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의 의료시설 평가에 관한 연구 - BREEAM, LEED, CASBEE의 평가방법과 평가내용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Healthcare Facilities - Focused on System and Contents for Healthcare in BREEAM, LEED, CASBEE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2 no.3, 2016년, pp.17 - 26  

윤은지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  임영환 (Department of Architecture, Hongik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 the concerns for the environment are gradually prioritized, increasing interest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are drawn. The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G-SEED) has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assessment criteria that reflect the speci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해외 친환경인증제도에 관한 많은 논문들이 발표 되었지만 미국, 영국, 일본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동시에 분석한 논문은 없었으며 의료시설만을 대상으로 한 평가방법과 평가항목을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한 사례는 없었다. 본 연구는 미국, 영국, 일본의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의료시설을 위한 평가방법과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녹색건축물 인증제도에 적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의료시설 평가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의료시설을 위한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이 없어 ‘그 밖의 시설’ 카테고리 안에서 다른 시설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국, 미국, 일본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의 의료시설을 위한 평가방법과 평가내용을 분석하여 국내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지금까지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단순한 카테고리의 비중이나 평가항목의 비교에서는 다루지 못했던 의료시설에 해당되는 특수한 내용들을 세부평가내용에서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들의 평가항목뿐 아니라 세부평가내용과 평가방법 및 체계를 분석하여 친환경 의료시설 계획과 평가에 필요한 내용들을 도출하고, G-SEED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 의료시설 계획이란 무엇인가? 친환경건축물을 계획하는 일반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으로 환자들이 거주하는 의료시설을 계획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Lim & Park, 2015: 66). 친환경 의료시설 계획이란 에너지 및 수자원 절약,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등과 같은 친환경적인 관점과 함께 환자의 안전과 치유환경을 고려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이런 관점들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복지라는 궁극적인 목적에 부합하는 것이다.
친환경 의료시설과 일반적인 친환경 건축물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 친환경 의료시설과 일반적인 친환경 건축물의 가장 특징적인 차이점은 주변 환경에 더 민감한 환자들이 사용하는 시설이라는 것이다. 친환경건축물을 계획하는 일반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으로 환자들이 거주하는 의료시설을 계획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Lim & Park, 2015: 66).
녹색건축물 인증제도 중 의료시설 부분에서 개선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녹색건축 인증을 의무적으로 취득해야 하는 대상을 확대하고 인증받은 건축물에 대해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등 제도를 강화하고 있지만,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아직 많다. 특히 의료시설은 일반적인 업무시설에 비해 면적당 거의 2배에 달하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에너지 다소비 시설이고 기능적으로도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조건들이 매우 많지만 ‘그 밖의 시설’의 카테 고리 안에서 다른 시설들과 동일한 조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가적인 에너지 절감을 위해 의료시설 설계 시 친환경성을 고려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친환경 의료시설의 계획은 사회적 안전과 복지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i, S.; Park, S, 2013, "Domestic Promotion Case of BREEAM UK",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42(8), pp.32-45. 

  2. Kim, H.; Kim, J.; Lee, Y.; Lee, J. 2012, "A Suggestion for an Improved Operational Scheme through a Comparison Study on the 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28(6), pp.255-264. 

  3. Kim, S.; Kim, H.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by the Comparison with BREEAM and LEE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26(12), pp.271-278. 

  4. Kim, H.; Kim, K. 2013,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vision for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on Office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29(10), pp.13-22. 

  5. Lee, S.; Park, C.; Lee, S.; Cho, D. 2013, "A Study on Score Calculation Method for Certification Grade of G SEED(Korea) & Worl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29(11), pp.283-290. 

  6. Lim, Y.; Yoo, Y. 2010, "Study 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Health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26(08), pp.153-162. 

  7. Lim, Y.; Park, S. 2015, "A Study on Environment -friendliness in Tokyo Regional Hospita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31(7), pp.65-74. 

  8. Lim, Y.; Yoon, E. 2015, "An Analytical Study of BREEAM Structure and Assessment Criteria for Healthca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31(12), pp.41-50. 

  9. Moon, M.; Ka, C.; Lee, J.; Jung, J.; Tae, C.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Green Building in Korea",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31(1), pp.263-268. 

  10. Yeom, D.; Lee, K. 2015,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SEED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Planning and Design Section, 31(3), pp.13-22. 

  11. BRE Global Ltd., 2014, BREEAM UK New Construction Technical Manual, http://www.breeam.org/resources 

  12. IBEC, 2014, CASBEE for Building (New Construction) Technical Manual 2014 Edition, http://www.ibec.or.jp/CASBEE/english/ 

  13. U.S. Green Building Council, 2015, Leadership in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http://www.usgbc.org/leed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