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활동을 위한 보안메트릭 정의
Definition of Security Metrics for Software Security-enhanced Development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17 no.4, 2016년, pp.79 - 86  

서동수 (School of IT, Sungshin Women's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시행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제도에 힘입어 시큐어코딩은 개발자들에게 정보시스템 구축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제도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보안성 향상에 대한 관리는 개발보안 제도에서 간과된 부분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품질관리 시각에서 보안성과 관련한 시큐어코딩의 특징을 조명한다. 또한, 보안 메트릭의 제시를 통해 구현과 유지 보수 활동을 자연스럽게 연계시키는 방법과 보안 메트릭을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소스코드의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 the influence of software security-enhanced development guidelines announced in 2012, secure coding practices become widely applicable in developing information systems aiming to enhance security capabilities. Although continuous enhancement activities for code security is important, manage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이 악의적인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하는 좋은 코딩실무를 제시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BSIMM이나 Open SAMM과 같은 보안프레임워크와 비교할 때 프로세스 관점에서 코딩과 유지보수 단계의 연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이 갖는 한계를 개발자, 유지보수자 관점에서 고찰하며, 유지보수 활동과 연계될 경우 소스코드의 품질관리 활동을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이 코딩 단계에 집중되었다면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에서 발생하는 코드 변경에 관해서도 접근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시큐어코딩 활동이 반복 되어 수행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1차 점검 결과와 이행점검 사이의 코드 개선을 구분하여 새로운 버전에 대해 품질 관점에서 보안성이 개선되는 과정을 위험등급 판정과 보안약점 개선추이 그래프를 통해 측정, 관리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 담당자는 측정된 보안메트릭에 근거하여 보안활동 계획을 수립할 경우 자원과 일정배정에 활용할 수 있다.
  •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은 코딩단계에서 보안 문제를 점검함으로써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강인하게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활동은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자주 발생하는 보안오류를 코딩 단계에서 제거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큐어코딩 실무로 구성된다.
  • 먼저 최초 작성된 코드에 대한 정적분석을 수행하고, 수행결과에 따른 오류를 수정한다. 이행점검이라 불리는 두 번째 점검에서는 실제 오류들이 올바르게 제거되었는지 확인하는 목적으로 정적분석을 재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코드 변경 정보는 프로그래머와 유지보수 담당자 사이에 공유되어야 하며, 코드 메트릭은 이 과정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다.

가설 설정

  • 2) 보안약점은 코드의 내부 구조와 별도로 다루는 정보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C와 IFC가 보안 메트릭으로 활용되기 어려운 이유는? CC나 IFC가 유용한 메트릭임에도 불구하고 보안 문제에 관해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보안문제는 내부논리와 모듈 인터페이스의 복잡성 때문에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유용한 보안 메트릭이 되기 위해서는 CC나 IFC와 같은 구조 메트릭보다는 코드의 보안 특성을 반영하는 메트릭이 사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보안약점이란? 2012년 6월에 발표된 행정자치부의 소프트웨어 개발보안가이드는 공공 시스템 개발자로 하여금 소스코드에 존재하는 보안약점(weakness)을 제거하는 것을 의무화 하고 있다. 보안약점이란 운영환경에서 발견되는 취약점 (vulnerability)의 원인을 말하며 주로 소스코드에 존재하는 보안오류이다. 2013년 개정된 소프트웨어 개발보안 가이드에서는 보안약점 진단목록을 8개 유형으로 구분하여 총 47개의 항목을 정의한다 (표 1).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발보안은 코딩단계에서 보안 문제를 점검함으로써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강인하게 작동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활동은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시 자주 발생하는 보안오류를 코딩 단계에서 제거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큐어코딩 실무로 구성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IBM X-Force Threat Intelligence Quaterly, 1Q 2015 

  2. Software security-enhanced development guides version 2, Ministry of the Interior 2013.11, http://www.moi.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2&nttId42149 

  3. BSIMM 6, http://www.BSIMM.com, 2015 

  4. Open SAMM, http://www.opensamm.org 

  5. Microsoft SDL, https://www.microsoft.com/en-us/sdl/ 

  6. R. Seacord, The CERT C Secure Coding Standard, Addison Wesley, 2008. 

  7. MISRA-C:2012 http://www.misra.org.uk 

  8. Software security-enhanced development guides using open source software, Ministry of the Interior, 2016. 2 http://www.moi.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2&nttId48386 

  9. Development and operation guide for public and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Ministry of the Interior 2013.11 2013. 8 

  10. D. Seo, S, Kim et al, Study on application of Software security-enhanced development, KISA, 2014 

  11. L. Laird, M Brennan, Software Measurement and Estimation: A Practical Approach, Wiley Inter-Science, 2006 

  12. Common Criteria, http://commoncriteriaportal.org, 2006. 

  13. National Vulnerability Database Version 2.2, http://nvd.nist.gov/ 

  14. Common Vulnerability Scoring System version 3, http://nvd.nist.gov/cvss.cfm, 2016 

  15. OWASP Top 10 https://www.owasp.org/index.php 

  16. Common Weakness Enumeration https://cwe.mitre.org/ 

  17. Guidelines for certification of G-ISMS, Ministry of the Interior, 2010. 6. http://www.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000000014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