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합면의 해부학적 형태와 교합만곡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mandibular occlusal morphology and occlusal curvature 원문보기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38 no.3, 2016년, pp.217 - 224  

남신은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이희경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generate 3-D occlusal curvatures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lusal curvatures and mandibular occlusal morphology factors. Methods: Mandibular dental casts from 25 young adult Korean were scanned as a virtual dental models with a 3-D scanner(Scanner S60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하악 치열의 3차원적 형태를 고려한 교합만곡과 몬슨 구를 재현 및 분석하고 하악 교합면의 해부학적 형태 요인과 교합만곡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합만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스피만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하악 치열의수평적·수직적 관계(Braun et al, 1996; Baydas et al,2004) 및 하악 치열의 크기(Germane et al, 1992; Balridge, 1969), 하악 전치부의 전방경사(Balridge,1996; Alqabandi et al, 1999), 두개안면부의 형태 등에 대한 보고가 있었으며(Orthlied, 1997; Farella et al,2002; Choen et al, 2008), 윌슨만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하악 좌·우측 구치부의 협측 경사도와 설측 경사도가 보고된 바 있다(Wilson, 1911). 몬슨 구의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하악 치열의 수평적·수직적 관계 및 하악 치열의 크기(Kagaya et al,2009), 하악 구치부의 협설 교두 경사각(남신은과 이승표, 2013)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교합만곡은 주로 어떠한 방법으로 측정되었는가? 교합만곡에 대한 연구는 치열이 이루는 곡선(curve)이라는 정의에도 불구하고 주로 교합평면에서 각 구치부 교두정을 향한 최단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Cheon et al, 2008). 최근 Nam et al(2013)은 최소 자승법(least-squares algorithm)에 입각한 근사 구(fitted sphere)를 생성하여 과거 개념적으로만 기술되었던 몬슨 구를 실제(real)로 재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바 있다.
교합만곡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교합만곡에는 시상면에서의 전후방만곡인 스피만곡(Curve of Spee)과 전두면에서의 측방만곡인 윌슨만곡(Curve of Wilson)이 있다. 스피만곡은 하악의 전방운동시 적절한 전방유도를 부여하여 구치부가 이개되도록 해주며(Spee, 1890), 윌슨만곡은 측방운동 시 구치부의 교합간섭을 방지해 준다(Wilson, 1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여진, 허진경, 계기성. Broadrick occlusal plane analyzer를 이용한 심한 마모환자의 완전구강회복. 구강생물학회지, 28(3), 187-200, 2004. 

  2. 남신은, 이승표. 삼차원 재구성법을 이용한 몬슨 구와 하알 치열궁의 형태 및 교두 경사각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기재학회지, 40(3), 195-204, 2013. 

  3. 최아영, 김정선, 계기성. 악태모형과 측모두부 계측 방사선 사진상 스피만곡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 치과보철학회지, 36(2), 323-35, 1998. 

  4. Alqabandi AK, Sadowsky, Begole EA. A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rectangular and round arch wires in leveling the curve of Spee.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6(5), 522-529, 1999. 

  5. Balridge DW. Leveling the curve of Spee: its effect on the mandibular arch length. J Pract Orthod, 3(1), 26-41, 1969. 

  6. Baydas B, Yavuz I, Atasaral N, Ceylan I, Dagsuyu IM. Investigation of the changes in the positions of upper and lower incisors, overjet, overbite, and irregularity index in subjects with different depths of curve of Spee. Angle Orthod, 74(3), 349-355, 2004. 

  7. Bonwill WGA. The geometrical and mechanical laws of the articulation of the human teeth: the anatomical articulator. In: F L, editor. The American system of dentistry. Philadelphia, Lea Brothers, 486-498, 1885. 

  8. Braun S, Hnat WP, Johnson BE. The curve of Spee revisited.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0(2), 206-210, 1996. 

  9. Cheon SH, Park YH, Paik KS, Ahn SJ, Hayashi K, Yi WJ, Lee SP. Relationship between the curve of Spee and dentofacial morphology evaluated with a 3-dimensional reconstruction method in Korean adul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33(5), 640e7-14, 2008. 

  10. Farella M, Michelotti A, Martina R. The curve of Spee and craniofaical morpholog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ur J Oral Sci, 110(4), 277-281, 2002. 

  11. Ferrario VF, Sforza C, Poggio CE, Serrao G, Colombo A. Three-dimensional dental arch curvature in human adolescents and adul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15(4), 401-405, 1999. 

  12. Germane N, Staggers JA, Rubenstein L, Revere JT. Arch length considerations due to the curve of Spee: a mathematical model.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02(3), 251-255, 1992. 

  13. Ilknur V, Mehmet AO, Tancan U. Curve of Spee and its relationship to vertical eruption of teeth among different malocclusion group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47(3), 305-12, 2015. 

  14. Kagaya K, Minami I, Nakamura T, Sato M, Ueno T, Igarashi Y.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occlusal curvature in healthy Japanese young adults. J Oral Rehabil, 36(4), 257-263, 2009. 

  15. Lee SP, Nam SE, Lee YM, Park YS, Hayashi K, Lee JB. The development of quantitative methods using virtual models for the measurement of tooth wear. Clinical Anatomy, 25(3), 347-358, 2012. 

  16. Lynch CD, McConnell RJ. Prosthodontic management of the curve of Spee: use of the Broadrick flag. J Prosthet Dent, 87(6), 593-597, 2002. 

  17. Monson GS. Occlusion as applied to crown and bridgework. J Nat Dent Assoc, 7(5), 399-413, 1920. 

  18. Nam SE, Park YS, Lee W, Ahn SJ, Lee SP. Making three-dimensional Monson's sphere using virtual dental models. J Dent, 41(4), 336-344, 2013. 

  19. Orthlied JD. The curve of Spee: understanding the sagittal organization of mandibular teeth. Cranio, 15(4), 333-340, 1997. 

  20. Spee FG. Die Verschiebungsbahn des Unterkiefers am Schadel. Archives fur Anatomie und Physiologie, 16, 285-294, 1890. 

  21. Wilson GH. A manual of dental prosthetics. Philadelphia, Lea & Febiger, 22-37, 19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