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 연구동향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Trend of Creativity-related Spatial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Design Proc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8, 2016년, pp.441 - 451  

안소미 (백석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창의성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바탕으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리하고, 공간디자인 교육과 다른 디자인 분야의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을 함께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연구는 다른 디자인교육에 비해 빈도가 낮았으며, 디자인프로세스 중 아이디어의 조형적 표현에 관련된 연구가 많았다. 이에 반해 타 디자인분야의 창의성 교육은 전체 프로세스와 연계된 것이 가장 많았고, 주요내용은 IT기법의 활용, 학습이론의 활용, 융합을 통한 창의성증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서 다양한 교육시도들이 요구되며, 새로운 IT기술은 물론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통합적 접근과 인문학과 과학, 과학과 예술의 융합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spatial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ity based on design process. In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frame of design process focused on creativity was organized and the trend of creativity education study in the spatial design and other de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의 창의성 연계 교육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간디자인 교육에서의 창의성 관련 연구를 분석하고, 디자인 교육 전반의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교육에서의 창의성 연구는 2013년 이후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공간 디자인교육의 경우 그 빈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창의성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공간디자인과 타 디자인 분야의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공간디자인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필요성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창의성과 연계된 공간디자인 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공간디자인과 타 디자인 분야의 창의성 교육 연구동향을 비교, 분석하여 창의성 증진을 위한 공간디자인 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이란 무엇인가? 길포드는 창의성이란 ‘새롭고 신기한 것을 낳는 힘’이라고 정의하였는데, 그는 창의성을 지적능력의 한 특성으로 여기고 새로운 사고를 생산해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며 창의적인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창의성의 정의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보면 창의성은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에 접근하여 해결하고, 이를 통해 다양하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을 말한다[10].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근대 이후 디자인이란 타고난 개인의 재능에만 의존 되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믿음이 생기게 되었고[1], 디자인 능력은 훈련해서 개발할 수 있는 능력[2]으로 보는 관점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디자인 능력을 단계별로 습득해나갈 수 있는 디자인 프로세스 모델이 등 장하고, 근대적 디자인 교육이 시작되었다.
공간디자인 교육에 대한 접근은 무엇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공간디자인 교육에서는 스튜디오(studio) 형태의 수업에서 가상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아이디어 발상에서 디자인 개념 설정, 공간 설계와 조형적 표현, 그리고 설계 완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자인 능력을 습득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디자인 교육에 대한 접근은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o-mi An, “A Study on Educational Methods using Concept Models for Creative Spatial Desig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Vol. 15, No. 2, pp. 307-315, 2015. 

  2. Nigel Cross, "Design Thinking: Understanding How Designers Think and Work," Bloomsbury Academic, 2011. 

  3. Dong-Joo Kim, Eun-Yong Ha, “The Future Direc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in University according to Computeriz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0, pp. 33-40, 2015. 

  4. Gab-Sang Ryu, “Development of Educational Model for ICT-based Convergence Exper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75-80, 2015. 

  5. Yeob-Myeong Son, Byeong-Soo Jung, “Convergence Development of Video and E-learning System for Education Disabl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113-119, 2015. 

  6. Su-Young Pi,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317-327, 2015. 

  7. So-mi An, "Study on Spatial Design Education and On. Offline Communication Method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6, pp. 29-37, 2015. 

  8. Eun Jung Hong, “Providing a Direction to Interactive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T Environment -Focusing on College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4, pp. 265-276, 2014. 

  9. So-mi An, “Study on Web-related Spatial Design Research Tren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8, pp. 481-492, 2014. 

  10. Kyung-won Chun, "Creativity for Harmony B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Seoul: Hakmunsa, 2000. 

  11. Jae-en Kim, Sun-jung Hong, "Creativity and Emotion Education," Seoul: Changjisa, 2012. 

  12. Sung-joo Chang, "Is Architecture Science?:The Scientific Issue for Architectural Design," Plus, 1993. 

  13. Nigel Cross, "Designerly Ways of Knowing," Springer, 2010. 

  14. Paul, G., and W. Beitz, "Engineering Design," Design Council, London, 1984, p 60 

  15.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Interior Design," Seoul: Kimoondang, 2009. 

  16. Eun-hee Choi, “A Study on Effect Verification of Verbal and Visual Analogy for Creativity Enhancement -Experimental Study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20, No. 2, pp. 30-38, 2011. 

  17. Dong-hyeog Choi,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as a Basic Design Education in terms of Creative Thinking Training -Focused on the Formative Procedure in the Basic Architectural Design Studio,”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8, No. 9, pp. 123-130, 2012a. 

  18. Seun-yeop Han, Jong-hyub Lee, Hang-sub Park, Sang-hun Lee, “A Study on the Examination on the Importance of Architectural Model i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Design Convergence Study, Vol. 12, No. 6, pp. 113-126, 2013. 

  19. Mi-jeong Kim, Ju-hyun Lee, Myung-eun Cho, “Design Approaches to Virtual Architecture in a Digital Design Studio,”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3, No. 3, pp. 53-61, 2013. 

  20. Han-hee Choi, Mi-jeong Kim, “An Evaluation Method for Assessing Creativity in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0, No. 1, pp. 649-658, 2014. 

  21. Young-sun Lee, Won-kyung Kim, “A Study on Comparing Creativity Awareness of Students majoring in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5, No. 2, pp. 415-426, 2015. 

  22. Eu-na Ha, "Building Design Thinking System through the Design Type of Analysis,"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20, pp. 475-487, 2015. 

  23. Mi-ra Seo, Sang-jin Park, Hoon-sung Kwak, "A Study on the Creative Web Design Concept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6, Ntto.6, pp. 136-143, 2006. 

  24. Eung-bum Park, "A Study on Mind Mapping techniques application to Basic Design Education,"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Vol. 8, pp. 57-64, 2008. 

  25. Ji-yeon Shin, "The Application of ASIT in the Idea Process Program of Eco-Packaging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2, No. 2 pp. 54-66, 2012. 

  26. Yang-mi Park, “The Effects After Appling PBL(problem-based learning) On-Off Line in Design Class,”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4, No. 4, pp. 125-134, 2014. 

  27. Ji Sun Lee, “A Study on Ideation Method of Design Thinking for Convergence Education -Focus on Technology Education Ca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19, No. 2, pp. 433-445, 2013. 

  28. Ji-yoon Chun, Kyung-sun Kim, “A Study on Interactive Media Design for an Implementation of Smart Contents Using Creative Storytelling,”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4, No. 4, pp. 581-590, 2014. 

  29. Ja-in Kim, “Design Thinking Education in d.School,”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5, No. 4, pp. 97-108, 2015. 

  30. Tae-il Lee, “Factors of Interactive Prototyping for Creative Interaction Desig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 23, No. 5, pp. 27-36, 2010. 

  31. Kyung-seog Lee, In-hwa Hwa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Forms of Floral Image in Learning Design Basics Principles," Vol. 18, pp. 112-121, 2011. 

  32. Yeon-sik Yoo, "A Study of Educational Experiment about 'Methods of Reverse Semantic Language' for Ingenious Product Formative Design,"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16, pp. 227-227, 2014. 

  33. Hee-kyung Koo, "Review and Analysis of Design Creativity Characteristics Using Causal Maps," Korea Science & Art Forum, Vol. 16, pp. 227-227, 2014. 

  34. Eun-hyun Sung, Moon-ki Shin, “Influences of Creativ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Ability of Architectural Desig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0, No. 9, pp. 41-48, 2004. 

  35. Ju-yeon Kim, “Study on Application of Unified Education Methodology through Space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0, No. 4, pp. 143-151, 2010. 

  36. Han-hee Choi, Mi-jeong Kim, Myung-eun Cho,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Creativity in Architectural Desig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 26, No. 3, pp. 119-138, 2013. 

  37. So-young Kim, “The Development of Interaction Methods in Online Education -with Emphasis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s' Crea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 11, No. 4, pp. 33-42, 2005. 

  38. Myung-hwan Yoo, In-young Choi, “A Study on the Methodology of e-Learning based Visual Communication Design Educatio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Vol. 20, No. 4, pp. 101-114, 2007. 

  39. Yoo-kyung Chung,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n Design Eeducation based on Research,”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1, No. 2, pp. 277-286, 2011. 

  40. Mi-ra Seo, Ae-kyung Kim, Young-woo Lee, “Application of Creative Design-inducing, Teaching-learn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5, No. 3, pp. 448-457, 2015. 

  41. Soon-jeong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Design and Creative Consilience -Focusing on Public Service Design Cases,” Journal of Digital Design, Vol. 14, No. 4, pp. 1019-1030, 2014. 

  42. Won-sup Kim,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 for Convergence Design,"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Vol. 25, pp. 387-395, 2013. 

  43. Shin-young Lee, Yang-mi Park, “A Proposal for Co-Creation-Based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1, No. 4, pp. 501-51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