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안시 고유수용감각검사(Maindot 검사)를 사용한 간헐성 외사시안의 시기능 훈련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rmittent Exotropia Vision Training Using Proprioceptive Test (Maindot test)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3, 2016년, pp.243 - 251  

이창선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배연주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기홍 (대구가톨릭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양안시 고유수용감각검사(Maindot 검사)를 사용하여 평균 3년 동안의 추적관찰을 통한 간헐성 외사시의 시기능훈련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방법: 2005년에서 2009년의 기간동안 35명(남 18명, 여 17명)의 평균 연령 13.48(${\pm}2.45$)세의 교정시력 0.9 이상이고 조절기능이 정상이며, 양안단일시가 가능한 간헐성 외사시안을 대상으로 시기능 훈련 전, 후 그리고 3년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시기능 훈련 후, 변화된 편위량 및 폭주여력(복시점)값과 자각증상은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양안시 고유수용감각능력 변화에 따라 자각증상이 감소되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결론: 양안시 고유수용감각은 양안시 자각증상 예측 평가, 시기능 훈련 후 양안시 기능 예측 평가, 프리즘 처치와 같은 다양한 목적과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intermittent exotropia vision training through follow up of average 3 years using proprioceptive test (Maindot test). Methods: 35 people (18 men, 17 women) with mean age of 13.48 (${\pm}2.45$)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0.9 or hig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헐성 외사시안에 대하여 시기능 훈련으로 양안시 운동기능 및 감각기능과 양안시 고유수용감각 능력 변화를 평가하고 3년 동안의 추적관찰을 통해 시기능 훈련 효과와 효능에 대한 평가와 성공적 시기능 훈련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 그리고 간헐성 외사시안에 대한 고유수용감각 능력검사의 중요성 및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헐성 외사시란? 간헐성 외사시란, 높은 편위량에도 불구하고 정위안과 같은 양안주시가 가능한 안위를 말한다. 그러나 환자의 신체 및 정신적 상태 그리고 융합능력 부재 등의 영향으로 간헐적으로 사시안과 같은 편위상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간헐성 외사시의 발생 원인은? 간헐성 외사시의 발생 원인은 항상성 사시와 달리 해부학적 원인보다 신경학적 원인일 가능성이 높으며,[2] 우리나라의 발현빈도는 소아 사시환자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질환으로 서양보다 동양에서 그 빈도가 훨씬 높다고 보고된다.[3] 간헐성 외사시안의 자각증상은 양안주시가 가능하여 항상성 사시안에 비해 약시와 억제와 같은 자각증상 발현 빈도는 낮지만,[4-6] 장시간 양안주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서 안정피로, 간헐적 복시, 혼란시, 멍해짐, 눈부심, 두통과 같은 자각적 증상을 호소한다.
취학 이후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간헐성 외사시로 어떤 어려움을 호소하는가? [3] 간헐성 외사시안의 자각증상은 양안주시가 가능하여 항상성 사시안에 비해 약시와 억제와 같은 자각증상 발현 빈도는 낮지만,[4-6] 장시간 양안주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서 안정피로, 간헐적 복시, 혼란시, 멍해짐, 눈부심, 두통과 같은 자각적 증상을 호소한다. 특히 취학 이후 아동 및 청소년의 경우 짧은 주시시간에도 불구하고 양안 주시가 힘들어 멍해짐, 복시증상이 발생하여 학습능력저하 등 학습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Lee CS. A study on vision training for intermittent exotropia and binocular proprioception. PhD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Gyeongsan. 2014;1. 

  2. Yu HG, Lee CG. Anatomic aspects of intermittent exotropia in childhood. J Korean Ophthalmol Soc. 2001;42(10):1440-1444. 

  3. Kim CS, Lee CS, Lee CY, Ji NC. A clinical survey of strabismus in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1994;35(10):1253-1261. 

  4. Kim HY, Chang BL. Clinical evaluation of exotropia combined with amblyopia in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1996;37(4):662-668. 

  5. Beneish R, Flanders M. The role of stereopsis and early postoperative alignment in long-term surgical results of intermittent exotropia. Can J Ophthalmol. 1994;29(3):119-124. 

  6. Cooper J, Record CD. Suppression and retinal correspondence in intermittent exotropia. Br J Ophthalmol. 1986;70(9);673-676. 

  7. Park JS, Lee SJ, Roh YB, Chio HY. Monocular slanted lateral rectus recession for exotropia with convergence insufficiency. J Korean Ophthalmol Soc. 2007;48(8):1112-1118. 

  8. Lee SH, Lew H, Yun YS. Spontaneous regression of exodeviation in intermittent ex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6;47(8):1306-1310. 

  9. Cooper EL, Leyman IA. The manage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a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surgical and nonsurgical treatment. Am Orthopt J. 1977;27:61-67. 

  10. Coffey B, Wick B, Cotter S, Scharre J, Horner D. Treatment options in intermittent exotropia: a critical appraisal. Optom Vis Sci. 1992;69(5):386-404. 

  11. Cooper J, Medow N. Intermittent exotropia: Basic and divergence excess type. Bin Vis Eye Mus Surg Qtly. 1993;8(3):185-216. 

  12. Lee CS, Kim KH. A case study of the effects of vision therapy on a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 before and after surgical correc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1):127-131. 

  13. Lee CS, Kim JK, Shin JH, Kim DN, Lee HM, Kim KH. The change in binocular function and sensory anomaly after vision training on intermittent exotropia and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patients after surgical correction.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1;16(3):345-350. 

  14. Press LJ. Applied concepts in vision therapy, 1st Ed. Optometric Extension Program Foundation, 2008;9-20. 

  15. Mitchell S, Bruce W.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121-140. 

  16. Ficarra AP, Berman J, Rosenfield M, Portello JK. Vision training: predictive factors for success in visual therapy for patients with convergence excess. J Optom Vis Dev. 1996;27(4):213-219. 

  17. Moore S. Orthoptic treatment for intermittent exotropia. Am Orthopt J. 1963;13:14-20. 

  18. Lee CS, Bae YJ, Sung DY, Kim KH. The suitability study of Maindot test for the level evaluation of proprioceptive sense about extraocular muscle. Korean J Vis Sci. 2015;17(3):321-332. 

  19. Mitchell S, Bruce W. Clinical management of binocular vision, 2n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147-163. 

  20. Lee CS, Park JE. Fusion training device and training method of it. Korea Patent 10-2007-0105595, 2007. 

  21. Weissberg EM. Essentials of clinical binocular vision, 1st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2004;201-213. 

  22. Cuomo F, Birdzell MG, Zuckerman JD. The effect of degenerative arthritis and prosthetic arthroplasty on shoulder proprioception. J Shoulder Elbow Surg. 2005;14(4):345-348. 

  23. Melnyk M, Faist M, Gothner M, Claes L, Friemert B. Changes in stretch reflex excitability are related to "giving way" symptoms in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J Neurophysiol. 2007;97(1):474-480. 

  24. Watson AW. Sports injuries during one academic year in 6799 Irish school children. Am J Sports Med. 1984;12(1):65-71. 

  25. Jerosch J, Bischof M. The effect of proprioception on functional stability of the upper ankle joint with special reference to stabilizing aids. Sportverletz Sprtschaden. 1994;8(3):111-121. 

  26. Lundy-Ekman L. Neuroscience: Fundamentals for rehabilitation, 2n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2. 

  27. Pincivero DM, Heller BM, Hou SI. The effects of ACL injury on quadriceps and hamstring torque, work and power. J Sports Sci. 2002;20(9):689-696. 

  28. Bosco G, Poppele RE. Proprioception from a spinocerebellar perspective. Physiol Rev. 2001;81(2):539-568. 

  29. Kang JH, Bang HS, Kim JS. Review of the changes of proprioceptive sensory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Propri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2007;5(1):19-28. 

  30. Riemann BL, Lephart SM. The sensorimotor system, Part II: The role of proprioception in motor control and functional joint stability. J Athl Train. 2002;37(1):80-84. 

  31. Hulliger M. The mammalian muscle spindle and its central control.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984;101:1-110. 

  32. Prochazka A. Propriocetive feedback and movement regulation. Compr Physiol. 2011:89-127. doi:10.1002/cphy.cp1201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