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내에서 Light-Emitting Diodes(LEDs)를 이용한 광질과 광조사 방법이 사과 토양병원균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Effect on Light Qualities and Lighting Types Provided by Light-Emitting Diodes (LEDs) for the Mycelia Growth of Soil-Borne Fungal Pathogens in Appl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2 no.2, 2016년, pp.100 - 106  

이성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권의석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신현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장후봉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남상영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홍의연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 ,  차재순 (충북대학교 식물의학과) ,  허정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스마트팜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EDs를 이용한 광질과 광조사 방법이 사과나무를 고사시키는 토양병원균 4종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 cactorum KACC40166 (역병균), A. rolfsii KACC40170 (흰비단병균) 및 H. mompa KACC40836 (자주날개무늬병균) 균주는 광조사 방법 간에 차이 없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 간 10% 이내의 차이로 유사한 균사생장을 보였다. 그렇지만, R. necatrix KACC40168 (흰날개무늬병균) 균주의 균사생장은 광조사 방법 간에 공통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LED 청색광, 청색+녹색 혼합광, 청색+적색 혼합광 및 형광등 조사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R. necatrix KACC40168 균주의 멜라닌 색소는 광조사 방법과는 상관 없이 LED 녹색광과 형광등 하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현된 반면에, LED 적색광과 대조구에서는 유도되지 않았다. 더욱이, R. necatrix KACC40168 균주의 균사 폭은 광조사 방법 간에 공통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LED 청색광과 청색+녹색 혼합광에서 유의성 있게 얇아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studied the mycelia growth of four soil-borne fungal pathogens under light qualities and two lighting types (continuous and intermittent) provided by light-emitting diodes (LEDs). As a result, each mycelia growth on Phytophthora cactorum KACC40166, Athelia rolfsii KACC40170, and Helicobasi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ED 청색, 적색 및 녹색 단일광과 이것의 혼합광 하에서 연속 및 간헐적 광조사 방법이 사과나무를 고사시키는 토양병원균인 역병균, 흰비단병균, 자주날개무늬병균 및 흰날개무늬병균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과나무를 고사시키는 토양 진균병에는 무엇이 있나? 일반적으로 사과나무를 고사시키는 토양 진균병에는 역병(Phytophthora root rot, Phytophthora cactorum 및 P. cambovora), 흰비단병(southern blight, Athelia rolfsii), 자주날개무늬병균(violet root rot, Helicobasidium mompa), 흰날개무늬병(white root rot, Rosellinia necatrix) 등이 있다(KSPP, 2009; Lee 등, 2006; RDA, 1993).
토양병의 병징이 나타난 후에는 이미 수세회복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은 이유는? 토양병의 전염 및 감염 등 발병과정에는 다양한 토양 환경조건이 관여하므로 사과나무의 지상부에서 발생하는 병과는 상이하다(Tadao, 1984). 토양병은 지상부에서 병징이 관찰되기 전까지는 병의 발생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고 피해가 진행된다. 또한, 병징이 나타난 후에는 이미 지하부의 절반 이상이 피해를 받은 상태로 수세회복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Lee, 1995).
식물병원균의 생장에 미치는 LEDs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는 이유는? 한편, 반도체소자인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s, LEDs)는 다수 원예작물의 생장 및 형태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인공광원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Heo 등, 2012, 2013). 최근 들어 식물병원균의 생장에 미치는 LEDs의 영향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광질과 광량은 곰팡이 생활사에서 포자 발아, 균사 생장, 생식 및 휴면 구조의 발달에 양성 굴광성(positive phototropism) 또는 음성 굴광성(negative phototropism)으로 작용한다(Casas-Flores와 Herrera-Estrella, 2016). LED 청색광은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의 균사생장을 억제한다고 보고(Choi 등, 2013; Kim 등, 2013)하였고 Suthaparan 등(2010)은 장미 하우스 재배에서 흰가루병을 억제하는 데 있어 야간에 LED 적색광 조사가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sas-Flores, S. and Herrera-Estrella, A. 2016. The bright and dark sides of fungal life. In: The Mycota. Vol. IV. Environmental and Microbial Relationships. 3rd ed., eds. by I. S. Druzhinina and C. P. Kubicek, pp. 41-77.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AG, Cham, Switzerland. 

  2. Choi, E. G., Kim, M. H., Baek, G. Y., Choi M. K., Yoon, Y. C. and Kim, H. T. 2013. The influence of gray mold growth under LED light source. J. Agric. Life Sci. 47: 265-271. 

  3. Fuller, K. K., Ringelberg, C. S., Loros, J. J. and Dunlap, J. C. 2013. The fungal pathogen Aspergillus fumigatus regulates growth, metabolism, and stress resistance in response to light. MBio. 4. Online publication. doi: 10.1128/mBio.00142-13. 

  4. Heo, J. W., Kang, D. H., Bang, H. S., Hong, S. G., Chun, C. H. and Kang, K. K. 2012. Early growth, pigmentation, protein content, and phenylalanine ammonia-lyase activity of red curled lettuces grown under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Kor. J. Hort. Sci. Technol. 30: 6-12. 

  5. Heo, J. W., Kim, D. E., Kang. K. K., Park, S. H. and Chun, C. H. 2013. Growth and flowering before and after storage of african marigold and salvia seedlings stored under different light conditions. Kor. J. Hort. Sci. Technol. 31: 400-406. 

  6. Jones, A. L. and Aldwinckle, H. S. 1991. Compendium of Apple and Pear Disease. 2nd ed. APS Press, St. Paul, MN, USA. 100 pp. 

  7. Kaiser, W. 1964. Effect of light on growth and sporulation of the Verticillium wilt fungus. Phytopathology 54: 765-770. 

  8. Kim, K. M., Kook, H. S., Jang, Y. J., Lee, W. H., Kamala-Kannan, S., Chae, J. C. and Lee, K. J. 2013. The effect of blue-light-emitting diodes on antioxidant properties and resistance to Botrytis cinerea in tomato. J. Plant Pathol. Microb. 4: 203. 

  9. Kim, S. I., Lee, S. B. and Choi, Y. M. 199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control of apple root rot disease. RDA J. Agri. Sci. 37: 29-42. 

  10. [KSPP]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Suwon, Korea. pp. 196-200. 

  11. Lee, D. H. 2002. Etiology and ecology of apple white root rot, caused by Rosellinia necatrix and its biological control.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2. Lee, D. H., Lee, S. W., Choi, K. H., Kim, D. A. and Uhm, J. Y. 2006.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pple diseases in Korea from 1992 to 2000. Plant Pathol. J. 22: 375-380. 

  13. Lee, S. B. 1995. Etiology and epidemiology of white- and violetroot rot caused by Rosellinia necatrix and Helicobasidium mompa on apple tree and their control in Korea.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14. Lee, S. B., Jang, H. I., Kim, K. H., Choi, Y. M. and Chung, B. K. 1995. Incidence of soil-borne diseases in apple orchards in Korea. Kor. J. Plant Pathol. 11: 132-138. 

  15. Lee, S. H., Shin, H. M., Kim, I. J., Nam, S. Y. and Lee, K. Y. 2015. Survey on the orchard damage occurred to crown death for apple trees in Chungbuk province. Kor. J. Hort. Sci. Technol. 33(Suppl II): 187. 

  16. Purschwitz, J., Muller, S., Kastner, C., Schoser, M., Haas, H., Espeso, E. A., Atoui, A., Calvo, A. M. and Fischer, R. 2008. Functional and physical interaction of blue- and red-light sensors in Aspergillus nidulans. Curr. Biol. 18: 255-259. 

  17.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3. Compendium of Fruit Tree Diseases with Color Plat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286 pp. 

  18. Richard, T. H. 1990. Illustrated Genera of Ascomycetes. APS Press, St. Paul, MN, USA. pp. 114-115. 

  19. Sanchez-Murillo, R. I., de la Torre-Martinez, M., Aguirre-Linares, J. and Herrera-Estrella, A. 2004. Light-regulated asexual reproduction in Paecilomyces fumosoroseus. Microbiology 150: 311-319. 

  20. Suthaparan, A., Torre, S., Stensvand, A., Herrero, M. L., Pettersen, R. I., Gadoury, D. M. and Gislerod, H. R. 2010. Specific light-emitting diodes can suppress sporulation of Podosphaera pannosa on greenhouse roses. Plant Dis. 94: 1105-1110. 

  21. Sztejnberg, A. and Madar, Z. 1980. Host range of Dematophora necatrix, the cause of white root rot disease in fruit trees. Plant Dis. 64:662-664. 

  22. Tadao, U. I. 1984. Handbook of Soil-Borne Diseases. Japan Plant Protection Association, Tokyo, Japan. 349 pp. 

  23. Trevethick, J. and Cooke, R. C. 1973. Non-nutritional factors influencing sclerotium formation in some Sclerotinia and Sclerotium species. Trans. Br. Mycol. Soc. 60: 559-566. 

  24. Wolkow, P. M., Woloshuk, C. P. and Sisler, H. D. 1980. A comparison of the action of 3 systemic fungicides on Pyricularia oryzae. Phytopathology 70: 694-699. 

  25. Woloshuk, C. P., Sisler, H. D. and Vigil, E. L. 1983. Action of the antipenetrant, tricyclazole, on appressoria of Pyricularia oryzae. Physiol. Plant Pathol. 22: 2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