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포항시 흥해읍 일대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 - 한반도 제4기 후기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 산출을 위한 연구(I) -
The paleo-shoreline and formation age of the 1st marine terrace in Heunghae-eup Pohang City, South Korea : evaluation of the mode and rate of the late Quaternary tectonism (I)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3, 2016년, pp.703 - 713  

신재열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박경근 (경상북도 독도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항시 흥해읍 일대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를 밝히고 형성 시기에 관한 절대연대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구정선 고도 10 m의 해안단구 제1면은 10만 년 BP 내외의 MIS 5c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이후 MIS 5a 해퇴 시기까지 파랑의 퇴적작용을 반복적으로 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안단구 제1면의 형성 시기에 관한 기존의 자료들을 교차 검증하는 한편 기존의 연구 결과들에 대한 종합적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동해안 지역 해안단구 제1면에 대한 사실을 재확인시켜 주고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지형 대비를 통한 제4기 후기(MIS 5c) 동해안 지역의 고해수준을 추론하고 있으며 보다 정교한 분석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해안단구 제2면의 구정선 고도에 관한 명확한 설정이 선결되어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ocuments the altitude of paleo-shoreline and formation age of the $1^{st}$ marine terrace emerged around Heunghae-eup Pohang City (South Korea). As a result, the $1^{st}$ terrace representing 10 m of the paleo-shoreline was formed at MIS 5c around 100,000...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해발고도 100 m 이상의 해안단구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기도 하였으나(신재열, 2015; 최성길 등, 2003; 황상일 등, 2012) 형성 시기에 관한 절대연대 자료의 부재와 낮은 해발고도에 분포하는 해안단구들에 관한 명확한 이해조차 부족한 상황에서 과학적 논의의 전개 조건 자체가 불충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해안 해안단구의 층서 수립을 위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는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해안 지역 해안단구의 지층서 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동해안 지역의 해안단구 지층서 수립을 위해 시작점이 될 수 있는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절대연대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는 10 m이며 연구지역 일대에서 해안단구 제1면의 형성 시기는 10만 년 BP 내외의 MIS 5c 시기이며 MIS 5a의 해퇴 시기까지 파랑의 퇴적작용을 반복적으로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 이번 연구 결과는 기존에 보고된 연구 결과들과도 일치하는 것으로 동해안 지역 해안단구 제1면에 관한 사실들로 재확인된다. 앞서 언급하였듯 본 연구는 동해안 해안단구의 지층서 수립을 위한 일차적 작업으로 진행되었으며 최종적으로 한반도 남해안 및 서해안 지역에 발달하는 해안단구와 대비함으로써 한반도 현생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을 정량적으로 산출하고자 하는 목적에 있다. 현재 남해안과 서해안 일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진행 중에 있다.
  • 본 연구는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우목리를 중심으로 죽천리, 용한리 일대의 현 해빈 직상위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고도와 형성시기를 밝히고 있다1)2).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한반도 현생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서해안 지역의 최저위 해안단구의 대비와 형성시기에 관한 정량적인 분석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 일차적 연구 성과물에 해당한다.
  • .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한반도 현생 지각운동의 양식과 변형률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서해안 지역의 최저위 해안단구의 대비와 형성시기에 관한 정량적인 분석을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 일차적 연구 성과물에 해당한다.
  • 본 연구는 현 해빈 직상위에 분포하는 해안단구 제1면의 분포 및 구정선 고도, 형성 시기를 규명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다. 이를 위해 네 차례의 현장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제시된 단구면의 규모와 추정 구정선 고도는 실측과 1:5000 지형도 판독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지각의 변형률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 당시 고해수준이 밝혀진 해안단구로부터 얻은 지각의 융기곡선은 상・하위 해안단구의 형성 과정에 대해 새로운 사실의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연구지역을 포함해 동해안을 따라서는 해발고도는 20~30m에서 해안단구 제2면이 폭넓게 발달하고 있다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단구 연구에 있어서 필수적인 자료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별 연구에서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된 구정선 고도는 연구자간 수 m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기준해 산출된 상이한 수준의 지각 융기율은 최종결과물만을 사용하는 일반의 연구자들에게 있어서는 상당히 혼란한 상태로 이해된다(황상일 등, 2012)(표 1). 한편 해안단구 연구에 있어 형성 시기에 관한 절대연대자료 역시 필수적이다.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해안단구 퇴적물의 절대연대 측정 시도는 해안단구 발달이 모식적인 동해안의 여러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으나(김종욱 등, 2005; 2007; 최성길, 1995; 1996; Choi et al.
현재 해안단구 연구에서, 현저한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의 현대 지형학 분야에서 특히 1970년대 이후 역동적인 생산력을 보여 왔던 해안단구 연구는 그 괄목할 만한 성과 이면에 여전히 불명확하고 혼란스러운 부분을 내재하고 있다. 무엇보다 현저한 문제는 해안단구 발달 상태 및 분포,구정선 고도 설정 등에 있어 연구자간 심각한 수준의 견해차이다. 구정선 고도의 명확한 설정은 현장의 조건에 따라 매우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나 지각운동의 변형률을 산출하기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정이다.
해발고도 100 m 이상의 해안단구에 대한 과학적 논의의 한계는? , 2009) 현재 양적으로 더 많은 사례지역을 확보하는 동시에 절대연대 자료들에 대한 상호간의 교차 검증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에는 해발고도 100 m 이상의 해안단구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기도 하였으나(신재열, 2015; 최성길 등, 2003; 황상일 등, 2012) 형성 시기에 관한 절대연대 자료의 부재와 낮은 해발고도에 분포하는 해안단구들에 관한 명확한 이해조차 부족한 상황에서 과학적 논의의 전개 조건 자체가 불충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해안 해안단구의 층서 수립을 위해 그 시작점이 될 수 있는 해안단구 제1면의 구정선 고도와 형성 시기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해안 지역 해안단구의 지층서 수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서운, 1973, 한반도 남동단부(방어진-포항) 해안 에 발달하는 단구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9(2), 89-121. 

  2.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5, 포항 북부 흥해읍 일대의 해안단구 지형 특성과 단구 퇴적물 연대, 한국지형학회지, 12(1), 103-116. 

  3. 김종욱.장호완.최정헌.최광희.변종민, 2007, 울진 후정-죽변 일대의 해안단구 퇴적물에 대한 OSL 연대측정, 한국지형학회지, 14(1), 15-28. 

  4. 박명호.김지훈.최성자.길영우.송윤구, 2007, 포항 용한리 지역의 퇴적지층에 대한 절대연대 측정 및 지화학 분석, 지질학회지, 43(1), 55-64. 

  5. 신재열, 2012, 호주 남동부 Otway 해안의 후기 신제3기 및 제4기 융기 운동(I): 제4기 해안단구 발달 및 지층서, 한국지구과학회지, 33(6), 519-533. 

  6. 신재열, 2015, 해안단구 연구를 위한 10Be 연대측정법의 적용과 한계점, 한국지구과학회지, 36(6), 512-519. 

  7. 엄상호.이동우.박봉순, 1964, 한국지질도(1:50,000) 포항도폭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8. 이호일.백인성.강희철.천종화, 2013, 경북 경주시 양남면에 분포하는 제2 해안단구 퇴적층의 산상 및 형성과정, 지질학회지, 49(4), 417-436. 

  9. 윤순옥.황상일.정석교, 2002, 삼척 오십천 중.하류부의 하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7(3), 222-236. 

  10. 윤순옥.황상일.반학균, 2003, 한반도 중부 동해안 정동진, 대진지역의 해안단구 지형발달, 대한지리학회지, 38(2), 156-172. 

  11. 최성자, 2003, 진하-일광 지역의 해안단구, 자원환경지질, 36(3), 233-242. 

  12. 최성자, 2004, 대보-구룡포-감포 지역의 해안단구 (II), 자원환경지질, 37(2), 245-253. 

  13. 최성길, 1993, 한국 동해안에 있어서 최종간빙기의 구정선고도 연구: 후기 갱신세 하성단구의 지형층후적 대비의 관점에서, 대한지리학회지, 7(1), 1-26. 

  14. 최성길, 1995, 한반도 중부동해안 저위해성단구의 대비와 편년, 대한지리학회지, 30(2), 103-109. 

  15. 최성길, 1996, 한국 남동부해안 포항 주변지역 후기갱신세 해성단구의 대비와 편년, 한국지형학회지, 3(1), 29-44. 

  16. 최성길.장호.김주용, 2003, 한반도 남동부해안 고위해성단구의 신분류 시안, 한국지형학회지, 10(1), 93-98. 

  17. 최정헌.정창식.장호완, 2004, 석영을 이용한 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의 원리와 지질학적 적용, 지질학회지, 40(4), 567-583. 

  18. 황상일.신재열.윤순옥, 2012,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한국지형학회지, 19(3), 97-108. 

  19. Aitken, M. J., 1998, An Introduction to Optical Dating: The Dating of Quaternary Sediments by the Use of Photon-stimulated Luminescence,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 Bard, E., Hamelin, B., and Fairbanks, R. G., 1990, U-Th ages obtained by mass spectrometry in corals from Barbados: sea level during the past 130,000 years, Nature, 346, 456-458. 

  21. Buscombe, D. and Masselink, G., 2006, Concepts in gravelbeach dynamics. Earth-Science Review, 79, 33-52. 

  22. Caputo, R., 2007, Sea-level curves: Perplexities of an end-user in morphotectonic applications, Global and Planetary Change, 57, 417-423. 

  23. Choi, J. H., Kim, J. W., Murray, A. S., Hong, D. G., Chang, H. W., and Cheong, C. S., 2009, OSL dating of marine terrace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ith implications for Quaternary tectonics, Quaternary International, 199, 3-14. 

  24. Choi, J. H., Murray, A. S., Jain, M., Cheong, C. S., and Chang, H. W., 2003, Luminescence dating of well-sorted marine terrace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 407-421. 

  25. Hearty, P. J., Hollin, J. T., Neumann, C., O'Leary, M. J., and McCulloch, M., 2007, Global sea 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Last Interglaciation (MIS 5e). Quaternary Science Reviews, 26, 2090-2112. 

  26. Hemleben,Ch., Meischner,D., Zahn,R., Almogi-Labin, A., Erlenkeuser, H., and Hiller, B., 1996, Three hundred eighty thousand year long stable isotope and faunal records from the Red Sea: influence of global sea level change on hydrography, Paleoceanography, 11 (2), 147-156. 

  27. Labeyrie, L. D., Duplessy, J. C., and Blanc, P. L., 1987, Variations in mode of formation and temperature of oceanic deep waters over the past 125,000 years, Nature, 327, 477-481. 

  28. Lambeck, K. and Chappell, J., 2001, Sea level change through the Last Glacial cycle, Science, 292, 679-686. 

  29. Lee, D. Y., 1987, Stratigraphical research of the Quaternary deposit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1(1), 3-20. 

  30. Ludwig, K. R., Muhs, D. R., Simmons, K. R., Halley, R. B., and Shinn, E. A., 1996, Sealevel records at -80 ka from tectonically stable platforms: Florida and Bermuda, Geology, 24, 211-214. 

  31. Muhs, D. R., Simmons, K. R., and Steinke, B., 2002, Timing and warmth of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new U-series evidence from Hawaii and Bermuda and a new fossil compilation for North Americ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1, 1355-1383. 

  32. Murray-Wallace, C. V., Ferland, M. A., and Roy, P. S., 2005, Further amino acid racemisation evidence for glacial age, multiple lowstand deposition on the New South Wales outer continental shelf, southeastern Australia, Marine Geology, 214, 235-250. 

  33. Neumann, A. C. and Macintyre, I. G., 1985, Reef response to sea level rise: keep-up, catch-up or give-up,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ral Reef Congress, 3, 105-110. 

  34. Oh, G. H., 1981, Marine terraces and their tectonic deformation on the coast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ll. Dept. Geography, Univ. of Tokyo, 13, 1-16. 

  35. Ota, Y. and Omura, O., 1992, Contrasting styles and rates of tectonic uplift of coral reef terraces in the Ryukyu and Daito Islands, southwestern Japan, Quaternary International, 15/16, 17-29. 

  36. Richards, D. A., Smart, P. L., and Edwards, R. L., 1994, Maximum sea levels for the last glacial period from U-series ages of submerged speleothems, Nature, 367, 357-360. 

  37. Shin, J., 2013, Stratigraphy and geochronology of Quaternary marine terraces of Tasmania, Southeastern Australia: implications on neotectonism, Geosciences Journal, 17(4), 429-443. 

  38. Siddall, M., Rohling, E. J., Almogi-Labin,A., Hemleben,Ch., Melschner, D., Schmelzer, I., and Smeed, D. A., 2003, Sea-level fluctuations during the last glacial cycle, Nature, 423, 853-858. 

  39. Stirling, C. H., Esat, T. M., Lambeck, K., and McCulloch, M. T., 1998, Timing and duration of the Last Interglacial: evidence for a restricted interval of widespread coral reef growth,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60, 745-7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