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자난초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동정
Notes on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s of Oreorchis paten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4 no.3, 2016년, pp.184 - 187  

이봉형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김동여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박혁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엄안흠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함백산에서 감자난초(Oreorchis patens)의 뿌리를 채집하여 내생균을 순수분리하였고, 분리된 균주의 형태학적 특징 및 분생포자 등을 관찰하였다. 또한 진균 특이적 primer인 ITS1F와 ITS4를 이용하여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primer LR0R과 LR16을 이용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하여 분자적으로 균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Thelonectria veuillotiana, Phialocephala humicola 등의 2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동정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dophytic fungi were isolated from surface-sterilized roots of a species of orchid, Oreorchis patens, in Korea.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large subunit (LSU) of rDNA regions. Two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진균 특이적 primer인 ITS1F와 ITS4를 이용하여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primer LR0R과 LR16을 이용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하여 분자적으로 균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Thelonectria veuillotiana, Phialocephala humicola 등의 2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을 동정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 다.
  • 최근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과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군집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기도 하였으나[8], 희귀 난초에 공생하는 내생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감자난초(Oreorchis patens)에서 분리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감자난초의 뿌리에서 내생균을 분리하던 도중 국내 미기록으로 확인된 2종의 곰팡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난초 뿌리에 공생하는 내생균류는 주로 어떤 속의 토양 균류인가? 내생균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나, 뿌리에서 분리한 Fusarium 속의 내생균이 난의 종자 발아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은 100여년 전부터 알려져 왔다. 또한 난초 뿌리에 공생하는 내생균류는 주로 Trichoderma, Gliocladium, Chaetomium속으로 토양 균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난초과 식물에게 약한 병원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항생제와 같은 2차 대사산물을 만들어 숙주를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기도 한다[7]. 최근 광릉요강꽃(Cypripedium japonicum)과 복주머니란(Cypripedium macranthum) 뿌리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군집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기도 하였으나[8], 희귀 난초에 공생하는 내생균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감자난초(Oreorchis patens)에서 분리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생균이란? 난균근균은 뿌리 피층에 peloton이라는 구조를 형성하며[5], 무기염류의 흡수 촉진과 종자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반면 내생균은 식물 뿌리조직 내에 살고 있으나 병을 일으키지 않는 균류를 말한다. 내생균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나, 뿌리에서 분리한 Fusarium 속의 내생균이 난의 종자 발아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은 100여년 전부터 알려져 왔다.
난초의 뿌리에 존재하는 균류는 무엇으로 나뉠 수 있는가? 난 뿌리에 존재하는 균류는 균근성 균(orchid mycorrhizal fungi)과 비균근성인 내생균(endophytes)으로 나눌 수 있다[4]. 난균근균은 뿌리 피층에 peloton이라는 구조를 형성하며[5], 무기염류의 흡수 촉진과 종자발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ones DL. A complete guide to native orchids of Australia, including the island territories. 2nd ed. London: New Holland; 2006. 

  2. Kim S, Lee K. The orchid in Korea. Seoul: Kyohaksa; 1997. 

  3. Arnold AE, Maynard Z, Gilbert GS. Fungal endophytes in dicotyledonous neotropical trees: patterns of abundance and diversity. Mycol Res 2001;105:1502-7. 

  4. Currah RS, Zelmer CD, Hambleton S, Richardson KA. Fungi from orchid mycorrhizas. In: Arditti J, Pridgeon AM, editors. Orchid Biology: reviews and perspectives, VII.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1997. p. 117-70. 

  5. Rasmussen HN. Terrestrial orchids: from seed to mycotrophic pla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6. Dearnaley JD. Further advances in orchid mycorrhizal research. Mycorrhiza 2007;17:475-86. 

  7. Domsch KH, Gams W, Anderson TH. Compendium of soil fungi. London: Academic Press; 1980. 

  8. Lee BH, Han HK, Kwon HJ, Eom AH.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roots of Cypripedium japonicum and C. macranthum in Korea. Kor J Mycol 2015;43:20-5. 

  9. Richardson KA, Currah RS, Hambleton S. Basidiomycetous endophytes from the roots of neotropical epiphytic Orchidaceae. Lindleyana 1993;8:127-37. 

  10. Gardes M, Bruns TD. ITS primers with enhanced specificity for basidiomycetes-application to the identification of mycorrhizae and rusts. Mol Ecol 1993;2:113-8. 

  11. Vilgalys R, Hester M. Rapid genetic identification and mapping of enzymatically amplified ribosomal DNA from several Cryptococcus species. J Bacteriol 1990;172:4238-46. 

  12.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13. Salgado-Salazar C, Rossman A, Samuels GJ, Capdet M, Chaverri P. Multigen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Thelonectria coronata and T. veuillotiana species complexes. Mycologia 2012;104:1325-50. 

  14. Schulz B, Boyle C, Draeger S, Rommert AK, Krohn K. Endophytic fungi: a source of novel biologically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Mycol Res 2002;106:996-10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