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 감정단어의 의미적 관계와 범주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emantic Relation and Category of the Korean Emotion Word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7 no.2, 2016년, pp.51 - 70  

이수상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한글로 된 주요감정단어들의 리스트를 대상으로 의미적 관계의 네트워크와 극성과 각성의 범주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단어 네트워크에서 각 감정단어들은 의미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것은 의미적 유사성에 따라 감정단어들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특징이다. 대신에 의미적 관계의 감정단어 네트워크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감정단어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극성과 각성의 차원을 혼합한 범주에서, 많은 감정단어들은 부정적인 극성과 높은 각성의 단어들 집단과 부정적인 극성과 중간수준 각성의 단어들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한글감정단어의 특성들은 도서관이나 문헌정보에 나타나는 각종 텍스트 데이터의 감정분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mantic relation network and valence-arousal dimension through the words that describe emotions in Korean languag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each emotion word was semantically linked in the network. This particula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감정단어들이 가지는 복합성(다의성) 때문에 의미적인 관계에 따라 감정들의 유형을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러셀이나 테이어의 2차원 감정모델처럼 한글의 주요감정단어들의 범주를 극성과 각성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범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의 감정단어와 유사어를 대상으로 감정단어의 의미적 관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감정단어들이 나타내는 복합성(다의성)의 다양한 특성들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감정분석의 기반 역할을 하는 감정단어사전 또는 감정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사전작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감정단어사전 또는 감정온톨로지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감정 단어에 대한 의미적 특성과 유형(범주)의 구분이 중요하다.
  • 사람의 감정에 대한 유형화 작업은 심리학, 언어학(국어학) 등에서 관심이 많았다. 심리학에서는 심리적인 감정 상태에 대하여, 언어학에서는 사람의 언어(문학작품 포함)에 나타난 감정단어에 대하여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감정들의 종류는 많지만, 이 감정들이 서로 유사한 것이 많다.
  • 이 장에서는 감정을 나타내는 주요한 한글 감정단어들의 리스트를 확보하고, 사전적인 설명을 토대로 한글 감정단어들에서 나타나는 의미적 복합성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주요 감정단어 리스트는 감정단어 리스트 사례를 제시한 선행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확보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kman, P. 1992. "Are there basic emotions?" Psychological Review, 99(3): 550-553. 

  2. Goleman, D. 2005.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Bantam Books. 

  3. Plutchik, R. 2001. "The Nature of Emotions". American Scientist, Volume 89: 344-350. 

  4. Russell, J.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61-1178. 

  5. Thayer, R. E. 1989. The Biopsychology of Mood and Arousal.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김옥섭, 이석원. 2015. 감정 온톨로지 기반의 영화 추천 기법.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8(9): 1068-1082.(Ok-Seob Kim, Seok-Won Lee. 2015. "A Movie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Emotion Ontology."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8(9): 1068-1082.) 

  7. 김은영. 2004. 국어 감정동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Gim Eunyeong. 2004. Gim Eunyeong.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8. 김태용, 안도현. 2011. 한국어 감정표현 어휘들의 극성-각성 좌표화를 통한 해독격차 분석 및 수렴화 프로세스 제안. 한국어론학보, 55(6): 436-465.(Taeyong Kim, Dohyun Ahn. 2011. "Construction of an Affective Map of Korean Vocabulary and Analysis of Individual Deviations for Proposing a Process of Interpretative Converge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5(6): 436-465.) 

  9. 김향숙. 2001. 한국어 감정표현 관용어 연구.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국어학과.(Kim Hyang-Suk. 2001. A Study on Korean Emotional Idioms. doctoral dissertation. Dep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Inha University.) 

  10. 박인조. 2001. 한국어 감정단어의 분석: 감정단어 목록마련과 차원 탐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성격심리학과. 

  11. 박인조, 민경환. 2005. 한국어 감정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109-129.(In Jo Park, Kyung Hwan Min. 2005. "Making a List of Korean Emotion Terms and Exploring Dimentions Underlying Them." Korean j ournal o 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9(1): 109-129.) 

  12. 백현기. 2012. 청소년 상담을 위한 마음의 병 온톨로지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3(4): 547-557.(Hyeon-gi Baek. 2012. "A Study on Design of Diseases of Mind Ontologies for Juvenile Consultation."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3(4): 547-557.) 

  13. 손선주 등. 2012. 한국어 감정표현단어의 추출과 범주화. 감성과학, 15(1): 105-120.(Sunju Sohn et al. 2012. "Korean Emotion Vocabulary: Extraction and Categorization of Feeling Words."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5(1): 105-120.) 

  14. 신은주. 2008. 국어 감정용언의 양상 고찰: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학.(Shin Eun-Joo. 2008. A Consideration of Modality in Korean EmotiveDeclinable Words: Centering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master's thesis,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5. 안신호, 이승혜, 권오식. 1993. 정서의 구조: 한국어 정서단어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7(1): 107-123.(Shin Ho Ahn, Seung Hye Lee, Oh Seek Kwon. 1993. "Activation Dimension: A Mirage in the Affective Spac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7(1): 107-123.) 

  16. 오연주, 채수환. 2015. 영화평과 평점을 이용한 감성 문장 구축을 통한 영화 평점 추론.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6(2): 41-48.(Yean-Ju Oh, Soo-Hoan Chae. "Movie Rating Inference by Construction of Movie Sentiment Sentence using Movie comments and rat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6(2): 41-48.) 

  17. 운애선, 권혁철. 2010. 감정 온톨로지의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 분석. 인지과학, 21(1): 157-175.(Aesun Yoon, Hyuk-Chul Kwon. 2010. "Component Analysis for Constructing an Emotion Ontology."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21(1): 157-175.) 

  18. 이준웅 등. 2008. 정서 단어 분류를 통한 정서의 구성 차원 및 위계적 범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1): 85-116.(June Woong Rhee et al. 2008. "Classification of Emotion Terms in Korea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2(1): 85-116.) 

  19. 이철승 등. 2013. 한글 마이크로블로그 텍스트의 감정 분류 및 분석.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40(3): 159-167.(Cheolseong Lee, et al. 2013.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Emotion in Korean Microblog Texts." Journal of KISS : Databases, 40(3): 159-167.) 

  20. 최석재, 권오병. 2014.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한국어 SentiWordNet 개발 방안 연구 : 분노 감정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지, 19(4): 1-19.(Sukjae Choi, Ohbyung Kwon. 2014. "The Study of Developing Korean Senti Word Net for Big Data Analytics - Focusing on Anger Emoti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19(4): 1-19.) 

  21. 최홍구, 황인준. 2012. 트위터 문서 분석을 통한 감정 기반의 음악 추천 시스템. 정보과학회논문지: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18(11): 762-767.(Hong-gu Choi, Eenjun Hwang. 2012. "Emotion-based Music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witter Document Analysis."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8(11): 762-767.) 

  22. 황유선, 신우열, 김주환. 2010. 너의 표정을 통해 읽는 것은 나의 감정이다 : 감정의 변화가 상대방의 표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일반, 18(1): 247-271.(Yoosun Hwang, Woo-Yeol Shin, Joohan Kim. 2010. "What I Read on Your Face is My Emotion: The Effects of Emotion on Interpreting Others' Facial Expressio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18(1): 247-2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