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조사
The Survey of Weed Occurrence at Grape Orchard in 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5 no.3, 2016년, pp.177 - 180  

황기선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노석원 (국립식량과학원) ,  이윤미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김지윤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정선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인용 (국립농업과학원) ,  박기웅 (충남대학교 식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남지역 포도원의 발생잡초를 확인하고 잡초관리기술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4월부터 6월, 9월부터 10월까지 2차례에 걸쳐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충청남도지역의 포도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일년생 33종, 다년생 17종을 포함하는 23과 50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새포아풀(7.07), 돌피(6.56), 바랭이(6.43), 냉이(5.63)가 우점하였고, 2차 조사에서는 속속이풀(9.59), 가는잎한련초(9.13), 바랭이(7.68), 새포아풀(7.68) 순으로 우점하였다.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잡초발생은 제초제만 처리한 경우 6과 7종으로 잡초종의 발생이 가장 적었으며, 예초와 경운을 이용한 경우 9과 21종으로 가장 많은 초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atic weed species in grape orchard fields to establish basic information for suitable weed control. Surveys of weed species occurring in grape orchards were conducted in Chungnam province including Daejeon and Sejong of Korea from April to June and from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잡초방제 방법에는 화학적 방제, 기계적 방제, 생물학적 방제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어느 한 방법에만 의존하기에는 경제적, 환경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여러 방제수단을 동원하여 종합적인 체계로 방제하고 잡초군락의 생태적 변화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포도원의 잡초관리방법별 발생잡초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잡초군락 변화와 문제잡초로 발전가능성이 있는 초종을 예측하고 적합한 방제기술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어떤 것이 있는가? 충남지역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23과 50종의 잡초에는 소리쟁이(Rumex crispus), 미국까마중(Solanum nigrum), 유럽점나도나물(Cerastium glomeratum)을 포함한 외래잡초 8과 16종과 논, 밭, 과원 그리고 목초지에서 모두 발생이 보고된(Lee et al., 2007) 바랭이, 방동사니(Cyperus amuricus),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여뀌(Persicaria hydropiper), 미국가막사리(Bidens frondosa), 밭뚝외풀(Lindernia procumbens)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초종은 앞으로 문제초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발생초종에 대한 적절한 방제기술 확립 및 새로운 초종의 유입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제대책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충남지역 포도원의 발생잡초를 조사한 결과 어떤 잡초방제방법을 사용했을 때 잡초종의 발생이 가장 적었는가? 68) 순으로 우점하였다. 잡초방제방법에 따른 잡초발생은 제초제만 처리한 경우 6과 7종으로 잡초종의 발생이 가장 적었으며, 예초와 경운을 이용한 경우 9과 21종으로 가장 많은 초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초의 발생양상은 어떤 요인에 의해 달라지는가? 과원에 발생하는 잡초는 수종, 임령 및 입지조건 등에 따라 군락의 변화가 발생하며, 전작지보다는 비농경지에 가까운 발생양상을 보인다(Yeon, 1991). 농경지에서 잡초의 발생양상은 지역의 지형, 토질, 산업 형태 등에 영향을 받으며, 작물재배양식, 잡초방제방법에 따라 잡초의 식생이 달라진다(Hwang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Wien-New York. p. 865. 

  2. Choi, Y.H. 2015. Eco-friendly weed management and grape leafhoppers control at the vineyard.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onju, Korea. 

  3. Curtis, J.T. and McIntosch, R.P. 1950. The interrelations of certain analytic and synthetic phytosociological characters. Ecol. 31:434-455. 

  4. Hwang, K.S., Eom, M.Y., Park, S.H., Won, O.J., Suh, S.J., et al. 2014. Occurrence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on upland Chinese cabbage fields in Chungnam province.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41(4):303-308. (In Korean) 

  5.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n, Korea. 

  6. Lee, C.Y., Park, J.S., Lee, H.D., Kim, E.J., Hong, E.Y., et al. 2016.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s on orchard fields in Chungbuk province of Korea. Weed Turf. Sci. 5(2):71-81. (In Korean) 

  7. Lee, K.Y., Kim, S.K., Lee, J.W., Lee, Y.S., Lee, S.H., et al. 2013. Effects of yield and the grape growth each of weed control methods on at the vineyard in Chungbuk province. Korean. J. Pestic. Sci. 17(1):20-26. (In Korean) 

  8. Lee, I.Y., Park, J.E., Kim, C.S., Oh, S.M., Kang, C.K., et al. 2007.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arable land of Korea. Kor. J. Weed Sci. 27(1):1-26. (In Korean) 

  9. Lee, I.Y., Park, J.E., Park, T.S., Lim, S.T. and Moon, B.C. 2001. Factfinding survey on paddy, upland and orchard herbicides use at farmer's level. Kor. J. Weed Sci. 21(1):58-64. (In Korean) 

  10. Park, J.E., Lee, I.Y., Oh, S.M., Park, T.S., Kim, C.S., et al.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Korea. Kor. J. Weed Sci. 25(4):267-274. (In Korean) 

  11.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Inc., Seoul, Korea. 

  12. Raunkiaer, C. 1934. Plant life forms. Clarendon press. Oxford, UK. 

  13. Wikum, D.A. and Shanholtzer, G.F. 1978. Application of the Braun- Blanquet cover-abundance scale for vegetation analysis in land development studies. Environmental Manage. 2(4):323-329. 

  14. Yeon, K.B. 1991. Survey of weed population and species in upland crop fields in Korea and publication of an illustrated book of Korea upland weeds. The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Gyeonggido,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