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 초등과학 영재의 외로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Narrative Inquiry on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nelines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5 no.3, 2016년, pp.348 - 361  

김희경 (증안초등학교) ,  권혁순 (청주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by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elly (2000),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sixth grade student from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의 부정적인 정서적 문제의 개인적, 사회적 결과는 무엇인가? 이 방해 요인들은 영재아동이 사회에 부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정서 장애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 영재아동은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 자살과 같은 병리 현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윤여홍, 1980). 영재의 부정적인 정서적 문제는 개인적으로는 고통과 불행을 가져오지만, 사회를 주도해 나갈 중요한 인재를 상실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라 할 수 있다.
미성취 영재의 대부분은 정의적 문제에 실패에 기인한 것은 무엇인가? 이른바 미성취 영재의 대부분은 정의적 문제에 실패했기 때문이라고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영재 아동의 정의적 특성 중 비동시적 특성, 정서적 민감성과 과흥분성, 심리적 취약성 등이 사회 환경과의 부적절한 조율과정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들이 그대로 방치되면 우울이나 불안, 무기력과 같은 심리상태를 갖게 되고, 이는 영재아동이 지적 능력을 발휘하는데 방해 요인이 된다.
영재아동이 지적 능력을 발휘하는데 방해 요인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이러한 부정적인 요소들이 그대로 방치되면 우울이나 불안, 무기력과 같은 심리상태를 갖게 되고, 이는 영재아동이 지적 능력을 발휘하는데 방해 요인이 된다. 이 방해 요인들은 영재아동이 사회에 부적응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정서 장애나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낀 영재아동은 사회적 고립이나 우울증, 자살과 같은 병리 현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윤여홍, 1980). 영재의 부정적인 정서적 문제는 개인적으로는 고통과 불행을 가져오지만, 사회를 주도해 나갈 중요한 인재를 상실하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큰 손실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지숙(2008).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교헌, 김지환(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6, 13-30. 

  3. 도현심(1998). 인성특성 및 또래에 의한 괴롭힘과 청소년의 외로움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12), 7-9. 

  4. 류은주, 김정은, 백성혜(2011).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 영재에 대한 고찰. 영재교육연구, 21(3), 659-682. 

  5. 박경숙, 손희권, 송혜경(1998). 학생의 왕따(집단 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6.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파주: 교육과학사. 

  7. 박천희(2003). 집단따돌림 현황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우경(2003). 부적응 영재아 상담에 대한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2), 65-86. 

  9. 여상인, 박상희(2005). 초등과학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교우관계 비교. 영재교육연구, 15(1), 45-59. 

  10. 우민정, 박인전(2001). 초기 부모: 자녀 결합형태 및 가족기능과 아동의 외로움간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6(2), 25-43. 

  11. 유미현, 조성신, 여상인(2011).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영재교육연구, 21(2), 465-484. 

  12. 윤여홍(1980). 영재의 심리적 특성과 판별 특징.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3. 윤여홍(1996). 영재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 건강을 위한 지도. 영재교육연구, 6(1), 53-72. 

  14. 윤초희, 윤여홍, 김홍원(2004). 지적으로 우수한 초등 영재아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177-196. 

  15. 이명선(2011).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영철(2009).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교우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비교.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치훈(2012). 초등영재가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유형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임연진, 나유미(2003). 청소년의 부모-자녀 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외로움간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5(2), 61-69. 

  19. 전병옥, 한기순(2014). 초등영재아동의 '행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영재교육연구, 24(3), 399-420. 

  20. 정은선, 조한익(2009).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09-227. 

  21. 조석희(1996). 영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2. 최은선(2004). 초등 영재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은혜, 이지연(2010). 초등영재아동의 지각된 성취압력과 스트레스 관계에서 정서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아동교육, 19(3), 265-285. 

  24. 한기순, 신정아(2007).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 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25. 허창재(2002). 영재아동의 스트레스요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Brage, D., Meredith, W. & Woodward, J. (1993). Correlates of loneliness among midwestern adolescents. Adolescence, 28(3), 685-694. 

  27.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28. Rodell, W. (1985). Developing social competence in gifted preschool children. Remendial and Special Education, 6(4), 6-11. 

  29. Rokach, A. (2001). Criminal offense type and cause of lonelines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3), 277-291. 

  30.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31. Webb, J. T., Meckstroth, E. A. & Tolan, S.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A practical source for parents and teachers. Ohio Psychology Pubulication Company. 

  32. Whitmore, J. R. (1979). Discipline and the gifted child. Roeper Review, 2(2), 42-4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