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목조문화재 건축물 구조에 따른 화재감지기 종류 선정에 관한 연구
Selection of a Fire Detector for Wood Cultural Property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4, 2016년, pp.88 - 93  

노삼규 (광운대학교 건축학과) ,  윤형욱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8년 숭례문 화재사고 이후 국내 목조문화재에 설치된 화재감지기는 목조화재의 특성이나 구조에 대한 감지기 종류 선정기준을 가지고 있지 않다. 목조문화재 건축물은 일반건축물과 구조 및 화재특성이 달라 일반규정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목조문화재 건축물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형태를 4가지로 분류하였고 현장조사 및 목조건축물의 구조 및 화재특성을 살펴보았다. 문제점으로는 화재감지기 설치 장소에 따른 적응성 부족 감지기 선택과 외부화재감지 누락이 나타났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쇄 및 개방된 공간의 실내화재감시에는 연기감지기를 선택하고 외부화재감시를 위해서 불꽃감지기 또는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를 건물 유형에 적합한 종류를 선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ire detector installed in wood cultural properties has not have selected the detector type appropriate for the features of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tructure of wood fire after the fire in Sungnyemun-Gate since 2008. Applying wooden cultural properties different from the general architecture 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목조문화재 건축물은 일반건축물과 비교했을 경우 형태 및 규모 등 구조가 복잡하고 역사적, 예술적 문화적 가치가 높기 때문에 경관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구조와 화재특성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화재감지기의 종류선정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목조문화재 건축물 구조에 적합한 화재감지기의 종류를 선정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화재특성을 파악하였고, 건축물의 구조 및 감지기의 적응성을 고려하여 일반형과 직선형, 분리형, 탑형의 4가지 형태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현재 설치되어 있는 화재감지기의 종류 및 설치위치의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현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건축물의 공간구조에 따른 감지기의 적응성이 부족하였으며, 외부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감지기가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현재 목조문화재 건축물에는 화재의 조기감지를 위해 화재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조문화재 건축물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종류 및 설치위치의 적합성을 파악하고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는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유형에 따라 개/폐, 건축물의 형태를 분류하고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종류 및 천장의 높이를 아래 Table 1과 같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재감지기는 무엇인가? 화재감지기는 화재 시 나타나는 열 · 연기 · 불꽃 등의 연소생성물을 감지하는 설비이다. 그러므로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설치장소의 연소특성과 감지기 종류에 따른 화재 감지특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목조문화재 건축물이 작은 화원에 의해서도 착화될 가능성이 큰 이유는 무엇인가? 이처럼 목조문화재 건축물은 화재저항성이 매우 취약한 나무 등의 가연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오랜 세월이 경과되어 목재가 건조된 상태에 있으므로 작은 화원에 의하여 착화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1). 그리고 목조문화재 건축물에 사용되고 있는 목재의 종류는 주로 침엽수재(소나무)를 사용하고 있어 활엽수재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고 있다.
목조문화재 건축물의 주된 재료는 무엇인가? 목조문화재 건축물은 가공이 유리한 목재를 사용하였으며, 벽체는 내부에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뼈대를 구성하고 흙으로 채운 다음 종이로 마감한 심벽구조이다. 재료는 기와로 된 지붕과 석재로 만든 기단을 제외하고는 주로 목재를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S. K. Roh, E. G. Ham and J. S. Kim,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Fire Behavior of the Wooden Cultural Properties", Proceedings of 2009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454-459 (2009). 

  2. S. K. Roh, E. G. Ham, D. C. Kim, H. U. Yoon, Y. D. Kim and C. H. Ji, "Study of Prepare Cultural Properties Safety and Maintenance Standards",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3). 

  3. S. K. Roh, E. G. Ham, Y. U. Lee, K. S. Kim, J. S. Kim, D. C. Kim, H. J. Kim, et al., "Development of Fire Equipment Establishment Model For the Preservation of Korea Architecture of Wood",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1). 

  4. M. S. Choi, S. H. Hong, S. H. Lee and S. T. Park, "A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Fire Detector by Combustibles", Proceedings of 2011 Autumn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514-517 (2011). 

  5. C. U. Lee, Publisher of Uijea "Fire Protection Engineering" (2000). 

  6.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Mechanical design destination, "Gas Handbook" (2005). 

  7. NFSC 203, "National Fire Safety Code for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2013). 

  8. NFPA 72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for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