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엘니뇨 발생연도의 우리나라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
Some Meteorological Anomal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Rice Yield for El Niño Year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8 no.3, 2016년, pp.143 - 150  

심교문 (국립농업과학원) ,  정명표 (국립농업과학원) ,  김용석 (국립농업과학원) ,  최인태 (국립농업과학원) ,  김호정 (국립농업과학원) ,  강기경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n=14)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은 $466.3kg\;10a^{-1}$으로 미발생한 해(n=16)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 $476.5kg\;10a^{-1}$ 보다 단위면적당 10.2kg 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215, p=0.234). 또한, 엘니뇨 종료해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이 엘니뇨 시작해와 엘니뇨 미발생해의 쌀 생산량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2.355, p=0.114). 엘니뇨 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는 0.57회/년으로 엘니뇨 미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3회/년) 보다 다소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엘니뇨 발생해를 시작해와 종료해로 구분하여 이상기상 발생횟수를 조사하면, 엘니뇨 종료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가 0.71회/년으로 엘니뇨 시작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43회/년)와, 엘니뇨 미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3회/년)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df=2, f=0.321, p=0.727).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ice yield and abnormal meteorological features for El $Ni{\tilde{n}}o$ years (with more than 1.0 Oceanic $Ni{\tilde{n}}o$ Index) since 1980 in South Korea. The national averaged rice yield of El $Ni{\tilde{n}}o$ y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엘니뇨가 우리나라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보고한 논문은 국내에서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엘니뇨의 영향을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특징은 어떠한가? 최근 발생한 2015-2016 엘니뇨는 1982-1983, 1997-1998 엘니뇨만큼 강하게 발달하였고 전세계적으로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는 2016년을 기상관측 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세계적인 엘니뇨의 영향을 분석한 Ropelewski and Halpert(1987)와 Halpert and Ropelowski (1992)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겨울철의 온도가 높은 경향을 보이나 여름철에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일본의 경우 장마 종료가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여름철 기온은 낮아지고, 반면에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Liu and Ding (1992)는 중국에서도 엘니뇨 발생 여부가 여름철 강수량의 장기 예측에 중요한 변수라고 지적하였고, Kwon et al.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무엇이 유발되었는가? 1750년 이래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의 급격한 증가는 온실효과를 강화시켜 지구 온난화 문제를 유발하였고, 이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의심되고 있는 빈번한 악기상 그리고 강수대의 변화와 해수면의 상승 등은 인류에게 생존 조건의 악화에 대한 경각심을 주고 있다 (IPCC, 2007; 2014).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우리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가져다 주는 현상으로는 적도 태평양에서 나타나는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1980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이상기상 특징과 쌀 수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n=14)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은 466.3kg 10a-1으로 미발생한 해(n=16)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 476.5kg 10a-1 보다 단위면적당 10.2kg 적었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t=1.215, p=0.234). 또한, 엘니뇨 종료해의 전국 평균 쌀 생산량이 엘니뇨 시작해와 엘니뇨 미발생해의 쌀 생산량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2.355, p=0.114). 엘니뇨 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는 0.57회/년으로 엘니뇨 미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3회/년) 보다 다소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엘니뇨 발생해를 시작해와 종료 해로 구분하여 이상기상 발생횟수를 조사하면, 엘니뇨 종료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가 0.71회/년으로 엘니뇨 시작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43회/년)와, 엘니뇨 미 발생해의 이상기상 발생횟수(0.63회/년) 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df=2, f=0.321, p=0.7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alpert, M. S. and C. F. Ropelewski, 1992: Surface temperatur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 Journal of Climate 5, 577-593. 

  2.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K. Pachauri and L.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pp. 

  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II and I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Pachauri, R.K and Reisinger, A.(Eds.)]. IPCC, Geneva, Switzerland, 104pp. 

  4. KMA, 2016: 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 El Nino status and outlook ((Press release (No. 3972)). (in Korean) 

  5. KOSIS, 2016: http://kosis.kr. (in Korean) 

  6. Kwon, W. T., S. E. Hwang, and M. Y. Park, 1997: The trend of climate variability in El Nino years of South Korea. Proceeding of automn conference of Korean Meteorology Society, 182-184. (in Korean) 

  7. NOAA, 2016: http://www.cpc.ncep.noaa.gov/products/analysis_monitoring/ensosstuff/ensoyears_stml 

  8. NCDSS, 2016: http://sts.kma.go.kr. (in Korean) 

  9. Ropelewski, C. F. and M. S. Halpert, 1987: Global and regional scale precipit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Monthly Weather Review 115, 1606-1626. 

  10. Latif, M., A. Sterl, E. Maier-Reimer, and M. M. Junge, 1993a: Climate variability in a coupled GCM. Part I: The Tropical Pacific, Journal of Climate 6, 5-20. 

  11. Latif, M., A. Sterl, E. Maier-Reimer, and M. M. Junge, 1993b: Structure and predictability of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phenomenon in a coupled ocean-atmosphere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Climate 6, 21-50. 

  12. Lau, N. C., S. G. H. Philander, and M. J. Nath, 1992: Simulation of ENSO-like phenomena with a low-resolution coupled GCM of the global ocean and atmosphere. Journal of Climate 5, 284-307. 

  13. Lee, D. R., 1999: Relationship between El Nino/Southern Oscillation and drought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2(2), 111-120. 

  14. Liu, Y., and Y. Ding, 1992: Influence of El Nino on weather and climate in China. Acta Meteorologica Sinica 6(1), 117-127. 

  15. Neelin, J. D., 1990: A hybrid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for El Nino studies.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47(5), 674-693. 

  16. Shim, K. M., Y. S. Kim, M. P. Jung, I. T. Choi, and S. H. Min, 2014: Agro-climatic z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of abnormal duration of sunshin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logy 16(1), 8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him, K. M., Y. S. Kim, M. P. Jung, S. C. Cheol, S. H. Min, and K. H. So, 2013: Agro-climatic zonal characteristics of the frequency of abnormal air temperature occurrence in South Korea. Climate Change Research 4(2), 189-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