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현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재료학적 특성과 물성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y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Stained Glass in the Yakhyeon Catholic Church,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3, 2016년, pp.425 - 436  

조지현 (서울역사박물관 보존과학과)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강명규 ((주)팜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약현성당(사적 제252호)은 1892년에 건립된 현존하는 최초의 서양식 벽돌조 건축물로 한국 근대건축사에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성당의 제대 후벽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는 1974년 처음으로 도입된 이남규의 슬랩글라스(달드베르)로서 1998년 화재로 그을림 및 누수현상이 나타나자 다음해 보수된 바 있다. 색유리의 발색원소 분석 결과, 황색, 적색 및 연두색은 아연(Zn), 칼륨(K), 카드뮴(Cd)으로 확인되었고 셀레늄(Se)이 적색 착색제로 사용되었다. 또한 진녹색 계열의 발색성분은 망간(Mn)과 크롬(Cr), 청색계열은 납(Pb)과 황(S)이 검출되었다. 사이 줄눈의 재료학적 분석결과, 돌로마이트($CaMg(CO_3)_2$)와 방해석($CaCO_3$)으로 동정되었고 판상, 능면상, 주상, 방형 등의 결정질 입자가 확인되었다. 한편 초음파 속도는 스테인드글라스에서 평균 4,130 m/s를 보이며 중앙창 십자가와 우창 하단부에서 저속도대가 나타났으며, 줄눈은 평균 2,053 m/s의 속도범위에서 좌창 상부와 중앙창 가운데에서 가장 낮은 물성을 보였다. 약현성당의 색유리와 사이 줄눈은 육안관찰시 우창에서 집중적인 표면풍화가 나타나는 것과는 달리 물성진단을 통해 좌창 및 중앙창을 중심으로 상당한 물리적 손상이 확인되었다. 앞으로 유리의 조성과 물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 꾸준히 보존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Yakhyeon catholic church (Historic Site No. 252 in Korea) that was constructed in 1892 has been the first western brick structure to ever have existed and one of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in the Korean modern architecture. After a fire had broken out at the catholic church in 199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줄눈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초음파탐상기의 특성상 적합한 측정대상에 해당하여 20 cm 로 간격을 설정하였다. 국내에서 스테인드글라스에 대한 초음파 속도는 비교대상이 없어 상대적인 차이와 전체적인 분포로 물성을 검토하였다.
  • 이들은 시멘트 모르타르의 바탕층 위에서 부분 보수가 필요한 영역이나 미세균열에 대하여 퍼티로 메우고 시멘트 석재용 접착제로 봉합한 보수사례에 해당한다. 내외부를 관통하는 두꺼운 색유리와 줄눈의 상태를 구조적으로 접근하고자 단면을 추정해보았다 (Figure 7B). 슬랩글라스는 다양한 균열깊이를 보이며 발달할 것으로 판단되고 표면의 보수용 물질들도 색유리와 창틀의 누수, 노출환경의 풍화를 막기 위해 나름대로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스테인드글라스는 일부 다방향으로 쪼개짐이 관찰되고 사이 줄눈도 수직 및 수평 균열이 확인된다(Figure 1F-1H). 다양한 발색특성을 보이는 유리질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줄 눈의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상대적 물성을 비교하고자 자연과학적 조사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 줄눈에서 탈락된 극미량의 시료를 수습하여 실험과 분석을 병행하였다.
  • 적색그룹도 붉은 색 한 가지로 나타나기보다는 주황색에서 갈색까지 다채로운 색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약현성당 스테인드글라스의 분석에서는 주요 색상별 분류를 통한 공통된 주성분원소를 찾아내는 것과 동시에 동일계열의 색에서 나타나는 미묘한 색상별 차이를 분별하는 발색원소까지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다.
  • 줄눈은 스테인드글라스에 비해 초음파속도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이를 세분화하여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값을 스테인드글라스 입면도에 투영하여 위치에 따른 상대적인 속도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스테인드글라스는 모두 단일개체로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1,000 m/s마다 구획을 나뉘어 스케일을 단면화 하였고, 줄눈은 지지대의 역할을 하지만 하나로 이어지는 단일벽체로 간주하여 연속된 스케일로서 색유리와 구별하였다(Figure 5).
  • 탐촉자는 CNS Farnell사의 UTREXTXRX(54 kHz)를 사용하였고, 접촉매질은 미세한 유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Jo and Lee(2015)의 연구에 의해 입증된 바 있는 건조성 접촉매질 엘라스토머 커버를 사용하였다. 또한 전문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좌표값을 도영해 지형도 방식의 시각적 2D 이미지로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 다양한 발색특성을 보이는 유리질의 스테인드글라스와 줄 눈의 재료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상대적 물성을 비교하고자 자연과학적 조사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정량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일부 줄눈에서 탈락된 극미량의 시료를 수습하여 실험과 분석을 병행하였다.
  • 이때 스테인드글라스는 최소 폭이 20 cm가 되는 부재를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길이 미달인 부재에 대해서는 각각의 길이를 직접 기재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주변 줄눈은 각 창의 스테인드글라스에서 길이방향으로 5개로 나눈 뒤, 한 구역당 6 포인트씩 선정하여 전체 물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분석하였다.
  • 또한 줄눈의 구성광물을 동정하고자 X-선 회절분석 (Rigaku제 D/Max-ⅡB X-선 회절분석기)을 수행하였다. 시료는 분말하여 60℃에서 건조하였고 X-선 타겟은 CuKα, 양극 가속전압 및 필라멘트 전류는 40 kV와 40 mA로 설정하였다.
  • 스테인드글라스 바탕층의 종류별 구성광물을 파악하고자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Figure 4). 분석시료는 수습한 바탕층을 색상별로 나누었다. YH-1은 바탕층 상부의 황색층과 함께 산출되는 흑색무기물 층이고, YH-2는 바탕 층이다.
  • 약현성당 제대 후벽의 스테인드글라스 및 줄눈의 물성을 정확히 진단하고자 초음파탐상법을 적용하였다. 색유리는 크기가 작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10~20 cm 사이의 폭을 보이며 이중 길이가 긴 것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정확한 속도치를 산출하고자 지점별 간격도 함께 기록하였다. 줄눈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초음파탐상기의 특성상 적합한 측정대상에 해당하여 20 cm 로 간격을 설정하였다.
  • 색유리의 색상별 발색성분을 규명하고자 현장에서 1차로 색 구분을 수행하였다. 약현성당 색유리는 녹색, 진녹색, 적색, 황색, 청색 및 연두색의 6가지 계열로 분류되며, 각 색유리를 대상으로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XRF)를 이용하여 비파괴 정밀분석을 실시하였다.
  • 스테인드글라스 바탕층의 종류별 구성광물을 파악하고자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Figure 4). 분석시료는 수습한 바탕층을 색상별로 나누었다.
  • 스테인드글라스의 구조적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줄 눈의 광물학적 및 조직적 특징을 관찰하기 위해 실체현미경을 적용하였다. 현장에서 수습한 줄눈 편은 앞뒤 서로 다른 육안적 특징을 보였으며 이들의 미세 표면상태 및 구성원소를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을 수행 하였다.
  • 색유리의 색상별 발색성분을 규명하고자 현장에서 1차로 색 구분을 수행하였다. 약현성당 색유리는 녹색, 진녹색, 적색, 황색, 청색 및 연두색의 6가지 계열로 분류되며, 각 색유리를 대상으로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XRF)를 이용하여 비파괴 정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기기는 Innov-X System사의 Potable XRF Analyzer이다.
  • 약현성당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나타나는 형형색색의 색상별 발색원소를 규명하기 위해 검출원소를 기준으로 색상을 세분화하였고, 색상에 따라 뚜렷한 원소특성을 보이는 성분들을 정리하여 발색원소를 검토하였다(Figure 6). 전반적으로 Zn, Sb, K, Se 및 Cd은 황색, 적색, 연두색 계열의 발색원소로 활용되었고, Mn, Pb, S, Ca, Cr은 녹색, 진녹색 및 청색계열의 발색원소로 사용되었다.
  • 이 연구에서는 약현성당 제대 후벽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를 대상으로 재질특성 분석과 물성진단을 수행하였다. 우선 색상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스테인드글라스의 발색 원소를 집중 분석하였고, 측정이 가능한 스테인드글라스 부재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측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색유리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채워 넣은 줄눈도 초음파를 적용하여 스테인드글라스 전체에 대한 상대적인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 우선 색상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스테인드글라스의 발색 원소를 집중 분석하였고, 측정이 가능한 스테인드글라스 부재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측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색유리 사이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채워 넣은 줄눈도 초음파를 적용하여 스테인드글라스 전체에 대한 상대적인 물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근대문화재 및 색유리 보존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연구에서는 약현성당 제대 후벽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를 대상으로 재질특성 분석과 물성진단을 수행하였다. 우선 색상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스테인드글라스의 발색 원소를 집중 분석하였고, 측정이 가능한 스테인드글라스 부재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측정하였다.
  • 후벽 색유리는 녹색, 짙은 녹색, 적색, 황색, 청색 및 연두색의 6가지 색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색상별 구성원소와 발색성분을 파악하고자 좌창, 중앙창 및 우창에 대하여각 2번씩 동일색상을 측정하였으며 위치별로 좌창 10지점, 중앙창 12지점, 우창 10지점 등 총 32지점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Figure 2, Table 1). 약현성당에 적용한 P-XRF는 휴대용 XRF 중에 매우 넓은 원소 측정범위를 가진다.
  • 따라서 이상의 측정된 초음파 속도값을 스테인드글라스 입면도에 투영하여 위치에 따른 상대적인 속도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스테인드글라스는 모두 단일개체로 삽입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1,000 m/s마다 구획을 나뉘어 스케일을 단면화 하였고, 줄눈은 지지대의 역할을 하지만 하나로 이어지는 단일벽체로 간주하여 연속된 스케일로서 색유리와 구별하였다(Figure 5).
  • 황색 및 연회색층은 스테인드글라스의 상부로 갈수록 많이 남아있고, 하부에는 진회색층이 주로 관찰된다. 일부 바닥에 탈락된 극미량의 줄눈을 수습하여 실내에서 정밀 분석을 수행하였다. 육안관찰 결과, 바탕층 시료에서는 시멘트와 세립질의 유색 및 무색광물이 확인된다(Figure 3C).
  • 색유리는 크기가 작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10~20 cm 사이의 폭을 보이며 이중 길이가 긴 것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정확한 속도치를 산출하고자 지점별 간격도 함께 기록하였다. 줄눈은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초음파탐상기의 특성상 적합한 측정대상에 해당하여 20 cm 로 간격을 설정하였다. 국내에서 스테인드글라스에 대한 초음파 속도는 비교대상이 없어 상대적인 차이와 전체적인 분포로 물성을 검토하였다.
  • 짙은 녹색을 띠는 색유리는 좌창의 2번, 7번, 중앙창의 15번, 20번, 우창의 27번, 28번에서 성분분석을 시행하였다. Ca이 주성분원소, As가 부성분원소로 측정되었으며 녹색계열과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 한편 스테인드글라스 및 사이 줄눈의 물성을 진단하기 위해 초음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스테인드글라스는 최소 폭이 20 cm가 되는 부재를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길이 미달인 부재에 대해서는 각각의 길이를 직접 기재하여 적용하였다.
  • 스테인드글라스의 구조적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는 줄 눈의 광물학적 및 조직적 특징을 관찰하기 위해 실체현미경을 적용하였다. 현장에서 수습한 줄눈 편은 앞뒤 서로 다른 육안적 특징을 보였으며 이들의 미세 표면상태 및 구성원소를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을 수행 하였다. 이 현미경은 Oxford사의 에너지분산형 성분분석기(EDX Inca M/X)가 장착된 JEOL사의 JSM 6335이다.
  • 황색 유리는 좌창의 4번, 8번, 중앙창의 13번, 16번, 우 창의 23번, 30번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중 Zn이 주성분원소, Ca과 Cd이 부성분원소로 붉은 계열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후벽 색유리는 녹색, 짙은 녹색, 적색, 황색, 청색 및 연두색의 6가지 색으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색상별 구성원소와 발색성분을 파악하고자 좌창, 중앙창 및 우창에 대하여각 2번씩 동일색상을 측정하였으며 위치별로 좌창 10지점, 중앙창 12지점, 우창 10지점 등 총 32지점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Figure 2, Table 1).

대상 데이터

  • 한편 색상별 유리가 갖는 강도를 파악하고자 초음파 속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Figure 8). XRF에서 측정했던 색유리 중 초음파 값이 있는 개체 17점을 선정하였고 2,000 m/s 미만대의 풍화유리도 2점(Y-a, G-b) 포함하여 비교자료로 활용하였다. 노란색과 초록색 유리에서 넓은 속도범위를 보이는 가운데 적색 유리는 3,000 m/s 이상에서만 확인되었고 진한 녹색(DG28, DG7)은 최하 4,577 m/s 를 나타내며 모두 상대적으로 뛰어난 물성치를 보였다.
  • 약현성당 색유리는 녹색, 진녹색, 적색, 황색, 청색 및 연두색의 6가지 계열로 분류되며, 각 색유리를 대상으로 휴대용 X-선 형광분석기(P-XRF)를 이용하여 비파괴 정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기기는 Innov-X System사의 Potable XRF Analyzer이다.
  • 시료는 분말하여 60℃에서 건조하였고 X-선 타겟은 CuKα, 양극 가속전압 및 필라멘트 전류는 40 kV와 40 mA로 설정하였다.
  • 우선 녹색계열은 좌창 1번, 6번, 중앙창 11번, 21번, 우 창의 26번, 29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구성 및 발색에 영향을 준 원소는 Ca, As, Pb 등이며 이중 Ca이 주성분원소, Pb와 As가 부성분원소로 확인되었다.
  • 한편 스테인드글라스 및 사이 줄눈의 물성을 진단하기 위해 초음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때 스테인드글라스는 최소 폭이 20 cm가 되는 부재를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길이 미달인 부재에 대해서는 각각의 길이를 직접 기재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주변 줄눈은 각 창의 스테인드글라스에서 길이방향으로 5개로 나눈 뒤, 한 구역당 6 포인트씩 선정하여 전체 물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비교분석하였다.
  • 약현성당 스테인드글라스에서 나타나는 형형색색의 색상별 발색원소를 규명하기 위해 검출원소를 기준으로 색상을 세분화하였고, 색상에 따라 뚜렷한 원소특성을 보이는 성분들을 정리하여 발색원소를 검토하였다(Figure 6). 전반적으로 Zn, Sb, K, Se 및 Cd은 황색, 적색, 연두색 계열의 발색원소로 활용되었고, Mn, Pb, S, Ca, Cr은 녹색, 진녹색 및 청색계열의 발색원소로 사용되었다. 이중에서 Se은 적색의 착색제로 사용된 것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녹색 및 진녹색 계열에서는 Mn, Cr 등이 다른 원소에 비해 발색원소로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 청색계열 유리는 좌창의 5번, 10번, 중앙창의 12번, 18번, 우창의 25번, 32번을 대상으로 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Ca이 주성분원소(22,133~23,878 ppm), As(6,341~6,720 ppm)와 Pb(6,579~6,857 ppm)이 부성분원소로 검출되었다.
  • 초음파탐상기는 PROCEQ사의 Pundit Lab을 선정하였다. 탐촉자는 CNS Farnell사의 UTREXTXRX(54 kHz)를 사용하였고, 접촉매질은 미세한 유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Jo and Lee(2015)의 연구에 의해 입증된 바 있는 건조성 접촉매질 엘라스토머 커버를 사용하였다.
  • 측정은 좌창 127 지점(스테인드글라스 97, 줄눈 30), 중앙창 98지점(스테인드글라스 69, 줄눈 29), 우창 110 지점 (스테인드글라스 80, 줄눈 30)에서 실시하였다. 좌창, 중앙창 및 우창의 스테인드글라스는 전체 1,901~6,912 m/s의 초음파속도를 보였고 평균은 4,130 m/s로 나타났다(Table 3).
  • Ca이 주성분원소(22,133~23,878 ppm), As(6,341~6,720 ppm)와 Pb(6,579~6,857 ppm)이 부성분원소로 검출되었다. 한편 연두색 유리는 중앙창의 14번, 19번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는데 Zn과 Cd이 주성분을 보였다. 푸른색을 내는 녹색계열과 유사할 것으로 판단했으나 적색 및 황색과 유사한 성분비를 보였다.

이론/모형

  • 약현성당 제대 후벽의 스테인드글라스 및 줄눈의 물성을 정확히 진단하고자 초음파탐상법을 적용하였다. 색유리는 크기가 작은 것도 있지만 대부분 10~20 cm 사이의 폭을 보이며 이중 길이가 긴 것을 대상으로 측정하였고, 정확한 속도치를 산출하고자 지점별 간격도 함께 기록하였다.
  • 초음파탐상기는 PROCEQ사의 Pundit Lab을 선정하였다. 탐촉자는 CNS Farnell사의 UTREXTXRX(54 kHz)를 사용하였고, 접촉매질은 미세한 유리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 Jo and Lee(2015)의 연구에 의해 입증된 바 있는 건조성 접촉매질 엘라스토머 커버를 사용하였다. 또한 전문응용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각의 좌표값을 도영해 지형도 방식의 시각적 2D 이미지로 최종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현성당의 행정적 위치는? 서울 중구 중림동에 있는 약현성당은 1892년에 건립된 현존하는 최고의 서양식 벽돌조 건축물이다. 이는 한국 최초의 교회건축인 동시에 1900년 이전의 건축물이지만 일본을 통하지 않고 직접 서양으로부터 수용된 상징적인 건물로서 한국 근대문화재의 중요한 서두를 장식해왔다.
벽돌제작 기술이 유입된 19세기 말 건축적 특징은 무엇인가? 19세기 말부터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성당, 제국주의 열강의 공관건물, 학교, 의료시설 등 근대적 의미의 건축물이 건립되기 시작하였다. 이 시기에 벽돌제작 기술이 유입되 었는데, 적벽돌 건축물은 여러 전문가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Kim and Hong, 2004; Yu and Kwon, 2011).
스테인드글라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 2006; Barbara and Umberto, 2012). 색유리는 종교적 상징성과 장식으로서의 기능을 공유하며 야외에 노출되어 내외부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음에도 불구하고, 근대문화유산의 보존이라는 범주에서 최근에야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미 약현성당의 스테인드글라스는 일부 다양한 방향으로 균열과 쪼개짐이 나타나고 사이줄눈에서는 수직 및 수평균열도 확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rbara, D.B. and Umberto, R., 2012, Basilica of San Marco (Venice, Italy/Byzantine period):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on the glass mosaic tesserae.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358(2), 368-378. 

  2. Carmona, N., Villegas, M.A. and Navarro, J.M.F., 2006, Study of glasses with grisailles from historic stained glass windows of the cathedral of Leon (Spain). Applied Surface Science, 252(16), 5936-5945. 

  3. Flora, C., 2008, Dalle de Verre: Modern stained glass. The challenge of change: Dealing with the legacy of the modern movement, 355-360. 

  4. Jo, Y.H. and Lee, C.H., 2015, A study on selection of ultrasonic transducer and contact material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stone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3), 267-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ohn, P., 1996, Restoration of westminster Roman catholic cathedral. Journal of Architectural Conservation, 2(2), 72-80. 

  6. Kim, H.Y. and Hong, S.J., 2004,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design characteristic of church building in modern brick stru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 2001, A study on repairing and preservation of the early western style architecture in Korea - Focused on the case study on the church buildings which are registered as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0(2), 55-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 Ha, E.Y., Lee, M.S. and Lee, C.H., 2012, Material analysis and deterioration evaluation of foundation stones and holy stone relics in Myeongdongseongdang cathedral,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8(4), 305-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o, J.H., 2013, A study of restoring techniques for conservation of stained-glass window.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0(2), 55-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anuel, C., Maria, A.V., Emilio, C., Fernando, C.P. and Jose, M.B., 2004, A conservation assessment on metallic elements from Spanish medieval stained glass windows.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5(3), 311-317. 

  11. Raymond, M.P., Laura, N.B. and Christopher, G., 2014, Conservation of Dalle de Verre at the New York hall of science, Apt Bulletin. Journal of Preservation Technology, 45(4), 3-12. 

  12. Shin, W. and Lee, S., 2014, A study on the preservation method of modern registered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6(1), 119-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Yu, H.R. and Kwon, K.H., 2011, A study on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asonry structure constructed by clay brick with lime mortar. Journal of Structural Integrity and Maintenance, 15(4), 87-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