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심축 하중을 받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ressive Strength of Centrally-Loaded Steel Columns at Elevated Temperatures 원문보기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v.28 no.4, 2016년, pp.253 - 261  

윤종휘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치형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  윤성기 (부산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심축 하중을 받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를 해석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한요소 해석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연구를 대상으로 해석가정 및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고온상태 강재 기둥의 설계식을 제안하였으며, 해석결과 및 실험연구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AISC와 EC3 설계식보다 본 연구의 제안식이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compressive strength of centrally-loaded steel column at elevated temperature, new FE analysis techniques and assumptions of model were applied in this study. It also includes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studies, and a new design equation for centrally-loaded steel column at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를 해석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들[5],[6]보다 상대적 해석 정밀도가 높은 유한요소 해석모델과 기법을 사용하여 해석을 수행하며, 해석방법 및 해석결과를 기존 연구들과 비교·분석한다.
  • 하지만 실제 내화피복이 된 부재의 경우 열 유속이 매우 크게 낮아지고 강재의 열전도율 또한 높아 단면 상의 온도 구배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균일한 온도분포에서 하중을 증가시키는 단순한 응력 해석만을 실시한다.
  • 반면 Takagi 등의 연구는 쉘요소를 사용함으로써 필렛을 해석모델에서 제외하였으나 단면 전체를 모델링함으로써 국부변형에 대한 영향이 해석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솔리드요소를 사용하여 필렛과 단면 전체를 모델링한다.
  • 보다 상대적 해석 정밀도가 높은 유한요소 해석모델과 기법을 사용하여 해석을 수행하며, 해석방법 및 해석결과를 기존 연구들과 비교·분석한다. 또한 기존 연구들을 통해 제시된 EC3, AISC 설계식과 본 연구 압축강도 해석결과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확인하고 두 설계식 보다 정확한 압축강도식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온상태 강재 기둥의 압축강도를 해석하기 위하여 초기 잔류응력과 굽힘결함을 고려한 새로운 유한요소 해석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압축강도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열간압연 H형강을 대상으로 고온상태 강재기둥 압축강도를 해석한다. 열간압연 H형강은 생산과정에서 초기 잔류응력과 굽힘결함(out-of-straightness)을 가지며 이와 같은 초기 결함들은 기둥의 압축강도를 감소시킨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초기 잔류응력과 굽힘결함을 해석모델에 적용하여 고온상태 압축강도를 해석하며, 이 중 초기 잔류응력은 기존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ECCS 모델[8]을 따른다. ECCS 모델은 Fig. 1과 같이 H형강의 폭에 대한 높이 비 1.2를 경계로 최대 잔류응력 크기 Fr을 달리 가지며 플랜지와 웨브의 단면상 잔류응력 변화를 선형적으로 가정한다. 고온상태에서의 잔류응력은 강재온도별 응력-변형률 관계에 따라 해석된 결과를 사용한다.
  • 기둥길이 중앙부의 수직방향 처짐량인 굽힘결함은 기둥길이에 따라 일정한 곡률을 형성하며 기둥 중앙부에서 L/1000의 처짐량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굽힘결함은 압축강도를 해석하고자 하는 좌굴방향으로만 처짐량을 가지도록 모델링한다.
  • 첫 번째는 상온상태 초기 잔류응력 크기와 고온상태에서의 잔류응력 변화에 대한 가정 차이이다. 상온상태에서의 초기 잔류응력은 세 연구 모두 ECCS 모델 따르지만 Takagi 등의 연구에서는 최대 잔류응력 크기 Fr을 0.2Fy로 가정하였다. 또한 고온상태에서의 잔류응력은 항복강도 감소계수 ky(T)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실제 응력-변형률 관계에 따라 해석을 하면 강재온도에 따른 초기 잔류응력의 변화는 탄성계수 감소계수 kE(T)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 첫 번째는 상온상태 초기 잔류응력 크기와 고온상태에서의 잔류응력 변화에 대한 가정 차이이다. 상온상태에서의 초기 잔류응력은 세 연구 모두 ECCS 모델 따르지만 Takagi 등의 연구에서는 최대 잔류응력 크기 Fr을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를 직접 계산할 수 있는 대표적인 국외 설계기준은 무엇인가? 하지만 기둥의 경우 좌굴 거동 특성으로 급격한 구조물의 붕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강재 기둥의 내화성능은 가장 선행되어야 할 연구 대상이다.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를 직접 계산할 수 있는 국외 설계기준는 Eurocode 3[3](이하 EC3)와 ANSI/AISC 360[4](이하 AISC)가 대표적이다. 이 설계식들은 강재기둥의 결함조건을 반영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한 Franssen 등[5]과 Takagi 등[6]의 연구를 통해 각각 제안되었다.
중심축 하중을 받는 고온상태 강재기둥의 압축강도에 대한 본 연구와 기존의 다른 연구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첫 번째는 상온상태 초기 잔류응력 크기와 고온상태에서의 잔류응력 변화에 대한 가정 차이이다. 상온상태에서의 초기 잔류응력은 세 연구 모두 ECCS 모델 따르지만 Takagi 등의 연구에서는 최대 잔류응력 크기 Fr을 0.2Fy로 가정하였다. 또한 고온상태에서의 잔류응력은 항복강도 감소계수 ky(T) 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실제 응력-변형률 관계에 따라 해석을 하면 강재온도에 따른 초기 잔류응력의 변화는 탄성계수 감소계수 kE(T)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상온상태 초기 잔류응력 가정과 물 성치 감소계수 차이를 고려하면 해석가정의 차이로 인해 500°C에서 48.0%의 잔류응력 크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번째는 필렛의 구성과 요소 종류에 따른 차이이다. Franssen 등의 연구는 1/2 단면을 빔요소로 모델링하였기 때문에 국부변형이 해석에 반영되지 않는다. 반면 Takagi 등의 연구는 쉘요소를 사용함으로써 필렛을 해석모델에서 제외하였으나 단면 전체를 모델링함으로써 국부변형에 대한 영향이 해석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솔리드요소를 사용하여 필렛과 단면 전체를 모델링한다. 세 번째는 해석 단면의 차이이다. Franssen 등의 연구는 기성재 단면 대부분을 해석하였으며, Takagi 등의 연구는 단일 단면(W14×90)을 중심으로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Franssen 연구의 경우 빔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상대적 정확도가 떨어지고, Takagi 연구의 경우 폭에 대한 높이 비가 1에 가까운 단일 단면만을 해석하여 제안한 설계식이 편중될 가능성을 가진다.
대형 건축물에 발생한 화재의 특징은 무엇인가? 강구조 건축물의 고층화 및 대형화로 많은 거주자를 수용할 수 있는 건축물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대형 건축물에 발생한 화재는 일반 건축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인적·물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경제적 피해 수준 또한 높은 편이다[1]. 따라서 기존의 사양적 내화설계(prescriptive design) 보다 공학적이고 합리적인 내화설계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국외에서는 성능기반 내화설계 (performance-based design)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최승관 등 (2007) 구조물 성능기반 화재거동 해석 및 설계 기술 연구(I),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hoi, S.K., et al. (2007) An Advanced Study on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of Structures in Fire(I), Report No. KICT 2007-067, KICT, Korea (in Korean). 

  2. 국가기술표준원 (2014) 건축 부재의 내화 시험방법- 기둥의 성능 조건(KS F 2257-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4) Methods of Fire Resistance of Test for Elements of Building Construction-Specific Requirements for Columns (KS F 2257-7) (in Korean). 

  3.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CEN) (2005) Eurocode 3: Design of Steel Structures - Part 1-2: General Rules - Structural Fire Design, Brussels. 

  4.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AISC) (2010) Specification for Structural Steel Buildings(ANSI/AISC 360-10), Chicago. 

  5. Franssen, J.M., Schleich, J.B., and Cajot, L.G. (1995) A Simple Model for the Fire Resistance of Axially-Loaded Members According to Eurocode 3,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35, No.1, pp.49-69. 

  6. Takagi, J. and Deierlein, G.G. (2007) Strength Design Criteria for Steel Members at Elevated Temperature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63, No.8, pp.1036-1050. 

  7. Franssen, J.M., Schleich, J.B., Cajot, L.G., and Azpiazu, W. (1996) A simple Model for the Fire Resistance of Axially Loaded Members - Comparison with Experimental Result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37, No.3, pp.175-204. 

  8. European Convention for Constructional Steelwork (ECCS) Technical Committee 8 - Structural Stability (1984) Ultimate Limit State Calculation of Sway Frames with Rigid Joints, ECCS, Brussels. 

  9. 국가기술표준원 (2013) 열간 압연 형강의 모양, 치수, 무게 및 그 허용차(KS D 3502).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3) Dimention, mass and permissible variations of hot rolled steel sections(KS D 3502) (in Korean). 

  10.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CEN) (2005) Eurocode 3: Design of Steel Structures - Part 1-1: General Rules and Rules for Buildings, Brussels. 

  11. Dassault Systemes (2012) Abaqus Analysis User's Manual - Volume IV: Elements, France. 

  12. Azpiazu, W. and Unanue, J.A. (1993) Buckling Curves of Hot Rolled H Steel Sections Submitted to Fire, Report No. 97. 798-2-ME/V, LABEIN, Spai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