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민가와 사찰에 나타난 꽃담의 형태와 상징성 연구 - 전라북도 문화재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the Shape and Symbolism of Flowered-Wall in Tradition Private Houses and Temples - Focusing on the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of Jeollabuk-do Province -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3, 2016년, pp.18 - 27  

고유라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초록

건물의 벽이나 담에 여러 가지 문양을 넣은 담장을 '꽃담' 또는 '화초장(花草墻), 화문장(花紋牆)'이라고 한다. 꽃담을 통해서 외적으로는 소유자의 권위, 가치관 등을 짐작할 수 있고, 내적으로는 집안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상징적 의미를 추적할 수 있기도 하다. 그동안 꽃담 관련 연구의 경우 궁궐은 건축, 원예, 미술 디자인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진행된 반면 지역성과 관련한 전통민가와 사찰 관련 연구는 조경분야에서 전무한 상태이다. 이러한 관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국가 및 도지정 문화재인 전라북도 소재 전통민가와 사찰의 꽃담 사례를 조경적 관점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전수 조사한 결과 꽃담이 도입된 전통민가 9개소와 사찰 7개소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즉, 전라북도에 산재하는 문화재 16개소를 중심으로 전통민가와 사찰에 나타나는 꽃담의 형태와 기능, 재료, 문양의 상징적 의미를 추적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꽃담은 위치와 형태에 따라 공간기능과 성격이 차별화 되며, 문양의 경우 담장은 물론 합각, 고막이, 굴뚝 등에 다양하게 나타난다. 민가에서는 식물은 물론 문자문양까지 다양한 반면 사찰에서는 불교의 교리와 신앙 등의 의미를 지닌 신앙관련 문양이 주로 나타난다. 상징적으로 민가의 경우 가문과 자손 번영, 벽사, 장수, 길수(吉數) 등이 나타나며, 사찰에서는 불성(佛性)과 극락왕생(極樂往生)을 기원하고 연꽃의 속성을 강조하는 등 의미적 차별성이 표출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향토 조경문화의 올바른 조명, 현대 공간에 꽃담을 모티브로 한 한국적 정취의 표출 가능성, 그리고 꽃담에 대한 인식 제고와 계승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등과 같은 연구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flowered-wall,' which are also called a 'flower plant patterned wall,' or a 'flower patterned wall,' is a wall of a building or a fence with various patterns on it. A flowered-wall can be an external mean to look into the owner's authority and values while internally it possesses the symbolic m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라북도라고 하는 한정된 지역의 전통민가와 사찰의 꽃담에 대한 함축된 의미와 상징성을 추적한 결과이다. 따라서 후속연구를 통하여 전국적 사례 대상지의 조사,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전통공간에 도입된 꽃담의 보편성과 차별성, 그리고 특수성 등의 도출이 후속 연구과제로 남는다.
  •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등록된 국가 및 시·도지정문화재 중 문화재청 자료에 근거하여 주거 생활로 유형 분류된 민가주택과 문화재가 있는 사찰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총 824개 지정문화재 중 꽃담소지재가 파악된 민가 9개소와 사찰 7개소를 중심으로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전라북도라고 하는 특정 지역 전통민가와 사찰의 꽃담에 대한 의미와 상징성 등을 추적하여 종교적인 공간과 민가에 나타나는 보편성과 차별성을 추출코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 산재하는 문화재를 중심으로 전수조사하여, 꽃담에 대한 인식제고와 전통계승과 기초자료 제공 차원에서 전통민가와 사찰의 꽃담에서 나타나는 형태와 상징적 의미를 추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상류주택, 궁궐, 관아, 사찰 등에서는 돌, 벽돌, 환석기와 등을 쌓고 여러 문채를 구성·장식하였다. 궁궐에 사용되는 꽃담은 일반 양반가와 사찰에서 사용된 형식과 규모와 표현기법면에서 다른 양식을 보인다. 그러나 벽사나 신복, 개인의 소망을 담으며 바깥공간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의도는 일맥상통하다[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꽃담은 주로 어디에서 볼 수 있으며 어떤 의미와 상징성을 가지는가? 벽돌과 기와, 삼화토 등을 이용하여 각종 문양을 베풀어 쌓은 담장을 의미하는 ‘꽃담’은 우리나라 전통 시설요소의 대표적 사례로 밖으로는 집주인에 대한 권위, 성격 등을 짐작할 수 있고, 안으로는 집안에 대한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존재다. 굴뚝이나 합각, 담장, 고막이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식물, 동물, 문자, 기하학문양 등 각각의 의미와 상징성을 부여하고 있다. 현대에 와서도 꽃담에 나타나는 문양을 활용한 현대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나타나기도 하며 문양에 따라 자신의 부귀영화, 자손번영, 벽사기능 등을 상징하고 있기도 하다.
꽃담이 의미하는 것은? 벽돌과 기와, 삼화토 등을 이용하여 각종 문양을 베풀어 쌓은 담장을 의미하는 ‘꽃담’은 우리나라 전통 시설요소의 대표적 사례로 밖으로는 집주인에 대한 권위, 성격 등을 짐작할 수 있고, 안으로는 집안에 대한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존재다. 굴뚝이나 합각, 담장, 고막이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식물, 동물, 문자, 기하학문양 등 각각의 의미와 상징성을 부여하고 있다.
전통민가나 사찰에서 나타난 꽃담은 어떤 형식인가? 우리나라의 경우 궁궐뿐 아니라 전통민가나 사찰에서도 흙과 돌을 섞어 쌓아올린 꽃담이라고 하기에 다소 부족한 문양들이 경제적, 사회적 신분이 낮았던 서민들도 그들만의 수수한 감각으로 담장에 나름의 치장을 하였다[14]. 수많은 꽃담이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경영역에서 전통민가나 사찰에 나타나는 꽃담의 선행 연구사례를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oosan World Encyclopedia (斗山世界大百科事典). 

  2. Hong, Seung-jae(1976). Architectural Monuments of Korea. Gimundang 

  3. Sin, Yeong-hun(1990). Construction Ceramics (建築陶藝) with a sprig of Hanok. Gimundang. 

  4. Jo, Jeong-hyeon(1998). Flowered-Wall. Daewonsa. 

  5. Sin Yeong-hun(2004). Flowered-Wall jilbak and spirited the beautiful. Chosun Ilbo. 

  6. Iee, Jong-geun(2010). Former Residence of Korea Flowered-Wall. Tree of thought. pp.138-241. 

  7. You, Eun-mi and Hong Seung-jai(2006). The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Villages in Ham-Ra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Wealthy Farmhouse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1): 323-326. 

  8. Song, Hye-ryeon(2010). Applications Developed by Fashion Design Motif of Korea Flowered-Wall.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1). 

  9. Kim, Suzie and Park, Jae Yeon(2013). A Design Proposal on the Symbolism of a Traditional Flowered-Wall. Korea Science & Art Forum. 14: 46-60. 

  10. Heritage Journey with a Stor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p.71-81. 

  11. Gim, Ji-yeon(2000). Textile Design Studies Using Pattern Flower Wall. The University of Suwon. pp.3-13. 

  12. Jang, Kyung-won(2007). An Analysis of Shapes and Functions of the wall in Fraditional Villages Within Gyung-Buk Reg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8-16. 

  13. Go, Sa-ri(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eapot Design by Using the Flower Wall Patterns. Honam National University. pp.19-38. 

  14. An, Ju-hyeong(2011), The Research of Ideal Model in Our Old Architectual Wall : Main idea of Traditional Flowered-Wall, Hongik University. p.25. 

  15. Im, Do-yeol(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in the Traditional houses fenc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p.12-24. 

  16. http://www.wonsim.ne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