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의 산림복원계획과 기준 경사도 고찰
Review of Slope Criteria and Forestland Restoration Plan in North Korea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9 no.4, 2016년, pp.19 - 28  

유재심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박현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이상혁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slope criteria and analyze the forest land restoration plan in North Korea.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he countri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limate, erosion controls, and slope criteria with forest restoration programmes, implemented were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남한에서 북한의 산림복원계획을 지원할 경우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복원계획을 검토하고, 산지복원에 적용할 기준 경사도를 설정하기 위해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산림 및 환경 분야」남 · 북 개발 · 협력에 대비하여 남한에서 북한의 산지복원을 지원할 경우에 대비하여 북한의 산림복원계획을 검토하고, 산지복원에 적용할 기준 경사도를 설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락밭의 특징은 무엇인가? 주민의 생계유지라는 긍정적 측면과 토양유실이라는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내포하는 개간산지(Sloping land cultivation) 는 세계적으로 비탈밭과 다락밭(논)의 형태로 나타난다. 다락밭(Terrace farming)은 농사지을 수있는 땅이 유일하게 경사지일 때, 주민이 계단식 경지를 만들어 물을 가두고, 작물을 재배하여 지역에 적응하면서 살아갈 수 있는 수단이다. 그래서 유네스코(UNESCO)는 다락밭을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보전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경사지 관리방법 중, 산림농업의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2) 산림농업(Agroforestry)은 산지에 농사를 지으면서 등고선을 따라 대(帶)상으로 식생대를 조성하여, 식생의 멀칭(Mulching)과 필터링(Filtering) 효과를 활용하는 경사지관리 방법이다. 토양침식을 방지하면서 식량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 개발된 경사지 관리방법 중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 차원에1)「퇴경환림(退耕還林)」은 중국의 산지관리 정책으로, 비탈밭에 농사를 지으면서 농업에 적합한 형태의 조림을 시행하여 주민들이 산지를 지속가능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중국식 경사지전환프로그램 (Sloping land conversion program)임.
산림청이 북한의 산지에서, 복원해야 할 최소한의 황폐산지로 정의한 것은 무엇인가? 산림청은 북한의 산지에서 경사 8°이상에 존재하는 나지(Bare soil), 무립목지(Sparse forest) 와 개간산지를 복원해야 할 최소한의 황폐산지로 정의하였다. 산림청이 추산한 북한의 황폐산지 면적은 1998년 약 160만ha이고, 2008년 약 284만ha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nda AZ.Maghembe JA.Ngugi DN and Chome VA. 1994. Effect of intercropping maize and closely spaced Leucaena hedgerows on soil conservation and maize yield on a steep slope at Ntcheu, Malawi. Agroforestry Systems 27: 17-22. 

  2. Bannister ME and Nair PKR. 1990. Alley cropping as a sustainable agricultural technology for the hillsides of Haiti: Experience of an agroforestry outreach project. Americann Journal of Alternative Agriculture 5(2): 51-59. 

  3. Hurni H. 1983. Soil erosion and soil formation in agricultural ecosystems: Ethiopia and Northern Thailand,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3(2): 131-142. 

  4. Jakob M and Jordan P. 2001. Design flood estimates in mountain streams-the need for a geomorphic approach, Can. J. Civil Engin. 28: 425-439. 

  5. Korea Land Corporation. 2000. Reunification and Land. Winter Issue. Seoul, Korea 

  6. Lager B. 2015. Agroforestry is taking root in North korea. Available online at http://www.siani.se 

  7. Lee BS and Kim YT. 2010. Encyclopedia of Agricultural data base, General Agriculture Publishing. Pyongyang, DPRK. 

  8. Lee YJ and Lee CM. 2013. A study on evaluation of factors effecting landslide, Forest Science. 2013(3): 11-14 

  9. Lundgren L. 1980. Comparison of surface runoff and soil loss from runoff plots in forest and small-scale agriculture in the Usambara mountain, Tanzania. Geografiska Annaler, (62A): 113-148 

  10.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01. Report on farmland survey in agricultureforest interaction area. Seoul, Korea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Basic research for soil erosion diminish. p.75. Seoul. 

  12. MoLEP(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 Protection). 2015. DPRK National Agroforestry Strategy and Action Plan (2015-2024). 

  13. MoLEP and SDC. 2014. Ten years of sloping land management, General Industry Publishing. Pyongyang(SDC office in DPRK) 

  14. Monsieurs E.Dessie M.Adgo E.Poesen J. Deckers J.Verhoest N and Nyssen J. 2014. Seasonal surface drainage of sloping farmland: A review of its hydrogeomorphic impacts, Land Degradation & Development, 26(1): 35-44 

  15. Oh JH.You JH.Kim KT and Lee WS. 2011. Risk assessment of soil erosion in Gyeongju using RUSLE Method, J. Environ. Impact Assess., 20(3): 313-324. 

  16. Okou FAY.Assogbadjo AE.Bachmann Y. Shinsin B. 2014.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Soil Degradation in the Atacora Mountain Chain in Benin, West Africa. Mountain Research and Development, 34(1): 157-166. 

  17. Pantic M. 2005. Delineation of mountains and mountain areas in Europe - A Planning approach, J. Geogr. Inst. Cvijic., 65(1): 43-58. 

  18. Park SJ.Joo WY and Lee SY. 201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landslide hazard in Korea,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9(2); 2015, 267-285. 

  19. Sekhar NU. 2007. Traditional versus improved agroforestry system in Vietnam: A comparison, Lnad Degrad. Develop. 18: 89-97. 

  20. Shen Z.Yin R and Qi J. 2009. Land cover changes in Northeast China from the late 1970s to 2004. in An Intergraded assessment of China's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s, Springer in Dordrecht Heidelberg, London, New York. 

  21. Turkelboom F. and Wangchuk T. 2002. A participatory and multi-scale diagnosis for developing a soil conservation strategy for Eastern Bhutan. 12th ISCO Conference 67-73. Beijing 2002. 

  22. UNCCD. 2006. National report on the implementation of UNCCD: Combating land degradation and promoting sustainable land resource management in Malaysia. Malaysia. 7 February 2006. 

  23. UNEP. 2010. Forest definition and extent. 

  24. Wiersum KF. 1982. Tree gardening and taungya on Java: Examples of agroforestry techniques in the humid tropics, Agrofor estry Systems. 1: 53-70. 

  25. Xu J.Yin RR.Li Z and Liu C. 2006. China's ecological rehabilitation: unprecedented efforets, dramatic impacts, and requisite policies, Ecological Economics, 57(4): 595- 607. 

  26. Xu J.Noordwijk M.He J.Kim KJ.Jo RS . Pak KG.Kye UH.Kim JS.Kim KM . Sim YN.Pak JU.Song KU.Jong YS . Kim KC.Pang CJ and Ho MH. 2012. Participatory agroforestry development for restoring degra- ded sloping land in DPR Korea. Agroforestry Syst(85); 291-303 

  27. Young A. 1989. Agroforestry for soil conservation, ISBN 0 85198 648 X, London 

  28. Yu JS and Kim KM. 2015.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ecosystem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sing multivariate spatial environmental variables, J. Korean Env. Res. Tech., 18(4): 15-27. 

  29. Yin R.Rothstein D.Qi J and Liu S. 2009. Methodology for an intergrative assessment of China's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s. in An Intergraded assessment of China's ecological restoration programs, Springer in Dordrecht Heidelberg, London,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