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한제국시기 천문학 교과서 비교
COMPARISON OF ASTRONOMY TEXTBOOK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EMPIRE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1 no.2, 2016년, pp.21 - 34  

박은미 (한국천문연구원)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이용삼 (충북대학교 천문우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were two books on astronomy published in 1908. One is "Astronomy (天文學)" written by Jeong, Yeong-Taek (鄭永澤, 1874 ~ 1948), an educator. The other is "Introduction to Astronomy(텬문략 )" written by William Martyn Baird (裵偉良, 1862 ~ 1931), an American missionary. It was known that these two books w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이 개화기에 들어선 시기는? 1876년 개항과 더불어 서양 문물이 다량으로 유입됨에 따라 조선은 개화기에 들어섰다. 1885년에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배재학당을 필두로 이화학당, 경신학교 등이 세워졌고, 근대 학교 교육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교과서 출판이 절정에 이른 시기는 언제인가? 이 때문에 각 학교는 교과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필요했고, 과학교과서 또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1895년부터 1905년 사이에 학교에서 사용된 과학 교과서는 모두 일본에서 발행된 것이었는데, 1906년 이후 한국에서도 과학교과서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1907-08년에는 교과서 출판이 절정에 이르렀다(Park et al., 1998; Park, 2007).
많은 사립학교가 생겨남에 따라 무엇이 필요졌는가? 을사조약(1905년) 이후 교육을 통한 구국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 많은 사립학교들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각 학교는 교과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필요했고, 과학교과서 또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1895년부터 1905년 사이에 학교에서 사용된 과학 교과서는 모두 일본에서 발행된 것이었는데, 1906년 이후 한국에서도 과학교과서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1907-08년에는 교과서 출판이 절정에 이르렀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ird, R. H., 1968, William M. Baird of Korea : a profile, (Oakland, CA), p.81 

  2. Centennial Annals Compilation Committee of Korea University (CACCKU), 2008, Centennial Annals of Korea University I, Korea University Press (Seoul), pp.3-137 

  3. Centennial Annals Compilation Committee of Soongsil University (CACCSU), 1997, Centennial Annals of Soongsil University 1, Soongsil University Press (Seoul), pp.89-151 

  4. Chae, B., 2008, The Publishing and the Emergence of Nationalism in Moder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41, 7-40 

  5. Choi, C. K., 1981a, The Beginning of Modern Legal Culture in Korea (1895-1910), Journal of Korean Studies, 24, 52-88 

  6. Choi, C. K., 1981b, The Formation of a Legal Education and Jurist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1895-1910), Journal of The Law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22(1), 63-101 

  7. Hakyeo-team of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KCM), 2007, Dr. William M. Baird's Ministry in Korea and Soongsil, The Korean Christian Museum at Soongsil University (Seoul), pp.6-83 

  8. Han, K. M., 2015, A Study on Sangdong Youth School (1904-1913), Sogang Journal of Humanities (西江人文論叢), 42, 419-454 

  9. Jeon, S. W., 1976, A History of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Jeongeumsa (Seoul), p.107 

  10. Jeong, D. Y., 1981, The Yeong-Il Jeong Family Genealogy, The Center of the Yeong-Il Jeong Family Genealogy, Hoisangsa (回想社) (Seoul), pp.1-495(上), pp.416-420(下) 

  11. Kim, B. H., 1992, A Bibliographical Research on Textbooks of Missionary Schools in Korea during the Opening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 63-106 

  12. Kim, D. P., 1976, The Historical Changes of Korean Science Education, Review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 46-74 

  13. Kim, H. S., 1990, A Study on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in Modern Korea, Samyoengsa (Seoul), pp.203-209 

  14. Kim, I. S., 2004, William M. Baird of Korea, Qumran Publishing Company (Seoul), pp.16-307 

  15. Kim, K. M., 1999, A Study on the Educational Policy Changes around the Period of the Kabo Reforms, Ph.D. thesis, Yonsei University 

  16. Kwon, D. Y., 2011, Study on Activities of Publications by Boseong office (普成館),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44, 7-53 

  17. Lacaille, N., 1756, Histoire de l'Academie royale des sciences, p.590. 

  18. Lee, M. U., 1997, Earth Science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Modern Educational Period (1876-1910),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9. Lee, M. U., Hu, Y. S., & Park, K. S., 2003, Treatise on the Bureau of Astronomy (書雲觀志), Somyoeng Press (Seoul), pp.56-57 

  20. Lim, H. N., 1998, The Trends and Subjects on the Study of Korean Modern Teachers, History of Education, 8, 201-220 

  21. Oh, B. R., 1998, The Textbook 'Astronomy' Translated by Jeong, Yeong Taek,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23, 67-68 

  22. Oh, S. W., 2011, A Study of New Century Korean Hymnal, Biblehouse (Seoul), pp.521-528 

  23. Park, E. S., 1997, The significance of the educational history of Daeseong school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Education, 19, 179-202 

  24. Park, J. S., Chung, B. H., & Pak, S. J., 1998, A Study of School Science Textbooks which was used from 1906 to 1915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18(1), 93-108 

  25. Park, J. S. & Chung, B. H., 2000, The Backgrounds and Roles of the Science Educator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0(3), 443-454 

  26. Park, J. S., 2007, Science Textbooks of Korea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Studies Information (Paju), pp.10-305 

  27. Park, S. J., 2003, Social Evolutionary and Colonial Ideology, Seonin (Seoul), pp.192-196 

  28. Publication Committee of Muncheong-gong Descent from Yeong-Il Jeong Family (PCMDYJF) (迎日鄭氏文淸公派編纂委員會) 1984, The Genealogy of Muncheong-gong Descent from Yeong-Il Jeong Family (迎日鄭氏文淸公派續修世譜), The Clan Gathering of Muncheong-gong Descent from Yeong-Il Jeong Family (Seoul), p.35 

  29. Ro, I. W., 1985, A Study on Seoul Normal School in the Period of Great Han Empire, Ewha Sahak Yeongu, 16, 12-24 

  30. Rufus, W. C., 1936, Korean Astronomy, Chosen Christian College (Seoul), p.47 

  31.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NIKH), 1972, Korean Empire Officials Curriculum Vitae (大韓帝國官員履歷書), Tamgudang (Seoul), p.550 

  32.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NIKH), 2015, Database of Korean History (韓國史 Database), http://db.history.go.kr/ 

  33. The Korean Astronomy Society (KAS), 2006, Terminology of Astronom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3-308 

  34. Woo, W. J. & Ahn, H. S., 2006, Teacher Training System from the Hanseong Normal School to the College of Edu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7(4), 187-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