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수공간 이용효율성 개선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국내·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위한 친수공간 사례로 -
A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Efficiency Use of Waterfront - A Focus on the Waterfront Analysis for Domestic and Foreign Dragon Boat Festiva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4, 2016년, pp.86 - 99  

안병철 (원광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수상레포츠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통해 친수공간의 외적 환경과 내적 공간구조의 분석하고, 이용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홍콩, 부산, 인천, 대전 등 국내외 4곳의 대상지를 통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기초데이터를 제공하여 친수공간의 문화컨텐츠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항목에 대한 중요도 분석에서 친수공간 주변의 현대적 관광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변경관, 수변광장 및 오픈스페이스, 편의시설, 교통접근성, 수변녹지, 전망공간, 역사적 관광자원, 보행접근성, 수면의 폭, 수질, 수심, 파랑 등의 수면조건, 계류시설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변경관성은 대상지의 공간 구조적 문제라기보다는 도시 규모에 따른 외적 환경 요인에 의한 것으로 해석되며, 친수공간 입지선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해석된다. 수변 녹지경관의 분석에서 국내 대상지의 만족도가 높은 것은 최근 천변공원 등이 친수적 행위를 고려하여 조성된 원인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망공간은 수변 쾌적성 체험과 드래곤보트를 비롯한 수상레포츠의 역동성을 입체감 있게 볼 수 있는 주요 인프라로서, 이용효율성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관광자원적 요소는 친수공간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도가 높은 인자로서, 역사적 자원보다는 현대적 관광자원에 더욱 민감히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젊은 계층들의 쇼핑, 레저 등을 위한 관광인프라가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며, 홍콩과 부산은 주변 관광자원 인프라가 인접해 있는 친수공간 이용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교통 접근성 분석에서, 홍콩과 부산 두 곳 모두 지하철에 의한 교통 접근성이 우수한 지역의 영향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전은 교통 인프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장소적 인지도의 영향 탓으로 만족도가 낮게 분석되었다. 홍콩의 보행접근성은 친수공간이 도심으로 연결되어 있고, 부산은 주거단지와 쇼핑센터 등의 이용객들이 도보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의한 결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수면의 폭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에서, 인천을 제외하고는 3곳 모두 수면의 폭이 200m 이상이며, 일정수준 이상의 수면 폭이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집중력을 저해하는 결과로서 해석될 수 있다. 수질, 수심, 파랑 등의 수면 조건의 분석에서, 부산은 설문조사시 수질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대전 갑천의 경우는 대회 참여자들에 의해 적정수심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for analyzing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nternal space structure and improving the way of use efficiency in waterfront through the Dragon boat festival to utilize waterfront actively. Through from the four target area, Hongkong, Busan, Incheon and Daejeon, this study was for an im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획, 설계, 시공의 과정에 중점을 두었던 기존 방식에서 좀 더 나아가 그 공간 특성에 맞는 문화컨텐츠 속성과 인간행태를 피드백하고 개선하여 친수공간의 구조적 개선방안을 찾는 일은 그 공간의 장소적 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글로벌 인지도와 지역의 문화 컨텐츠로 인식되는 홍콩 국제드래곤보트 페스티벌과 국내에서 개최되는 부산 국제 드래곤보트 페스티벌 그리고 인천과 대전의 국내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이 펼쳐지는 친수 공간의 외적 환경과 내적 공간구조의 분석을 통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을 증진시키고, 문화컨텐츠로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친수공간의 구조와 이용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은 공간구조와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의 수변 문화를 흡수할 수 있는 장소성의 가치를 향상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친수공간의 계획, 설계과정에서 최종 결과물의 적합성과 이용효율성 결과에 따른 피드백과 설계오류의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에 참여한 친수공간 이용객의 기대와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이 진행되는 4곳(홍콩 침사추이 빅토리아 하버, 부산 수영강, 인천 아라뱃길, 대전 갑천)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참여 이후의 만족도 고찰과 분석을 통해 친수공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친수공간에서 진행되는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을 통해 친수공간의 구조와 이용효율성을 고찰하기 위해, 우선 기존 문헌자료 및 현장조사·분석을 병행하였다.
  • 친수공간에서 펼쳐지는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은 그 특성상 스포츠와 레저의 속성을 동시에 공유하는 동시에, 많은 인원이 직접 수변과 수면의 일정영역을 점유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수변에서 펼쳐지는 그 지역의 문화 컨텐츠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waterfront)의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 바다, 강, 운하, 하천을 대상으로, 홍콩 빅토리아 하버를 비롯하여 부산 수영강, 아라뱃길, 대전 갑천의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의 친수공간에 대해 이용객들이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12개 항목의 인자들에 대한 이용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을 가장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수상레포츠 중 하나인 ‘드래곤 보트 페스티벌’을 통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친수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환경을 바탕으로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에 참여한 친수공간 이용객의 기대와 만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이 진행되는 4곳(홍콩 침사추이 빅토리아 하버, 부산 수영강, 인천 아라뱃길, 대전 갑천)이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와 참여 이후의 만족도 고찰과 분석을 통해 친수공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친수공간의 구조와 이용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은 공간구조와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의 수변 문화를 흡수할 수 있는 장소성의 가치를 향상하는데 있으며, 이를 통해 친수공간의 계획, 설계과정에서 최종 결과물의 적합성과 이용효율성 결과에 따른 피드백과 설계오류의 저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드래곤보트 페스티벌을 위한 친수공간의 이용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이용자들의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기초데이터를 제공하여 친수공간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수공간이나 워터프론트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또한, 친수공간이나 워터프론트의 강점은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 물리적 요소인 생산성과 다양성이 아니라 할지라도, 정신적 요소인어메니티와 문화, 흡인성이 강한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Lee, 2014). 이러한 장소적 경쟁력이 그 지역의 문화적 행위를 포용하면서 하나의 새로운 문화경관을 창출할 수 있으며, 시간적 지속성 속에 전통적 가치를 길러내고, 공간적 부가 가치를 높여간다고 할 수 있다. 육역과 수역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화된 공간으로서, 오픈 스페이스 기능뿐만 아니라, 친수경관, 레크레이션, 정서함양, 생산 등 복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성이 높은 공간이라 할 수 있는 친수공간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공간구조와 이용, 효율적 활용, 그리고 공간에서의 문화컨텐츠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친수공간이란 무엇인가? 국내에서 통용되는 친수공간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친수공간이란 수제선(水際線; 물과 땅이 닿아서 이루는 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 일정 범위의 육역과 수역을 포함하는 공간을 말한다 (MOLIT, 2010)라고 되어 있으며, 유사한 용어와 개념으로 수변공간, 워터프론트를 들 수 있다. 친수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기 까지 가장 기여했다고 생각되는 ‘친수공원’의 정의에 대해서 즈치야(Tsuchiya, 1991)는 하천, 바다, 연못, 호소 등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물을 주제로 ‘의도적’으로 ‘친수성’을 도입한 시설의 총칭이라고 하였다(Kuroyangi Akio, 2011).
친수공간이나 워터프론트의 강점은 무엇인가? 친수라는 용어가 일반화되기 까지 가장 기여했다고 생각되는 ‘친수공원’의 정의에 대해서 즈치야(Tsuchiya, 1991)는 하천, 바다, 연못, 호소 등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물을 주제로 ‘의도적’으로 ‘친수성’을 도입한 시설의 총칭이라고 하였다(Kuroyangi Akio, 2011). 또한, 친수공간이나 워터프론트의 강점은 그 공간이 가지고 있는 특성 중 물리적 요소인 생산성과 다양성이 아니라 할지라도, 정신적 요소인어메니티와 문화, 흡인성이 강한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수 있다(Lee, 2014). 이러한 장소적 경쟁력이 그 지역의 문화적 행위를 포용하면서 하나의 새로운 문화경관을 창출할 수 있으며, 시간적 지속성 속에 전통적 가치를 길러내고, 공간적 부가 가치를 높여간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o, S. W.(2015) The framework of decision making for choice of camping site selection attributes according to camping motiv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0): 225-234. 

  2. Jun, J. K., D. S. Choi and M. S. Shim(2008) The effect of beach selection attributes on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Focused on Busan beaches.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0(5): 2845-2867. 

  3. Kim, H., H. S. Chang and J. S. Hwang(2014) A study of tourism motivation and destination choice attributes in tourismbehavior: Focusing on Ansan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1): 219-232. 

  4. Kim, S. M., J. C. Lee., M. J. Park., J. B. Kwon and Y. W. Lee(2012) Development of a method for calculating weights of evaluation criteria for proper selection of urban waterfront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5): 683-693. 

  5. Kim, T. D., J. H. Koo, S. J. Lee and A. R. Choi(2016) Selection attributes importance and satisfaction for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Baekdudaeg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2): 19-30. 

  6. Kuroyangi Akio and Watanabe Hidetoshi(2011) 都市の水邊と人間行動. 

  7. Lee, W. C.(2014) Derivation Study of Urban-Rehabilitation Strategies and Planning Factors for Waterfront Areas in Consideration of Revitalization.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8. Lee, Y. H., Y. E. Cho, E. J. Kang and Y. G. Kim(2016) A study on users' recognition of selection attributes for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1): 16-28. 

  9. MCST(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2013) Physical Education White Paper. 

  10.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0) Guidelines for Friendly Riverscape. 

  11. Oh, J. H., B. G. Seok and K. M. Cho(2015) The influence of expectancy-disconfirmation paradigm on revisit intention among water leisure sport participa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2: 411-423 

  12. Park, K. G.(2013) Effect on selected attribute on functional bakery product to perceptual value and utility satisfaction. Journal of Hotel & Resort 12(3): 311-328. 

  13. Seo, E. Y., C. S. Lee and J. M. Won(2012)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f waterfront areas in three major world cities: Focusing on London, Paris, Seoul's Waterfront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6): 109-122. 

  14. Tsuchiya Mitsukuni(1991) 都市における親水河川.公園の實態について. 京都土木技術硏究所年報. pp.139-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