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루타알데하이드에 의해 결합된 효소촉매를 이용한 글루코스 센서의 성능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Glucose Sensor Adopting Enzymatic Catalyst bonded by Glutaraldehyde 원문보기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v.27 no.4, 2016년, pp.378 - 385  

안연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정용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이규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  권용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 biocatalyst consisting of glucose oxidase (GOx), polyethyleneimine (PEI) and carbon nanotube (CNT) with addition of glutaraldehyde (GA)(GA/[GOx/PEI/CNT])for fabrication of glucose sensor. Main bonding of the GA/[GOx/PEI/CNT] catalyst was formed by crosslinking of fu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자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안정성과 감도를 갖는 글루코스 감지용 전기화학적 바이오센서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 흡착을 이용하여 GOx를 담지체에 최대한 군집시킨 후, GA를 이용하여 담지체 및 효소를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시킨 촉매를 개발하고 이의 특성을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Ox를 안정적으로 고정화한 글루코스 바이오센서 개발의 의의는 무엇인가? 4µA/mM/cm2라는 높은 감도와 3 주간 약 88%의 안정성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GA를 이용한 고정화 방법이 GOx가 담지체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센서의 감도를 향상시키기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이를 이용한 전극이 체내 글루코스를 감지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물리적 흡착 방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특히, 글루코스 산화효소는1962년, Clark와 Lyon에 의해 처음 글루코스 효소 전극의 컨셉을 제안한 이래로 이를 이용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센서 구성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효소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각광받고 있으나, 센서표면에 글루코스 산화효소(Glucose oxidase, GOx)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워, 실적용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효소 고정화 방법으로는 물리적 흡착과 공유결합, 가교결합 등의 화학적 결합이 있는데 흡착은 전처리나 개질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가 간단한 반면, 효소가 쉽게 탈락되어 바이오센서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공유결합의 경우 효소를 강하게 고정할 수 있으나 담지체의 표면의 개질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4). 가교결합은 글루타알데하이드(Glutaraldehyde, GA)와 같은 가교제(crosslinker)를 이용해 효소 분자를 상호 간 결합시켜 안정적 담지를 유도하는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가교제를 이용하여 효소군집(Cross Linked Enzyme Aggregates, CLEA)을 생성하여 효소 고정화량을 극대화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5).
당뇨병이란 무엇인가? 당뇨병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질환으로, 세계적인 건강문제로 꼽히는 질병이다.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전세계의 약 4억 2천여 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으며, 향후 20년간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Chan, "World Health Day 2016: Let's beat diabetes",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mediacentre/commentaries/diabetes/en/ (accessed May 4, 2016). 

  2. J. Wang, "Electrochemical Glucose Biosensors", Chemical Reviews, Vol. 108, 2008, pp. 814-825. 

  3. N. S. Oliver, C. Toumazou, A.E.G. Cass, and D.G. Johnston, "Glucose sensors: a review of current and emerging technology", Diabetic Medicine, Vol. 26, No. 3, 2009, pp. 197-210. 

  4. U. Hanefeld, L. Gardossi and E. Magner, "Understanding enzyme immobilisation", Chemical Society Reviews, Vol. 38, 2009, pp. 453-468. 

  5. R.A. Sheldon, "Characteristic Features and Bio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Cross-linked Enzyme Aggregates (CLEAs)",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 92, 2011, pp. 467-477. 

  6. K. H. Hyun, S. W. Han, W-G. Koh and Y. Kwon, "Fabrication of biofuel cell containing enzyme catalyst immobilized by layer-by-layer method", Journal of Power Sources, Vol. 286, 2015, pp. 197-203. 

  7. Y. Chung, K. Hyun and Y. Kwon, "Fabrication of biofuel cell improved by $\pi$ -conjugated electron pathway effect induced from a new enzyme catalyst employing terephthalaldehyde", Nanoscale, Vol. 8, 2016, pp. 1161-1168. 

  8. "Enzymatic Assay of Glucose Oxidase", http://www.sigmaaldrich.com/technical-documents/protocols/biology/enzymatic-assay-of-glucose-oxidase.html (accessed May 1, 2016). 

  9. Y. Chung, Y. Ahn, M. Christwardana, H. Kim and Y. Kwon, "Development of glucose oxidase-based biocatalyst adopting both physical entrapment and crosslinking and its use in biofuel cell", Nanoscale, Vol. 8, 2016, pp. 9201-9210. 

  10. P. Kavanagh and D. Leech, "Mediated electron transfer in glucose oxidising enzyme electrodes for application to biofuel cells: recent progress and perspectives", Physical Chemisty Chemical Physics, Vol. 15, no. 14, 2013, pp. 4859-4869. 

  11. C. Deng, J. Chen, X. Chen, C. Xiao, L. Nie and S. Yao, "Direct electrochemistry of glucose oxidase and biosensing for glucose based on boron-doped carbon nanotubes modified electrode",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Vol. 23, No. 8, 2008, pp. 1272-1277 (2008). 

  12. R. A. Kamin and G. S. Wilson, "Rotating ring-disk enzyme electrode for biocatalysis kinetic studie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mmobilized enzyme layer", Analytical Chemistry, Vol. 52, No. 8, 1980, pp. 1198-1205. 

  13. G. Van den Berghe, "Insulin therapy in the intensive care unit should be targeted to maintain blood glucose between 4.4 mmol/l and 6.1 mmol/l", Diabetologia, Vol. 51, 2008, pp. 911-915. 

  14. Y. Liu, M. Wang, F. Zhao, Z. Xu and S. Dong, "The direct electron transfer of glucose oxidase and glucose biosensor based on carbon nanotubes/chitosan matrix",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Vol. 21, 2005, pp. 984-988. 

  15. H. Yang and Y. Zhu, "Glucose biosensor based on nano-SiO2 and "unprotected" Pt nanoclusters", Biosensors and Bioelectronics, Vol. 22, No. 12, 2007, pp. 2989-2993. 

  16. J-J. Xu, and H-Y. Chen, "Amperometric glucose sensor based on glucose oxidase immobilized in electrochemically generated poly (ethacridine)", Analytica Chimica Acta, Vol. 423, No. 1, 2000, pp. 10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