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릉도 산출 암석의 열물성 자료를 이용한 울릉도 지열 성인에 대한 열전도 수치모델링 연구
Numerical Heat-conduction Modeling to Understand the Genesis of the Observed Geothermal Gradient in Ulleung Island using Experimentally Determined Thermal Properties of the Rocks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6 no.4, 2016년, pp.266 - 273  

이창열 () ,  김기석 ((주)희송지오텍) ,  연관희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친환경구조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울릉도 화산체 하부에 있는 마그마 방이 냉각될 때 주변에 발생하는 열전달을 컴퓨터 수치모델링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마그마 방은 울릉도 화산체 중앙의 정상부에서 2.9 km 깊이에 위치하며, 지름 10 km, 두께 300 m 혹은 600 m의 디스크 형태로 가정되었다. 본 연구의 수치모델링을 이용하여 계산된 화산체의 지온증가율은 시추공 검층으로 관찰된 지온증가율인 $95^{\circ}C/km$와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치모델링에는 많은 가정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울릉도의 지열 해석에 직접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시추공에서 관찰된 높은 지온증가율은 화산체 하부에 용융 또는 고체 상태로 존재하는 뜨거운 마그마 방에서의 열전달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numerically modeled thermal evolution of Ulleung Island after an emplacement of magma chamber. The disk-shape magma chamber is assumed to locate at 2.9 km beneath the island and has a diameter and a thickness of 10 km and 300 (or 600) m, respectively. The geothermal gradients evaluated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그마 방이 정치(emplacement)된 이후 주변으로의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통하여 냉각되는 과정을 컴퓨터 수치모델링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보고된 시추공 온도 검층 자료 및 지온증가율과 비교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마그마 방의 유무 및 지속적인 지열발전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모델의 상부 경계면인 지표면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0℃로 가정하는 것이 가능 하나, 고심도 저온을 직접 측정하지 못 하였기 때문에 모델 하부 경계면을 특정 온도로 고정시키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울릉분지 주변에서 측정되는 열류량이 약 0.08~0.15W/m2임(Kim et al., 2010)을 감안하여 10 km 깊이의 지각 하부에서 0.12W/m2의 열류량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고 가정하였다. 이 경계 조건을 이용하여 열전도를 계산하여 정상 상태에 도달한 지온을 모델의 초기조건으로 설정하였다 (Fig.
  • 마그마 방 형성 이후 울릉도 화산체의 수치모델링을 수행하기 위하여 우리는 마그마 관입 전 울릉도 화산체의 지온 분포를 마그마 방이 없는 상황에서의 정상 상태 온도 분포로 가정하였다. 화산체 온도 분포를 계산하기 위한 경계조건으로서, 모델 하부 경계면의 온도를 고정시키는 방법과 모델 하부에서 유입되는 열유량을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사용된다.
  • 마그마 방의 부피는 모델 도메인의 부피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단열 경계 조건에 의한 온도 분포에 대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볼 수 있다. 마그마 방은 해양지각의 상부 표면과 화산섬 하부 경계 사이에 두께 300 m 혹은 600 m, 직경이 10 km인 디스크 형태로 가정하여 삽입하였다. 마그마의 초기 온도로서 우리는 현무암질 마그마의 온도인 1100℃를 사용하였다.
  • 4). 모델의 초기조건에서 수평 디스크 형태의 마그마 관입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한 것(instantaneous event)으로 가정하였고 이후 마그마 방의 냉각과 주변으로의 열전달을 계산하였다.
  • 시추공에서 측정된 높은 지온증가율은 울릉도 화산체 하부에 뜨거운 열원인 마그마 방이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하므로, 우리는 울릉도 화산체 하부 지각에 마그마 방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뜨거운 마그마 방에서 주변부로의 열전달(heat transfer) 기작으로서 우리는 전도(conduction)만을 고려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마그마 방의 존재 가능성이 높은 울릉도 화산체 하부 지각에 마그마 방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마그마 방이 정치(emplacement)된 이후 주변으로의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통하여 냉각되는 과정을 컴퓨터 수치모델링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울릉도의 전력 생산 방법은? 울릉도는 동해 울릉분지의 북쪽 주변부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조면암, 현무암, 응회암, 집괴암 등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가장 최근의 화산활동은 9,300년에서 6,300년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기범, 이기동, 2008). 화력발전으로 대부분의 전력을 충당하는 울릉도에 친환경재생에너지인 지열발전을 통한 전력 충당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실제 북대서양의 섬인 아이슬란드(Iceland)는 중앙해령(mid-ocean ridge)과 열점(hotspot) 위에 위치하고 있어 활발한 화산 활동에 의한 지속적인 지열 에너지가 공급되므로 수십 년 전부터 지열발전(Energy Statistics in Iceland 2015)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지열발전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이태종과 송윤호, 2013).
울릉도의 특징은? 울릉도는 동해 울릉분지의 북쪽 주변부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조면암, 현무암, 응회암, 집괴암 등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가장 최근의 화산활동은 9,300년에서 6,300년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김기범, 이기동, 2008). 화력발전으로 대부분의 전력을 충당하는 울릉도에 친환경재생에너지인 지열발전을 통한 전력 충당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울릉도의 지열발전의 가능성을 검증해야하는 이유는? 실제 북대서양의 섬인 아이슬란드(Iceland)는 중앙해령(mid-ocean ridge)과 열점(hotspot) 위에 위치하고 있어 활발한 화산 활동에 의한 지속적인 지열 에너지가 공급되므로 수십 년 전부터 지열발전(Energy Statistics in Iceland 2015)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일부 지역에서 지열발전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이태종과 송윤호, 2013). 비교적 최근까지 화산 활동이 일어났던 울릉도를 아이슬란드처럼 잠재 열원(마그마 방)을 가진 화산섬으로 여길 수도 있지만 섬 내부에서의 온천 개발 등의 이력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열원을 지닌 화산섬으로 단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지열발전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근 울릉도에서 시추조사를 수행하여 온도 측정을 하였으며 높은 지온 증가율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홍훈기 외,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기범, 이기동, 2008, 울릉도의 화산층서와 단층에 대한 연구. 지질공학회지, 18, 321-330. 

  2. 홍훈기, 윤건신, 전재수, 김영식, 정성욱, 송윤호, 2014, 울릉도 심부 지열자원 부존 가능성 검토, Proceedings of KSEG 2014 Spring Conference, 419-423. 

  3. Arai, F., Oba, T., Kitazato, H., Horibe, Y. and Machida, H., 1981, Late Quaternary tephrochronology and paleooceanography of the sediments of the Japan Sea. Quaternary Research, 20, 209-230. 

  4. Crank, J., 1975, The mathematics of diffusion, Clarendon Press, Oxford. 

  5. Davies, G. F., 2011, Mantle Convection for Geologi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Energy Statistics in Iceland 2015, 2015, ed. Baldur Petursson, National Energy Authority, Ministry of Industries and Innovation, Government Offices of Iceland. 

  7. KEPRI/KIGAM/Nexgeo./Heesong Geotek/KETEP, 2016, Final report of Assessment of deep geothermal resources for geothermal power generation in Ulleung Island (in Korean). 

  8. Kim, Y., Lee, S.-M., Matsubayashi, O., 2010, New heat flow measurements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Sea of Japan): relationship to local BSR depth, and implications for regional heat flow distribution. Geo-Marine Letters, 30, 595-603. 

  9.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15, Final report of deep and high-temperature drilling 1st project (in Korean). 

  10.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2016, Final report of deep and high-temperature drilling 2nd project (in Korean). 

  11. Philpotts, A.R., 1980, Principles of igneous and metamorphic petrology, Prentice Hall. 

  12. Simute, S., Steptoe, H., Cobden, L., Gokhberg, A., Fichtner, A., 2016, Full-waveform inversion of Japanese Islands reg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Solid Earth, 121, doi:10.1002/2016JB012802. 

  13. T.J. Lee, Y.H. Song, 2013, Enhanced Geothermal System Case Study: The Soultz Project. Tunnel & Underground Space Vol. 23, No. 6, 561-5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