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산-울산 단층계와 후타가와-히나구 단층계의 비교를 통한 지진발생특성 연구
Research on Earthquake Occurrenc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Yangsan-ulsan Fault System and the Futagawa-Hinagu Fault System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no.3, 2016년, pp.195 - 209  

이진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권세현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영석 (부경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생 응력장 하에서 주향이동단층계의 기하적인 형태는 단층의 재활 및 이에 수반된 지진의 전파와 지표파괴의 특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2016년 4월에 발생한 구마모토지진은 동-서 방향으로 작용하는 최대수평주응력 하에서 북북동 방향의 히나구 단층이 동북동 내지 북동방향의 후타가와 단층에 기하학적으로 ${\lambda}$형태를 이루며 접하는 후타가와-히나구 단층대의 우수향 재활에 의한 것으로 해석된다. 히나구 단층의 북동측 끝부분에서 구마모토 지진의 전진($M_w$ 6.1)이 발생한 이후, 본진($M_w$ 7.1)이 두 단층의 연결부에서 발생하였다. 본진에 연이어 발생한 여진은 후타가와 단층을 따라 북동방향으로 전파되어 아소산 지역에서 종결된 특징을 보인다. 구마모토 지진을 유발시킨 단층들이 이루는 기하적인 형태는 한반도 남동부지역에 발달하는 대표적인 대규모 활성단층으로 인식되고 있는 양산-울산 단층계와 매우 흡사하고 변형율이 차이가 난다. 양산-울산 단층계을 따라 발달하는 제4기 단층들의 연대분포는 양산단층의 북쪽 분절과 울산단층 일대에서 발달하는 제4기 단층들이 양산단층의 남쪽분절에 발달하는 제4기 단층들보다 상대적으로 더 젊은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제4기 단층의 연대분포는 쿨룸 응력 모델링을 이용한 기존 연구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따라서 현생응력조건 하에서 양산-울산단층계 일대의 지진 활성도는 양산단층의 중부 및 북쪽 분절과 울산단층에서 상대적으로 활발할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면밀한 지진재해와 고지진학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derstanding of geometric complexity of strike-slip Fault system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control fault reactivation and surface rupture propagation under the regional stress regime. The Kumamoto earthquake was caused by dextral reactivation of the Futagawa-Hinagu Fault system under th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이 이들이 접하는 경주 인근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이 단층계의 진화를 이해하고 앞으로 이 지역의 지진발생특성을 이해하는데 경주 지역이 매우 중요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우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기하학적, 운동학적으로 유사성을 보이는 후타가와-히나구 단층계의 지표파괴 및 지진전파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양산-울산 단층계에서의 지진발달 및 지진재해 특성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는 구마모토 지진의 지진전파 특성에 대한 기존 자료들(G-EVER, 2016; GSJ, 2016; Okumura, K.
  • 6). 이러한 연구들은 주향이동단층의 전파특성이 주단층의 한쪽 말단부에 위치한 진앙으로 부터 시작되어 다른 말단부로 전파하여 여진이 비대칭적으로 분포하고 이들이 단층손상대에서 군집화되는 현상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단층을 경계로 주향이동단층 양 측 지괴의 변형특성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 열도와 한반도 사이의 지진발생 매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한반도는 지체구조적으로 태평양판뿐만 아니라 필리핀판과 인도판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것으로 해석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판경계와는 상당한 거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들 지진과 우리나라의 지진을 직접 연결하여 해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추가적 인 자료가 필요하다. 그러나 만약 일본열도의 대지진과 한반도 내 지진활동에서 시공간적 관계가 존재한다면, 한반도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구마모토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은 한반도 남동부 지역에서의 응력 변화 가능성과 활성단층의 재활 가능성 연구에 자극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4월 16일 발생한 지진은? 2016년 4월 16일 일본 규슈 지역을 강타한 규모 7.1의 구마모토 지진 발생 이후, 2016년 7월 5일에는 울산 앞바다 52 km 해상에서 규모 5.0의 울산지진이 발생하였고, 9월 12일에는 규모 5.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것은? 특히, 구마모토 지진은 후타가와(Futagawa)-히나구 (Hinagu) 단층대의 우수향 재활에 의한 것으로 해석 되고 있으며, 이들 단층들은 동북동 방향의 후타가와 단층이 북북동 방향의 히나구단층에 서로 사교하며 접하는 λ-단층과 유사한 기하적인 형태를 가진다(Fig.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Chae, B.-G. and Chang, T.-W., 1994, Movement History of Yangsan Fault and its Related Fractures at Chongha-Yongdok Are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0, 379-3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ang, C.J. and Chang, T.-w., 1998, Movement history of the Yangsan Fault based on paleostress analysis. The Journal of the Engineering Geology, 8, 35-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ang, K.-H., Woo, B.-G., Lee, J.-H. Park, S.-O., and Yao, A., 1990, Cretaceous and Early Cenozoic stratigraphy and history of eastern Kyongsang Basins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6, 471-4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H.I., Oh, J.H., Shin, S.C., and Yang, M.Y., 1980, Geology and geochemistry of the Gyeongsang strata in Ulsan area.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Bulletin, 20, 33 p. 

  5. Choi, J.-H., Kim, J.W., Murray, A.S., Hong, D.G., Chang, H.W., and Cheong, C.-S., 2009, OSL dating of marine terrace sediments on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with implications for Quaternary tectonics, Quaternary International, 199, 3-14. 

  6. Choi, J.-H., Yang, S.-J., and Kim, Y.-S., 2009, Fault zone classifi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ern Yangsan fault in the Sangcheon-ri area,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 9-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J.-H., Yang, S.-J., Han, S.-R., and Kim, Y.-S., 2015, Fault zone evolution during Cenozoic tectonic inversion in SE Kore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98, 157-177. 

  8. Choi, P.-Y., Ryoo, C.-R., Kwon, S.-K., Chwae, U., Hwang, J.-H., Lee, S.R., and Lee, B.-J., 2002, Fault tectonic analysis of the Pohang-Ulsan area, SE Korea: Implications for active tectonic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33-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Choi, P.-Y., 2005. Geometric Analysis of the Quaternary Eupchon Fault: an Interpretation of Trench Section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1, 129-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hoi, P.-Y., Lee, H.-K., and Chwae, U., 2007, Tectonic 'aggression and retreat' in the Quaternary tectonics of souther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415-4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Choi, S.-J., Jeon, J.-S., Song, K.-Y., Kim, H.-C., Kim, Y.-H., Choi, P.-Y., Chwae, U.C., Han, J.-G., Ryoo, C.-R., Sun, C.-G., Jeon, M.S., Kim, G.-Y., Kim, Y.-B., Lee, H.-J., Shin, J.S., Lee, Y.-S., and Kee, W.-S., 2012, Active faults and seismic hazard map. NEMA, Seoul, 882 p. 

  12. Choi, S.-J., Jeon, J.-S., Choi, J.-H., Kim, B., Ryoo, C.-R., Hong, D.-G., and Chwae, U., 2014, Estimation of possible maximum earthquake magnitudes of Quaternary fault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Quaternary International, 344, 53-63. 

  13. Choi, W.-H., 2003, Neotectonics of the Gyeongju-Ulsan area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5. 

  14. DPRI, Kyoto University, 2016, http://wwwcatfish.dpri.kyotou.ac.jp/-goto/eq/20160414/report_en.html (April 4, 2016) 

  15. Du, Y. and Aydin, A., 1995, Shear fracture patterns and connectivity at geometric complexities along strike-slip faults. Journal of Geophygical Research, 100, 18093-18102. 

  16. G-EVER, 2016, http://g-ever.org/updates/?p214 (April 15, 2016). 

  17. GNS Science 2013. The Most Recent Aftershock Map, available at http://www.gns.cri.nz/Home/Our-Science/Natural-Hazards/Recent-Events/Canterbury-quake/Recent-aftershock-map (April 11, 2014). 

  18. GSI, 2016, http://www.gsi.go.jp/BOUSAI/H27-kumamotoearthquake-index.html (May 13, 2016). 

  19. GSJ, 2016, https://gbank.gsj.jp/geonavi/geonavi.php?lat32.92678&lon131.08112&z10&basemapGoogle_Terrain&layers&olactiveFaults,KumamotoQuake (August 11, 2016). 

  20. Han, S.-R., Park, J.Y., and Kim, Y.-S., 2009, Evolution modeling of the Yangsan-Ulsan fault system with stress chang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 361-3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Hong, T.-K., Lee, J., and Houng, S.E., 2015, Long-term evolution of intraplate seismicity in stress shadows after a megathrust. Physics of the Earth and Planetary Interiors, 245, 59-70. 

  22. Ikeda, Y., Chida, N., Nakata, T., Kaneda, H., Tajikara, M., and Takazawa, S., 2001, Active Faults in Urban Area Map [Kumamoto], GSI, Tech. Rep. D.1-No.368 p. 

  23. Jin, K. and Kim, Y.-S., 2010, Review and new interpretation for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1999 Chi-Chi earthquake faulting event. Island Arc, 19, 659-675. 

  24. Jin, K., Lee, M., Kim, Y.-S., and Choi, J.-H., 2011, Archaeoseismological studies on historical heritage sites in the Gyeongju area, SE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242, 158-170. 

  25. Jun, M. -S. and Jeon, J. S., 2010. Focal mechanism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Jigu-Mulli-wa-Mulli-Tamsa, 13, 198-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ee, W.-S., Kim, B.C., Hwang, J.H., Song, K.-Y., and Kihm, Y.-H., 2007,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Quaternary reverse faulting on the Eupcheon Fault,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3, 311-3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Kee, W.-S., Kim, Y.-H., Lee, H.-J., Choi, D.-L., Kim, B.-C., Song, K.-Y., Koh, H.-J., Lee, S.R., Gwang, Y.Y., Hwang, S.-H., Park, K.-G., and Sung, N.-H., 2009, South eastern fault variable research and DB Construction, KIGAM, Daejeon, 327 p. 

  28. KIGAM, 2014, Report on focal mechanism in 23rd-25th, September, 2014, Earthquake research centr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unpublished. 

  29. KIGAM, 2016, Report on focal mechanism in 5th, July, 2016, Earthquake research centr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unpublished. 

  30. Kim, K.Y., Kim, D.H., and Lee, S.Y., 2008, Near-surface geophysical studies in the Ulsan Fault Zone of Korea. Exploration Geophysics, 39, 78-84. 

  31. Kim, S.W., 1973, A study on the Terraces along the southeastern coast (Bangeojin-Pohang)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9, 47-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Kim, Y.-S., Andrews, J.R., and Sanderson, D.J., 2000, Damage zones around strike-slip fault systems and strike-slip fault evolution, Crackington Haven, southwest England. Geosciences Journal, 4, 53-72. 

  33. Kim, Y.-S., Park, J.Y., Kim, J.H., Shin, H.C., and Sanderson, D.J., 2004, Thrust geometries in unconsolidated Quaternary sediments and evolution of the Eupchon Fault, southeast Korea. The Isand Arc, 13, 403-415. 

  34. Kim, Y.-S. and Jin, K.M., 2006, Estimated earthquake magnitude from the Yugye Fault displacement on a trench section in Pohang,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79-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Kim, Y.-S., Kihm, J.-H., and Jin, K.M., 2011, Interpretation of the rupture history of a low slip-rate active fault by analysis of progressive displacement accumulation: an example from the Quaternary Eupcheon Fault, SE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London, 168, 273-288. 

  36. Kim, Y.-S. and Sanderson, D.J., 2008, Earthquake and fault propagation, displacement and damage zones, Structural Geology: New research (eds. Landowe, S.J., Hammler, G.M.,), Nova science publishers, 99-117. 

  37. Kyung, J.B. and Chang, T.W., 2001, The lastest fault movement on the northen Yangsan Fault zone around the Yugye-ri area,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7, 563-5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Kyung, J.B., 2003, Paleoseismology of the Yangsan fault,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nals of Geophysics, 46, 983-996. 

  39. Kyung, J.B. and Lee, K.H., 2006, Active fault study of the Yangsan fault system and Ulsan fault system,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pecial Volume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9, 219-2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Lee, H.K. and Schwarcz, H.P., 2001, ESR dating of the subsidiary faults in the Yangsan fault system,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0, 999-1003. 

  41. Lee, H.K. and Yang, J.S., 2003, ESR dating of the Wangsan fault, South Korea. Quaternary Science Reviews 22, 1339-1343. 

  42. Lee, J.H., Rezaei, S., Hong, Y.J., Choi, J.-H., Choi, J.-H., Choi, W.-H., Rhee, K.-W., and Kim, Y.-S., 2015, Quaternary fault analysis through a trench investigation on the northern extension of the Yangsan fault at Dangu-ri, Gyungju-si, Gyeongsangbuk-do.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 471-4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Lee, K.H. and Na, S.H., 1983, A study of microearthquake activity of the Yangsan faul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9, 127-1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Nakata, T. and T. Imaizumi eds., 2002, Digital Active Fault Map of Japan, University of Tokyo Press, 1 DVD and 68 p. 

  45. Okada, A., Takemura, K., Watanabe, M., Suzuki, Y., Kyung, J.B., Chae, Y.H., Taniguchi, K., Ishiyama, T., Kawabata, D., Kaneda, H., and Naruse, T., 1999, Trench excavation survey across the Ulsan (active) fault at Kalgokl-ri, Kyongju City, Southeast of Korea. Jour. Geography, 108, 276-288. 

  46. Okumura, K., 2016, Earthquake Geology of the April 14 and 16, 2016 Kumamoto Earthquakes. Proceeding of the 7th International INQUA Meeting on Paleoseismology, Active Tectonics and Archeoseismology, 191-194. 

  47. O'Rourke, T.D., Jeon, S.-S., Toprak, S., Cubrinovski, M., Hughes, M., Ballegooy, S.V., and Bouziou, D, 2014, Earthquake respon of underground pipeline networks in Christchurch, NZ. Earthquake Spectra, 30, 183-204. 

  48. Park, J.-Y., 2004,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ertiary basin in Gyeongju region, Korea. Ms.C.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5p. 

  49. Research Group for Active Faults of Japan, 1995, Active Faults of Japan. University of Tokyo Press, 340 p. 

  50. Ryoo, C.-R., Lee, B.J., Son, M., Lee, Y.H., Choi, S.-J., and Chwae, W.C., 2002, Quaternary faults in Gaegok-ri, Oedong-eup, Gyeongju,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8, 309-3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1. Sibson, R.H., 1989, Earthquake faulting as a structural proces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11, 1-14. 

  52. Woody, E., Peter, Y., Koji, O., Sam, S., and Takanao, N., 2016, The Kumamoto earthquake investigation: a preliminary report. 87P. 

  53. Yang, J.S., 2006, Quaternary fault in southeastern peninsula, Ph.D graduation thesis, G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378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