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의 한살이' 단원에서 속성배추를 활용한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이 초등학생의 흥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Using Rapid-cycling Brassica rapa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s in Life Cycle of Plant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6년, pp.336 - 347  

김소영 (서울개포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  김성하 (한국교원대학교) ,  홍준의 (서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BC-DEF) approach using Rapid-cycling Brassica rapa (RcBr) on the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wo elementary school classes in Seoul and one elem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낮아지는 원인은 무엇인가? 곽영순 등(2006)은 초 · 중 · 고 학생들의 과학 흥미 설문 조사 결과, 학교 급이 높아질수록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낮아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 원인 중 하나로 교사가 설명 위주로 지루한 수업을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 학교에서 제시하는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실제적인 탐구를 이끌어내고 있지 않다(Chinn & Malhotra, 2002).
과학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끌어내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실제 과학자들이 자연을 탐구하는 방식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임채성, 2005; Roth, 2008). 과학자의 과학적 활동에는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해 예민한 호기심을 갖고 해결할 가치가 있는 문제를 찾아내 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하며, 실행 결과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과 같은 일련의 정의적 · 행동적 · 인지적 영역이 수반된다(임채성, 2005; Schwab & Brandwein, 1962).
학생의 과학적 소양을기르기 위해 무엇이 중요한가? 학생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해서는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이 중요하다(김효남 등, 1998).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 학습은 인지적 영역에 치중해 있으며, 상대적으로 정의적 영역은 소홀히 여겨져 왔다(송영욱과 김범기,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남화, 박윤배(2010). 미국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창의성을 높이는 수업요소. 과학교육연구지, 34(2), 421-431. 

  2. 곽영순, 김찬종, 이양락, 정득실(2006). 초, 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한국지구과학회지, 27(3), 260-268. 

  3. 곽호원(1997). 능동적인 학습에 의한 과학탐구 활동.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2), 317-323. 

  4. 교육과학기술부(2011). 2011 개정 초.중등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9). 

  5.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 (2008).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7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6. 김래현, 임채성, 김재영(2014). '작은 생물의 세계' 수업주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후속 흥미 분석. 생물교육, 42(4), 359-370. 

  7. 김래현, 임채성(2016). 작은 생물의 세계 주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후속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초등과학교육, 35(1), 123-135. 

  8. 김성일(2007). 재미는 어디서 오는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12-13. 

  9. 김재영, 임채성, 백자연(2014).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행동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579-587. 

  10. 김지은,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2015). 정의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생물과 환경" 단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3(4), 464-472. 

  11. 김한수, 허명, 이길재, 정완호, 김성하(2001). 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생물 탐구 수업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1), 78-86. 

  12. 김효남, 정완호, 정진수(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3. 박현애, 배성우, 박종석(2014). 과학교육의 태도와 흥미 연구에서 리커트 척도 활용의 유의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85-391. 

  14. 박형민, 김재영, 임채성(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야외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흥미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4(2), 252-263. 

  15.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4).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자유탐구에서 인지적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773-783. 

  16. 백자연, 임채성, 김재영(2015).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과학 자유탐구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4(1), 109-122. 

  17. 송미영(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송영욱, 김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19. 유경진, 천재순, 정진수(2010). 중학생의 생명현상 관찰 활동에서 과학적 흥미 발생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5), 594-608. 

  20. 이명선, 김성하(2009). 속성배추를 이용한 식물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식물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8(3), 277-291. 

  21. 이현미, 김성하, 차희영, 이길재, 정완호(2002). Rapid-cycling Brassica rapa를 이용한 창의력 및 과학적 사고력을 위한 광합성 실험 모듈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4), 289-300. 

  22. 임채성, 김재영, 백자연(2012). 뇌기반 진화적 과학교수 학습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학생의 자유 탐구 활동에서 과학 태도와 흥미 주제 영역 분석. 초등과학교육, 31(4), 541-557. 

  23. 임채성, 오윤화(2004). 초등학교 학생이 지각한 감성 상태와 과학 학습 경험에 대한 기억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73-180. 

  24. 임채성(1997). 협동학습의 대뇌생물학적 기초: 아이디어-공유 창출 모델.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2), 143-155. 

  25. 임채성(2005). 뇌 기능에 기초한 과학 교수학습: 뇌 기능과 학교 과학의 정의적.심체적.인지적 영역의 연계적 통합 모형. 초등과학교육, 24(1), 86-101. 

  26. 임채성(2009).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990-1010. 

  27. 임채성(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28. 장현숙, 김성하(2008). 속성배추를 이용한 초등학생용 환경오염 탐구 모듈의 적용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2), 135-150. 

  29. 전민정, 김흥태, 김재근(2012). 초등학생들의 생물에 대한 흥미의 특성 및 경험과의 관계. 생물교육, 40(1), 1-14. 

  30. 정순진, 문지혜, 이상미, 조혜진(2013). 상추 기르기를 통한 탐구활동이 초등학교 5학년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0(4), 1023-1043. 

  31. 최효선, 임채성, 김성하, 홍준의(2016). 행동적 영역 중심의 뇌기반 진화적 접근에 따른 '식물의 뿌리 기능 알아보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활동 분석. 생물교육, 44(1), 167-178. 

  32. Aksela, M. M. & Bostrom, M. (2012). Supporting students' interest through inquiry-based learning in the context of fuel cells. Mevlana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 2(2), 53-61. 

  33.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34. Goldman, I. (1999). Teaching recurrent selection in the classroom with Wisconsin fast plants. Hort Technology, 9(4), 579-584. 

  35. Kanhathaisong, B., Wongyounoi, S., Boonprakob, M., Dechsri, P. & Chaivisuthangkura, P. (2009). Introducing a warm temperature adapted rapid cycling "Brassica rapa" to a thai science classroom: A preliminary study on students' involvement in realistic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16(10), 369-378. 

  36. Larson, L. C. & Miller, T. N. (2011). 21st century skills: Prepare students for the future. Kappa Delta Pi Record, 47(3), 121-123. 

  37. Roth, W. (2008). Authentic science for all and the search for the ideal biology curriculum: A personal perspective.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3(1), 3-5. 

  38. Schwab, J. J. & Brandwein, P. F. (1962). The teaching of science: The teaching of science as enquiry (Vol. 253). Harvard University Press. 

  39. Springer, L., Stanne, M. E. & Donovan, S. S. (1999). Effects of small-group learning on undergraduates in science, mathematics, engineering, and technology: A meta-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9(1), 21-51. 

  40. Tomkins, S. P. & Williams, P. H. (1990). Fast plants for finer science-an introduction to the biology of rapid-cycling Brassica campestris (rapa) L.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24(4), 239-250. 

  41. van Eijck, M. & Roth, W. M. (2009). Authentic science experiences as a vehicle to change students' orientations toward science and scientific career choices: Learning from the path followed by Brad. Cultural Studies of Science Education, 4(3), 611-638. 

  42. Williams, P. H. & Hill, C. B. (1986). Rapid-cycling populations of Brassica. Science, 232(4756), 1385-1389. 

  43. Wlodkowski, R. J. (1999). Enhancing adult motivation to learn: A comprehensive guide for teaching all adult.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44. Zachos, P., Hick, T. L., Doane, W. E., & Sargent, C. (2000). Sett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foundations for assessing scientific inquiry and discovery in educational progra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9), 938-9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