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AO (Anodized Aluminium Oxide) template 제조 및 이를 이용해 제조한 탄소 및 산화 금속 나노 섬유 물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Manufacturing the AAO Template and Fabrication of Carbon and Metal Oxide Nanofibers using AAO Template 원문보기

한국표면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v.49 no.4, 2016년, pp.357 - 362  

김청 (충북대학교 공업화학과) ,  박수길 (충북대학교 공업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manufactured the anodized alumina oxide (AAO) template and fabricated the carbon nanofibers and manganese oxide nanofibers using AAO template for application to electrochemical capacitor. Pore diameters of the AAO template were increased from 50 to 90 nm by increasing the acid t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또한 세척 이후 Al foil의 강도가 급격히 줄어들어 부스러지는 현상을 나타내어, 나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기판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후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연구에 있어서 2차 양극 산화 공정이후 산 처리 시간이 215분인 경우를 제외하고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 그림 3은 2차 양극 산화 공정 후 산 처리 시간에 따른 AAO template의 변화를 FE-SEM을 통해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모든 과정은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2차 양극 산화 공정 이후 산 처리 시간을 변수를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AAO template의 2차 양극 산화 공정 이후 산 처리 시간은 (a) 135분 (b) 165분 (c) 195분 (d) 215분으로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2차 양극 산화 이후 산 처리 시간에 따라 50, 75, 90 nm의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AAO template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탄소 나노 섬유 및 망간 산화물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산 처리 시간에 따라 AAO template의 기공 직경은 증가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해 제조한 나노 섬유 또한 동일한 현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양극 산화법을 이용하여 anodized alumina oxide (AAO) template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 형태의 탄소 나노 섬유 및 금속 산화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차적으로 탄소 나노 섬유의 제조를 통해 활성 탄소의 비표면적을 높여 비정전용량의 향상을 모색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금속 산화물 나노 섬유를 제조한 뒤, 활성탄소와 블렌딩 하여 작동 전압 범위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 [13] 양극 산화 반응의 진행 단계는 (1) 전해액과 맞닿는 Al foil 표면에 Al2O3의 형성 (2) 1차 산화 공정을 통한 불규칙한 구조의 AAO template 형성 (3) 불규칙한 구조의 산화막 제거 후, 균일한 기공 형성 (4) 2차 산화 공정 및 산 처리를 통한 기공의 길이 성장 및 기공의 직경 성장 순으로 진행된다. 양극 산화 과정에서 4번째의 2차 산화 공정을 통해 기공의 길이와 직경의 성장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2차 양극 산화 공정에서의 산 처리 시간에 따른 기공의 직경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 양극과 음극 동일하게 Al Foil을 이용했으며, 양극은 8 × 8 cm2 의 면적을 가지는 Al foil을 음극은 양극의 10배의 면적을 가지는 Al foil을 이용하여 양극산화법을 실시하였다.
  • 그림 1은 AAO template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다. 양극산화 과정을 통해 제조한 AAO template 표면에 나노섬유의 구성이 될 물질의 원료 물질을 도포, 열처리를 통한 원료 물질 melting 및 나노 섬유 형성, AAO template 제거 및 필터를 통한 나노 섬유 수득의 3단계 과정을 거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탄소 나노 섬유와 망간 산화물 나노 섬유의 자세한 제조방법은 아래 항목에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양극 산화법을 이용하여 anodized alumina oxide (AAO) template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 형태의 탄소 나노 섬유 및 금속 산화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다.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차적으로 탄소 나노 섬유의 제조를 통해 활성 탄소의 비표면적을 높여 비정전용량의 향상을 모색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금속 산화물 나노 섬유를 제조한 뒤, 활성탄소와 블렌딩 하여 작동 전압 범위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양극 산화법이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과 전해액과의 계면에서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켜 산화 막을 생성시키는 공정이다[13].
  • 7 mol의 인산 수용액에 넣어 135분에서 215분까지 시간을 조절하여 AAO template를 제작했다. 제작된 AAO template의 표면 및 파단면을 확인하기 위해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LEO-1530, Carl Zeis)을 이용하여 표면 및 파단면을 관찰하였다.
  • 이후 1M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AAO template를 제거하고, 아스피레이터를 이용한 감압 필터를 통해 망간 산화물 나노 섬유를 걸러낸 후, 80℃의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나노 섬유를 얻었다. 제조한 망간 산화물 나노 섬유의 형성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LEO-1530, Carl Zeis)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 이후 1 M의 NaOH 수용액을 이용하여 AAO template를 제거하고, 아스피레이터를 이용한 감압 필터를 통해 탄소 나노 섬유를 걸러낸 후, 80℃의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나노 섬유를 얻었다. 제조한 탄소 나노 섬유의 형성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LEO-1530, Carl Zeis)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 AAO template에 원료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원료는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였다. 표면에 도포된 원료 파우더가 melting 되어 기공 안으로 녹아 들어갈 수 있는 온도를 고려하여 열처리를 진행하였으며, 열처리 과정은 2 step으로 진행하였다. 1 step에서는 상온에서 시작하여 300℃까지 승온 시킨 뒤 1시간 유지하고, 2 step에서는 300℃에서 600℃까지 승온 시킨 뒤 1시간 30분을 유지했으며, 이후 자연 냉각을 진행했다.

대상 데이터

  • 0.2 mm의 두께를 가지는 고순도 알루미늄(99.99% samhwa co.)을 양극 산화용 전극으로 사용했다. 양극과 음극 동일하게 Al Foil을 이용했으며, 양극은 8 × 8 cm2 의 면적을 가지는 Al foil을 음극은 양극의 10배의 면적을 가지는 Al foil을 이용하여 양극산화법을 실시하였다.
  • 2.2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망간 산화물 나노 섬유 형성을 위해 maganese oxide (MnO2, sigma-aldrich, 99%)를 이용하였다. AAO template에 원료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원료는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였다.
  • 2.2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탄소 나노 섬유를 제조하였으며, 탄소 나노 섬유 형성을 위해 Polyvinylpyrrolidone (PVP, sigma-aldrich, 99.5%)를 사용하였다. AAO template에 원료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원료는 파우더 형태로 사용하였다.
  • 양극과 음극 동일하게 Al Foil을 이용했으며, 양극은 8 × 8 cm2 의 면적을 가지는 Al foil을 음극은 양극의 10배의 면적을 가지는 Al foil을 이용하여 양극산화법을 실시하였다. 전해액으로는 0.3 mol의 옥살산(99.5%, samchun pure chemical)을 사용했다. 1차 양극산화는 40 V에서 50분간 온도를 20℃로 유지하며 진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극 산화법이란?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차적으로 탄소 나노 섬유의 제조를 통해 활성 탄소의 비표면적을 높여 비정전용량의 향상을 모색하였으며, 2차적으로는 금속 산화물 나노 섬유를 제조한 뒤, 활성탄소와 블렌딩 하여 작동 전압 범위를 증가시켜 에너지 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한 양극 산화법이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과 전해액과의 계면에서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켜 산화 막을 생성시키는 공정이다[13]. 이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를 제조할 경우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방사법에 비해 습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며, 10 ~ 30 kV를 사용하여 만드는 전기방사에 비해 20 ~ 200 V 사이의 적은 전압으로도 쉽게 나노 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양극 산화법의 장점은? 본 연구에서 진행한 양극 산화법이란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극과 전해액과의 계면에서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켜 산화 막을 생성시키는 공정이다[13]. 이를 이용하여 나노 섬유를 제조할 경우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방사법에 비해 습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으며, 10 ~ 30 kV를 사용하여 만드는 전기방사에 비해 20 ~ 200 V 사이의 적은 전압으로도 쉽게 나노 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단점은? 대체 에너지 응용 중에서도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한 종류인 전기이중층의 원리를 이용한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는 빠른 충?방전 속도, 높은 출력 밀도, 긴 수명 특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4-6]. 하지만, 전기화학 커패시터는 낮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고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기 전해질의 개발을 통한 작동 전압 범위 향상[7, 8] 및 전극 물질의 비표면적 증가를 통한 비정전용량 증가[9-11]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 연구자들은 전기화학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즉, 용량 값과 구동 전압을 향상 시키는 것은 전극물질의 에너지밀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발표하고 있다[1, 3, 5-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F. Sun, J. Gao, X. Liu, L. Wang, Y. Yang, X. Pi, S. We and Y. Qin, High-energy Li-ion hybrid supercapacitor enabled by a long life Ni-rich carbon based anode, Electrochim. Acta, 213 (2016) 626-632. 

  2. J. H. Kim, H. J. Choi, H. K. Kim, S. H. Lee and Y. H. Lee, A hybrid supercapacitor fabricated with an activated carbon as cathode and an urchinlike $TiO_2$ as anode, Inter. J. Hydrogen Energy, 41 (2016) 13549-13556. 

  3. C. Kim, H. Habazaki and S. G. Park, Improved Properties of $Li_4Ti_5O_2$ (LTO) by Surface Modification with Carbon Nanotube (CNT), J. Korean Inst. Surf. Eng., 49 (2016) 191-195. 

  4. H. Chen, D. Liu, Z. Shen, B. Bao, S. Zhao and L. Wu, Functional Biomass Carbons with Hierarchical Porous Structure for Super capacitor Electrode Materials, Electrochim. Acta, 180 (2015) 241-251. 

  5. Q. Zhou, C. Jia, X. Ye, Z. Tang and Z. Wan, A knittable fiber-shaped supercapacitor based on natural cotton thread for wearable electronics, J. Power Sources, 327 (2016) 365-373. 

  6. T. Ariyanto, B. Dyatkin, G. R. Zhang, A. Kern, Y. Gogotsi and B. J. M. Eyzold, Synthesis of carbon coreeshell pore structures and their performance as supercapacitors, Mict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218 (2015) 130-136. 

  7. N. G. Bretesche, O. Crosnier, F. Favier and T. Brousse, Improving the Volumetric Energy Density of Supercapacitors, Eletrochim. Acta, 206 (2016) 458-463. 

  8. E. Kovalska and C. Kocabas, Organic electrolytes for graphene-based supercapacitor: Liquid, gelor solid, Materials Today Communications, 7 (2016) 155-160. 

  9. L. Shi, X. Li, Y. Jia, D. Kong, H. He, M. Wagner, K. Mullen and L. Zhi, Continuous carbon nanofiber bundles with tunable pore structures and functions for weavable fibrous supercapacitors, Energy Storage Materials, 5 (2016) 43-39. 

  10. Z. Liu, F. Teng, C. Chang, Y. Teng, S. Wang, W. Gu, Y. Fan, W. Yao and Y. Zhu, Charge storage performances of micro-supercapacitor predominated by two-dimensional (2D) crystal structure, Nano Energy, 27 (2016) 58-67. 

  11. Z. Y. Li, M. S. Akhtar and O. B. Yang, Supercapacitors with ultrahigh energy density based on mesoporous carbon nanofibers: Enhanced double-layer electrochemical properties, J. Alloys. Compounds, 653 (2015) 212-218. 

  12. F. Sun, J. Gao, X. Liu, X. Pi, Y. Yang and S. Wu, Porous carbon with a large surface area and an ultrahigh carbonpurity via templating carbonization coupling with KOH activation as excellent supercapacitor electrode materials, Applied Surface Science, 387 (2016) 857-863. 

  13. M. W. Liao and C. K. Chung, Growth of porous anodized alumina on the sputtered aluminum films with 2D-3D morphology for high specific surface area, Applied Surface Science, 309 (2014) 290-294. 

  14. S. Zhang, B. Yin, Z. Wang and F. Peter, Super long-life all solid-state asymmetric supercapacitor based on NiO nanosheets and a- $Fe_2O_34 nanorod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06 (2016) 193-203. 

  15. J. Xu, Z. Ju, J. Cao, W. Wang, C. Wang and Z. Chen, Microwave synthesis of nitrogen-doped mesoporous carbon/nickel cobalt hydroxide microspheres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J. Alloys. Compounds, 689 (2016) 489-499. 

  16. H. Wei, J. Wang, L. Yu, Y. Zhang, D. Hou and T. Li, Facile synthesis of $NiMn_2O_4$ nanosheet arrays grown on nickel foam as novel electrode materials for high-performance supercapacitors, Ceramics International, 42 (2016) 14963-14969. 

  17. O. Jessensky, F. Muller, and U. Gosele, Selforganized formation of hexagonal pore arrays in anodic alumina, Appl. Phy. Lett., 72 (1998) 1173- 1175. 

  18. J. W. Diggle, T. C. Downie and C. W. Goulding, Anodic oxide films on aluminium, Chem. Rev. 69 (1968) 365-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