leaching and net mineralization. Plant Soil 341: 137-154. 

  3. Corre-Hellou, G., J. Fustec, and Y. Crozat. 2006. Interspecific competition for soil N and its interaction with N2 fixation, leaf expansion and crop growth in pea-barley intercrops. Plant Soil 282: 195-208. 

  4. Drew, Elizabeth A. Vadakattu VSR. Gupta, and David K. Roget. 2005. Are legumes doing their job? The effect of herbicides on N2 fixation in Southern Australian agricultural syste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nitrogen fixation congress. pp. 162-164. 

  5.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ulture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 C. 

  6. Hwangbo, S. and I. H. Jo. 2013.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inter forage crops in Gyeongbuk regions.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1(3): 451-465. 

  7. Hwangbo, S. and I. H. Jo. 2014. Effects of mixed sowing with legumes and applying cattle manure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wheat in Gyeongbuk reg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4(1): 52-59. 

  8. Jo, I. H. 2003. A Study on area types of recycling agricultur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1(3): 91-108. 

  9. Jo. I. H. 2012. Evaluation of carrying capacity of Hanwoo heifers when fed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influenced by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2(2): 117-124. 

  10. Jo, I. H., S. Hwangbo, and S. H. Lee. 2010.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8(3): 419-432. 

  11. Kim, J. D., S. G. Kim, and C. H. Kwon. 2004. Comparison of forage yield and quality of forage legume.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6(3): 437-442. 

  12. Noh, J. H., H. C. Lee, Y. J. Kim, S. S. Park, and J. S. Lee. 2013.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pplication on dry matter yield, feed value and stock carrying capacity of forage crops in Gang-Wondo area.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1(2): 247-263. 

  13. Lee, B. O., J. H. Yang, S. H. Jung, B. Y. Kwon, D. W. Seo, J. S. Lee, and H. C. Lee. 2013. The design of optimal management model of selectional self-supply forage for competitiveness of Korean beef cattle. RDA 

  14. Lee, I. D. and H. S. Lee.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from rye and hairy vetch seeding typers in Daeje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6(4): 207-214. 

  15. Lee, H. W., W. H. Kim, H. S. Park, H. J. Ko, and S. G. Kim. 2005. Effect of N application rate on fixation and transfer from vetch to barley in mixed st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25(1): 1-6. 

  16. Lee, H. W. and H. S. Park. 2002. Nitrogen fixation of legumes and cropping system for organic forag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0(1): 49-63. 

  17.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Extended Service. AG-FO-2637. 

  18. Lithourgidis, A. S., I. B. Vasilakoglou, K. V. Dhima, C. A. Dordas, and M. D. Yiakoulaki. 2006. Forage yield and quality of common vetch mixtures with oat and triticale in two seeding ratios. Field Crops Research. 99: 106-113. 

  19. Nahm, K. H. 1992.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Yoohan Pub. 1-70. 

  20. Oh, M. G., I. K. Jo, and S. Hwangbo. 2014. Effect of mixed sowing of legume and applying of cattle manure on the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Hanwoo carrying capacity of rye (Secale cereale L.).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22(3): 457-468. 

  21.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The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98: 71-72. 

  22. Ramesh, P., P. K. Ghosh, K. S. Reddy, Ajay, S. Ramana and R. S. Choudhary. 2005. Assessment of biomass, productivity and sustainability of soybean based cropping systems at three levels of nitrogen in deep vertisols of semi-arid tropical India. Journal of Sustainable Agriculture. 26(2): 43-59. 

  23. Ranells, N. N. and M. G. Wagger. 1997. Grass-legume bicultures as winter annual covercrops. Agronomy Journal. 89: 659-665. 

  24. RDA National Institue of Animal Science. 2012. Korean feeding standard for Hanwoo. 

  25. Ryu, D. K., S. I. Yun, J. S. Lee, I. H. Jo, and J. H Ahn. 2006. Standard model development of nature-circulating organic agricultur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6. SAS. 2013.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7. Schechtner, G. 1978. Zuer Wirksamkeit des Guellestickstoffs auf dem Gruenland in Abhaengigkeit vom Duengungsregime. Die Bodenkultur. 29, 351-371. 

  28. Tosi, G., P. Benincasa, M. Farneselli, F. Tei, and M. Guiducci, 2014. Barley-hairy vetch mixture as cover crop for green manuring and the mitigation of N leaching risk. European Journal of Agronomy. 54: 34-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