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금속이온 선택성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공중합체-폴리올레핀 함침격리막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Random Copolymer-Polyolefin Pore-filling Separators with Metal Ion Trap Capability for Li-ion Secondary Battery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26 no.4, 2016년, pp.310 - 317  

정연태 (한전전력연구원 창의미래연구소) ,  안주희 (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에너지공학과) ,  이창현 (단국대학교 융합기술대학 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리튬이온이 이동하면서 전기화학적 충방전사이클을 완성하는 에너지변환장치를 의미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밀도와 낮은 자가방전률, 상대적으로 긴 수명주기 등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최근 전기차 수요증가는 고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나 음극에서의 dendrite 형성으로 인한 전기적 단락 현상과 전지 폭발 문제와 같은 심각한 안전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구동시 상승된 온도에서 폴리올레핀계열(예 :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격리막의 열수축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낮은 열 안정성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성능과 수명의 감소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올레핀계열 함침격리막 제조를 위한 중요한 소재로서 술폰화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 랜덤 공중합체를 사용하였으며, 제조된 격리막을 이용하여 dendrite 형성과 관련된 금속이온 흡착 능력과 리튬이온전도성, 열적 내구성이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LISB) is an energy conversion system operated via charging-discharging cycle based on Lithium ion migration. LISB has a lot of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density, low self-discharge rate, and a relatively high lifetime. Recently, increasing demands of electric ve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다양한 술폰화도를 갖는 SPAES고분자 소재들의 니켈 흡착능 및 리튬이온전도성과 같은 이온선택성을 관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검증된 SPAES 고분자소재를 폴리올레핀계(예 :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격리막의 기공 내에 도입시켜 SPAES-폴리올레핀 함침격리막 (pore-filling separator, PFS)을 제조하고, 제조된 막의 기능성(예 : 리튬이온전도성 및 내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내열성 및 양이온 선택성을 갖는 SPAES 고분자소재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격리막 소재로써의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다양한 술폰화도에 따른 니켈 이온 흡착능과 온도에 따른 리튬이온전도성을 평가하고, 상용 폴리올레핀계 격리막에 도입하여 함침격리막으로 제조하여 향상된 내열성과 리튬이온전도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다양한 술폰화도를 갖는 SPAES고분자 소재들의 니켈 흡착능 및 리튬이온전도성과 같은 이온선택성을 관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검증된 SPAES 고분자소재를 폴리올레핀계(예 :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격리막의 기공 내에 도입시켜 SPAES-폴리올레핀 함침격리막 (pore-filling separator, PFS)을 제조하고, 제조된 막의 기능성(예 : 리튬이온전도성 및 내열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낮은 자기방전률(self-discharge rate), 상대적으로 긴 수명주기를 갖는 장점을 보인다[2].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리튬이온을 제공하는 양극, 리튬이온을 저장하는 음극, 양극과 음극물질 간의 내부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다공성 격리막(separator), 리튬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환경을 제공하는 전해질(electrolyte)로 구성된다.
전고체전지의 연구 개발이 더딘 이유는?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해결책으로는, 고체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고체전지(all solid lithium ion battery) 개발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고체전해질의 낮은 유동성으로 인해 이온 모빌리티(ion mobility)가느려져 이온전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연구 개발이 답보상태에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란?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일종으로, 방전 시 리튬이온(Li+ )이 음극(negative electrode)에서 양극(positive electrode)으로, 충전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화학적 충방전 사이클을 완성하는 에너지변환장치를 의미한다[1].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낮은 자기방전률(self-discharge rate), 상대적으로 긴 수명주기를 갖는 장점을 보인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Megahed and B. Scrosati, "Lithium-ion rechargeable batteries", J. Power Sources, 51, 79 (1994). 

  2. Y. Nishi,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past 10 years and the future", J. Power Sources, 100, 101 (2001). 

  3. Q. Wang, P. Ping, X. Zhao, G. Chu, J. Sun, and C. Chen, "Thermal runaway caused fire and explosion of lithium ion battery", J. Power Sources, 208, 210 (2012). 

  4. K. Kang, Y. S. Meng, J. Breger, C. P. Grey, and G. Ceder, "Electrodes with high power and high capacity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Science, 311, 977 (2006). 

  5. J. Vetter, P. Novak, M. Wagner, C. Veit, K. C. Moller, J. Besenhard, M. Winter, M. Wohlfahrt- Mehrens, C. Vogler, and A. Hammouche, "Ageing mechanisms in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47, 269 (2005). 

  6. J. W. Fergus, "Recent developments in cath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95, 939 (2010). 

  7. D. Aurbach, B. Markovsky, G. Salitra, E. Markevich, Y. Talyossef, M. Koltypin, L. Nazar, B. Ellis, and D. Kovacheva, "Review on electrode-electrolyte solution interactions, related to cath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65, 491 (2007). 

  8. Y. Wang and G. Cao, "Developments in nanostructured cathode materials fo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Adv. Mater., 20, 2251 (2008). 

  9. B. Scrosati, "Recent advances in lithium ion battery materials", Electrochim. Acta, 45, 2461 (2000). 

  10. M. S. Whittingham, "Lithium batteries and cathode materials", Chem. Rev., 104, 4271 (2004). 

  11. C. Zhan, J. Lu, A. J. Kropf, T. Wu, A. N. Jansen, Y. K. Sun, X. Qiu, and K. Amine, "Mn (II) deposition on anodes and its effects on capacity fade in spinel lithium manganate-carbon systems", Nat. Commun., 4, 2437 (2013). 

  12. S. Komaba, N. Kumagai, and Y. Kataoka, "Influence of manganese (II), cobalt (II), and nickel (II) additives in electrolyte on performance of graphite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47, 1229 (2002). 

  13. J. M. Kim, C. Kim, S. Yoo, J. H. Kim, J. H. Kim, J. M. Lim, S. Park, and S. Y. Lee, "Agarose-biofunctionalized, dual-electrospun heteronanofiber mats: toward metal-ion chelating battery separator membranes", J. Mater. Chem. A, 3, 10687 (2015). 

  14. C. H. Lee, K. S. Lee, O. Lane, J. E. McGrath, Y. Chen, S. Wi, S. Y. Lee, and Y. M. Lee, "Solvent-assisted thermal annealing of di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random copolymers for low humidity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RSC Adv., 2, 1025 (2012). 

  15. F. Wang, M. Hickner, Y. S. Kim, T. A. Zawodzinski, and J. E. McGrath, "Direct polymerization of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random (statistical) copolymers: candidates for new proton exchange membranes", J. Membr. Sci., 197, 231 (2002). 

  16. M. Sumner, W. Harrison, R. Weyers, Y. Kim, J. McGrath, J. Riffle, A. Brink, and M. Brink, "Novel proton conducting 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copolymers containing aromatic nitriles", J. Membr. Sci., 239, 199 (2004). 

  17. Y. Li, F. Wang, J. Yang, D. Liu, A. Roy, S. Case, J. Lesko, and J. E. McGrat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ntrolled molecular weight disulfonated poly (arylene ether sulfone) co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s to proton exchange membranes", Polymer, 47, 4210 (2006). 

  18. Y. Li, R. A. VanHouten, A. E. Brink, and J. E. McGrath, "Purity characterization of 3, 3'-disulfonated-4, 4'-dichlorodiphenyl sulfone (SDCDPS) monomer by UV-vis spectroscopy", Polymer, 49, 3014 (2008). 

  19. M. Sankir, V. Bhanu, W. Harrison, H. Ghassemi, K. Wiles, T. Glass, A. Brink, M. Brink, and J. McGrat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3, 3'- disulfonated 4, 4'-dichlorodiphenyl sulfone (SDCDPS) monomer for proton exchange membranes (PEM) in fuel cell applications", J. Appl. Polym. Sci., 100, 4595 (2006). 

  20. G. H. Li, C. H. Lee, Y. M. Lee, and C. G. Cho, "Preparation of poly (vinyl phosphate-b-styrene) copolymers and its blend with PPO as proton exchange membrane for DMFC applications", Solid State Ion., 177, 1083 (2006). 

  21. T. Yamaguchi, F. Miyata, and S. I. Nakao,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with a pore filling structure for a direct methanol fuel cell", Adv. Mater., 15, 1198 (2003). 

  22. Y. M. Lee and B. Oh, "The role of microporous separator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mbr. J., 7, 123 (1997). 

  23. D. H. Yu, M. A. Jeong, J. W. Rhim, H. S. Byun, C. H. Jeong, Y. M. Lee, M. S. Seo, and S. Y. Na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porous PVdF membrane for Li-ion rechargeable battery", Membr. J., 17, 233 (2007). 

  24. D. H. Yu, M. A. Jeong, J. W. Rhim, H. S. Byun, H. O. Yoo, J. M. Kim, M. S. Seo, and S. Y. Na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dF-HFP microporous membranes for Li-ion rechargeable battery", Membr. J., 17, 359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