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압 이산화탄소 반응에 의한 사암과 셰일의 물리적-미세구조적 변화
Variation of the Physical-microstructural Properties of Sandstone and Shale Caused by CO2 Reaction in High Pressure Condition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6 no.4, 2016년, pp.293 - 303  

박지환 (서울대학교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  손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  박형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기술은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저장조건을 실험실에서 모사하였다. 사암셰일 시료를 1M NaCl 용액에 포화시킨 후 $45^{\circ}C$, 10기압의 조건에서 4주 동안 반응시키며 물리적 성질과 미세구조적 성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부피, 밀도, 탄성파속도, 포아송비, 동탄성계수 등 모든 항목에서 사암 시료에 비해 셰일 시료의 물리적 성질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X선 단층촬영을 통한 미세구조 분석 결과 두 가지 시료 모두에서 공극의 총개수가 감소하였고, 각각의 공극들이 가지는 평균 부피, 평균 표면적, 평균 등가직경 등이 변화하였다. 이는 이산화탄소와 광물의 반응으로 인한 점토 광물의 팽창 및 유출이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시 발생되는 암반의 물리적, 미세구조적 변화를 예측하는 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ground $CO_2$ storage technology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reduce atmospheric $CO_2$. In this study, $CO_2$ storage condition was simulated in the laboratory. Sandstone and shale specimens were saturated in 1M NaCl and were reacted at $45^{\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주입층 및 덮개암 암석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일으키는 물리적·미세구조적 변화는 이산화탄소의 안전한 격리를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입된 이산화탄소가 저류층 내에서 유동하다 덮개암을 만나 고압의 상태로 유지되는 환경을 모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환경을 실험실에서 구현하고 암석의 물리적, 미세구조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부피, 밀도, P파 속도, S파 속도, 포아송비, 동탄성 계수 등의 측정을 통한 물리적 성질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뿐만 아니라, X선 단층촬영 영상 분석 기법을 도입하여 암석의 미세구조를 3차원적으로 분석해 공극률 및 공극 크기 분포 정보를 추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의 종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줄이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는 많은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 장기술(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은 그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은 대량의 이산화탄소가 발생되는 배출원으로부터 순수한 이산화탄소만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포집기술(capture), 파이프라인, 선박, 차량 등을 이용해 포집장소로부터 저장장소까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수송기술(transport), 석유 및 가스전, 대염수층, 석탄층 등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격리하는 저장기술(storage)로 구분된다(Metz et al., 2005).
기후변화로 극지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가? 최근 들어 급격한 기후변화로 인해 태풍, 폭염, 가뭄, 홍수 등의 자연재해들이 예전에 비해 높은 강도와 빈도로 전 세계에서 발생하고 있고, 그린란드의 해빙과 빙상이 감소하는 등 극지 지역에서도 큰 변화가 관찰되고 있다(Kintisch, 2016, Van Aalst, 2006). 이러한 기후변화는 대기 중 온실가스의 농도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데, 이 중 이산화탄소는 화석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한다.
대염수층 이산화탄소 저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지역은? , 2015). 가장 성공적으로 평가받는 노르웨이 슬라이프너(Sleipner)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일본 미나미-나고아카(Minami-Nagoaka) 프로젝트, 노르웨이 스노흐비트(Snøhvit) 프로젝트, 독일 케트진(Ketzin) 프로젝트, 호주 오트웨이(Otway) 프로젝트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대염수층을 대상으로 이산화탄소 저장이 이루어지고 있다(Metz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rew, M., Bijeljic, B. and Blunt, M.J., 2014, Pore-scale imaging of trappe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in sandstones and carbonates, Int. J. Greenh. Gas Control. 22, 1-14. 

  2. Barton, N., 2007, Rock quality, seismic velocity, attenuation and anisotropy, Taylor & Francis Group, London, UK, 756p. 

  3. Brown, E.T., 1981, Rock Characterization, Testing and Monitoring: ISRM Suggested Methods, Pergamon Press, Oxford, UK, 211p. 

  4. Choi, C.S. and Song, J.J., 2012, Swelling and mechanical property change of shale and sandstone in supercritical $CO_2$ , Tunnel & Underground Space. 22.4, 266-2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ong, H. and Blunt, M.J., 2009, Pore-network extraction from micro-computerized-tomography images, Phys. Rev. E. 80.3, 036307. 

  6. Iglauer, S., Paluszny, A., Pentland, C.H. and Blunt, M.J., 2011, Residual $CO_2$ imaged with X-ray micro-tomography, Geophys. Res. Lett. 38, L21403. 

  7. Jeong, G.C. and Takahashi, M., 2010, Analysis of porosity and distribution of pores in rocks by micro focus X-ray CT,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0.4, 461-4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ung, H.B., Jansik, D. and Um, W., 2012, Imaging wellbore cement degradation by carbon dioxide under geologic sequestration conditions using X-ray computed microtomography, Environ. Sci. Technol. 47, 283-289. 

  9. Kang, H., Baek, K., Wang, S., Park, J. and Lee, M., 2012, Study on the dissolution of sandstones in Gyeongsang Basin and the calculation of their dissolution coefficients under $CO_2$ injection condition, Econ. Environ. Geol. 45.6, 661-6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J.H., 2015, Evaluation of operation design variables for geologic injection of carbon dioxide using numerical modeling, J. Geol. Soc. Korea. 51.2, 221-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K.Y., Oh, J.H., Kim, J.C. and Yum, B.W., 2011, Application of integrated coreflood X-ray scanner for $CO_2$ geological storage study, J. Geol. Soc. Korea. 47.6, 715-7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ntisch, E., 2016, Sea ice retreat said to ccelerate Greenland melting, Science. 352, 1377. 

  13. Ko, M., Kang, H., Wang, S. and Lee, M., 2011, The weathering process of olivine and chlorite reacted with the supercritical $CO_2$ on the sequestration condition, J. Geol. Soc. Korea. 47.6, 635-6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SRM, 2005, Standard test method of rock, CIR, Seoul, Korea, 123p. 

  15. Lamy-Chappuis, B., Angus, D., Fisher, Q., Grattoni, C. and Yardley, W.D., 2014, Rapid porosity and permeability changes of calcareous sandstone due to $CO_2$ -enriched brine injection, Geophys. Res. Lett. 41, 399-406. 

  16. Lee, S. and Chang, C., 2015, Laboratory experimental study on fracture shear-activation induced by carbon dioxide injection, J. Geol. Soc. Korea. 51.3, 281-2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S., Kim, J.M. and Kihm, J.H., 2015, Evaluation of impacts of grid refinement on numerical modeling of behavior and trapping mechanisms of carbon dioxide injected into deep storage formations, J. Geol. Soc. Korea. 51.2, 191-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etz, B., Davidson, O., De Coninck, H., Loos, M. and Meyer, L., 2005,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431p. 

  19. Nguyen, P., Fadaei, H. and Sinton, D., 2013, Microfluidics underground: A micro-core method for pore scale analysis of supercritical $CO_2$ reactive transport in saline aquifers, J. Fluid. Eng-T. ASME. 135, 021203. 

  20. Oh, J.H., Kim, K.Y., Kim, T. and Kim, J.C., 2010, A review of laboratory experiments for $CO_2$ geological storage, Econ. Environ, Geol. 43.3, 291-3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Park, E., Wang, S., Kim, S. and Lee, M., 2014, The effects of the carbon dioxide stored in geological formations on the mineralogical and geochemical alterations of phyllosilicate minerals, J. Geol. Soc. Korea. 50.2, 231-2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Park, J. and Park, H.D., 2016, An analysis of pore network of drilling core from Pohang Basin for geological storage of $CO_2$ , Tunnel & Underground Space. 26.3, 181-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Perrin, J.C. and Benson, S.,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ub-core scale heterogeneities on $CO_2$ distribution in reservoir rocks, Transp. Porous Med. 82, 93-109. 

  24. Saliu, M. and Lawal, A.I., 2014, Investigations of weathering effects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Supare granite gneiss, Journal of Mining World Express. 3, 53-62. 

  25. Song, C.W., Son, M., Sohn, Y.K., Han, R., Shinn, Y.J. and Kim, J.C., 2015, A study on potential geologic facility sites for carbon dioxide storage in the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J. Geol. Soc. Korea. 51.1, 5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Van Aalst, M.K., 2006,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Disasters. 30.1, 5-18. 

  27. Wang, S., 2009, Geological carbon sequestration: Now and after, KIC News. 12.2, 21-30 (in Korean). 

  28. Yoo, D.G., Kim, G.Y., Park, Y.C., Huh, D.G. and Yoon, C.H., 2007, Feasibility study for $CO_2$ geological sequestration in offshor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eral and Energy Resources Engineers. 44.6, 572-5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