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카드기반 수도권 도시철도 환승자료 구축방안
Constructing Transfer Data in Seoul Metropolitan Urban Railway Using Transportation Card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5 no.4, 2016년, pp.33 - 43  

이미영 (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  손지언 (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조종석 (한국교통연구원 국가교통DB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도권 통합대중교통요금제를 위해 생성되고 있는 교통카드자료는 수도권 도시철도의 환승시간 및 횟수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철도에는 환승게이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노선간의 환승정보는 설문조사나 목측을 통한 거시적 추정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교통카드자료를 토대로 계산되는 수도권 대중교통의 환승시간 및 횟수는 과소평가되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환승자료의 정확한 추정을 위해서는 교통카드 태그가 이루어지는 진입 및 진출 게이트 사이에서 발생하는 통행경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 단말기 태그자료를 기반으로 환승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통행경로모형을 구축하고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환승정보를 도출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 운영체계와 도시철도의 네트워크 특성을 일치시키기 위한 빅노드 개념을 도입한다. 또한 수도권 도시철도의 효과적 네트워크 구동을 위해 링크표지개념을 도입한다. 교통카드단말기의 행정구역정보를 토대로 시군구의 중죤, 서울-경기-인천의 대죤에서 발생하는 환승시간과 횟수를 도출한다. 2014년 일일 대중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전수화된 환승특성데이터를 구축하고 수도권 도시철도의 환승저항에 대한 통합적인 자료로서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which is collected for purposes of 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Fare System, provides neither transfer time nor transfer frequency occurring on the metropolitan city-rail (MCR). And because there are no transfer toll gates installed on the MCR, data on trans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Ⅳ장에서는 수도권 도시철도의 네트워크 자료를 구축하고 1일 교통카드자료를 토대로 시·군·구 단위의 중죤 및 서울, 경기, 인천 단위의 대죤의 환승자료 특성에 대하여 전수화 분석을 시행한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고 구축된 모형 및 자료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 특히 이 장에서는 단말기가 동단위의 소죤과 일반노드를 동일하게 인식되도록 노드체계를 구성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그리고 수도권 도시철도의 환승역을 네트워크의 확장 없이 구축하도록 수리적 모형에 포함시키기 위해 링크표지(Link Label)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교통카드에서 나타난 철도역사 게이트-진출입 태그기록을 토대로 승객의 도시철도 네트워크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여 도시철도 환승자료를 도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빅노드 개념을 도입하여 환승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태그번호를 단일화하는 방법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사에 존재하는 개찰구의 위치좌표를 토대로 통행의 기종점을 포착하는 기법을 통하여 기종점 통행수요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종점 수요를 도시철도네트워크에 최소시간의 행태로 통행한다는 가정 하에 환승시간과 환승횟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차원의 환승자료를 구축하는 최초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 Lee(2004)는 경로탐색알고리즘에서 링크표지(Link Label)를 적용하게 되면 노드표지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교차점에서 방향별 통행을 표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의 확장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14]. 본 연구에서도 빅노드로 구축된 수도권 도시철도 네트워크에 대하여 링크표지기반의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안으로서 네트워크의 확장 없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 본 장에서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여 진행되었던 기존 연구를 고찰하고, 정류장기반모형이 효과적으로 구축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방법을 논의한다.

가설 설정

  • 또한 링크표지기반의 경로탐색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수도권 도시철도에 적합한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시도했다. 그리고 승객은 환승이동 및 대기를 포함하여 최소통행시간경로를 선택한다고 가정하여 모형에 반영하였다. 게이트별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행정동, 시군구, 서울-경기-인천의 소죤, 중죤, 대죤 단위별로 환승특성을 도출하기 용이하도록 하였다.
  • 이를 위해 한국스마트카드(KSCC)의 단말기 번호와 수도권 도시철도 특성을 고려하여 빅노드(Big Node)와 링크표지(Link Label)를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승객이 환승이동 및 대기를 포함한 최소통행시간의 경로를 선택한다는 가정을 도입한다. 또한 단말기 위치자료를 토대로 시군구의 중죤체계, 서울-경기-인천의 대죤체계에서 발생하는 환승시간과 횟수자료를 도출한다.
  • 본 장에서는 정류장기반의 경로선택모형을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모형은 환승시간을 포함하여 최소의 통행시간경로를 선택한다고 가정한다. 차량의 혼잡을 고려하지 않는 선형목적함수를 도입하여 구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노선정책과 인프라 투자에 중요한 판단 근거는 무엇입니까? 대중교통정책에 있어서 교통수단 간의 환승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대중교통노선정책과 인프라 투자에 중요한 판단근거가 된다. 대중교통 이용승객의 경우 차내통행시간과 함께 차외통행시간으로 분류되는 환승을 위한 이동과 노력, 대기시간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용승객의 경우 차내통행시간 외에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중교통정책에 있어서 교통수단 간의 환승에 대한 정확한 분석은 대중교통노선정책과 인프라 투자에 중요한 판단근거가 된다. 대중교통 이용승객의 경우 차내통행시간과 함께 차외통행시간으로 분류되는 환승을 위한 이동과 노력, 대기시간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대중교통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승객들이 경험하는 환승과 관련한 저항요인을 판단하여 대중교통개선을 위한 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중교통카드시스템이 운영되면서 발생하는 교통카드 일일 데이터는 어느 정도입니까? 2004년 서울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체계개편에 의해 탄생된 대중교통카드시스템은 2007년 경기도,2009년 인천과 수도권 통합요금체계 공동합의가 완성되면서 현재의 카드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교통카드는 일일 약 2000만 건의 통행자료-1500만 건의 여행(Trip Chain, Travel)자료를 생성하고 있어 수도권 대중교통이용에 대한 연구로서 최근까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ohn J.(2015), "Dynamic Passenger-Trip Assignment Model of Urban Railway Using Seoul-Incheon-Gyeonggi's Transportation C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6, no. 1, pp.105-114. 

  2. Lee M.(2015), "Analysis of Transit Passenger Movement within Seoul-Gyeonggi-Incheon Area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Korea Research institute of human settlements. 

  3. Kim S.(2007), "The Estimation and Application of Origin-Destination Tables by Using Smart Card Dat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07-R-11. 

  4. Shin S.(2011a), "Constructing an Optimal Integrated Public Transit Network,"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PR-59. 

  5. Shin S.(2011b), "Congestion Index of Urban Rail Transit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Seoul Development Institute, Working Paper, 2011-BR-04. 

  6. Choi M., Eom J., Lee J. and Park J.(2011), "Evaluation of Transit Service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Spring Conference 2011, pp.1811-1825. 

  7. Bin M., Moon J. and Cho C.(2012), "A Study on Travel Pattern Analysis and Political Application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In Gyeonggi-Do,"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 15, no. 4, pp.615-627. 

  8. Kim S.(2012), "Trave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transit card users," The Seoul Institute, 2012-BR-07. 

  9. Kim J. and Shon J.(2014), "The Congestion Index of Urban Rail for the Transportation Welfare in Incheon,"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14-20. 

  10. Jeon S., Lee J. and Jun C.(2014),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Minimization of Passengers' Waiting Time Using Smart Card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 22, no. 5, pp.65-75. 

  11. Kim J. and Lee M.(2015), "Analysis of the Peak Hour Delay of Urban Rail in Incheon,"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Spring Conference 2015, pp.310-314. 

  12. Han S., Kang H. and Lee M.(2015), "Residen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 Commuter by Smart Card through the Use of the Major Subway Influence Area-Focus on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 50, no. 4, pp.103-117. 

  13. Cheon S.(2010), "Development of A Smart Card Data-Based Stocha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on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Ph.D. thesi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y, Seoul National University. 

  14. Lee M.(2004), "Transportation Network Models and Algorithms Considering Directional Delay and Prohibitions for Intersection Movement," Ph.D.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15. Lee M., Kim H., Park D. and Shin S.(2008), "A Link-Based Label Correcting Multi-Objective Shortest Paths Algorithm in Multi-Modal Transit Net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6, no. 1, pp.127-135. 

  16.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2016), "Joint Project for the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Passenger Ogirin and Destination Trip(OD) in 2015 Yea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