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 미장센 특성 연구 - 러시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A Peculiarity of Mise-en-scene Found in Animation :Focused on Russian Animation 원문보기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no.44, 2016년, pp.1 - 31  

김미르나래 (공주대학교 만화학과) ,  민준일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애니메이션이 비교적 긴 시간 동안 하나의 예술 장르로서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음에도, 예술 장르로서의 애니메이션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은 같은 뿌리를 둔 또 하나의 영상 예술인 영화에 비하면 아직까지도 개선을 요구하는 부분이 많다. 영화 이론이 대중에게 영화를 예술의 한 장르로서 각인하는데 밑거름이 된 것을 생각하면, 애니메이션 이론도 폭넓게 연구되어야 하며 애니메이션 미학에서 스크린의 비중이 높은 만큼 시각적 특징에 집중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 관한 관심은 당연하다. 미장센은 시각적 요소들이 작품의 주제를 내보이는데 의의를 두며 용어가 쓰이는 예술 분야마다 약간의 의미 차이를 갖는다. 영화 비평에서 시작된 미장센은 미학 표현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나, 영화, 연극, 뮤지컬, 애니메이션 등 영상 및 무대 예술을 넘어 회화나 게임, 패션 등의 예술과 문화 분야에서도 거론되면서 분야별 미장센의 의미에 관한 의견이 분분하며 그 개념이 달리 쓰이거나 확장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이 자리 잡기 위한 방안으로 미학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미장센'에 중점을 두어 애니메이션의 표면적 예술성에 대해 연구한다. 연구 방법으로 미장센을 하나의 미학 이론으로 확립한 영화와 용어가 처음 쓰인 연극의 매체 특성을 비교해 두 매체의 미장센 특징을 찾고, 이를 애니메이션에 대입하여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서 프레임의 시각적 요소가 작가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표출한다는 것을 밝히기 위해 제한된 환경에서 만들어진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을 살핀다. 위와 함께, 상업 애니메이션이 특정 집단의 기호에 맞춰 제작된 것을 감안하여 소비에트의 지원 아래 제작된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실험적인 제작 방식과 그에 따른 독창적인 미장센을 분석한다. 작품의 소재를 자국의 민담에서 찾은 러시아 애니메이션이 이를 오페라와 발레의 공연 양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공간 표현, 무거운 동화(Inbetweens), 라이브 액션 활용 등의 미장센으로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독특한 미학적 세계를 구축한 점을 염두에 두고, 작품의 주제나 작가 의견이 어떠한 외적 장치를 통해 미장센으로 드러나는지 확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thesis, the movie with mise-en-scene established was compared with the peculiarity of the play that is the etymological source of the term to identify the peculiarity of mise-en-scene which was substituted into animation to find the peculiarity of mise-en-scene in animation. To emphasiz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장센에 관한 국내 애니메이션 연구 결과를 살펴본 바에 의하면, 작품별 미장센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애니메이션에서 미장센의 특징을 밝히는 연구 결과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연구자는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장센의 개념이 확립된 영화 이론에서 거론되는 영화 미장센의 특징과 미장센이란 단어가 처음 쓰인 연극 미장센의 특징을 애니메이션과 비교 연구함으로써 애니메이션 내에서 미장센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상업 애니메이션이 특정 대상의 소비 욕구를 충족하는 작품을 만들고자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실험성이 적지 않게 배제된 점을 감안하여, 작품에 배치된 시각적 예술성이 작가의 의견과 직결(直結)되는 작품을 연구하고자 작가주의 애니메이션을 사례로 애니메이션 미장센에 대해 살피고자 한다. 그중에서도 상업성이 옅은 러시아 사회주의 애니메이션이 표본 집단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소비에트 예술 체제 아래 창작된 러시아 애니메이션을 통해 애니메이션 미장센을 살피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앞서 말한 대로 대중예술로서 애니메이션이 자리 잡기 위해 좀 더 많은 애니메이션의 미학적 연구가 필요한 바,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특징이 두드러지는 '미장센(장면화, mise-en-scene)'에 중점을 두고 애니메이션의 표면적 예술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비평이론으로 개념이 확립된 영화 미장센과 어원이 되는 연극 미장센을 통해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의미를 살피고, 각 매체의 특징을 비교해 애니메이션 미장센의 특징과 애니메이션에서 미장센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프레임 내의 시각적 요소와 작가의 의견과의 상관관계를 살피기 위해서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미장센을 분석해보았다.
  • 이는 소비에트의 해체로 재정 위기를 맞은 러시아 애니메이션이 스튜디오의 해체나 제작의 무기한 지연 등으로 활발한 창작 활동이 줄어든 점과 비교된다. 이러한 배경으로 러시아 혁명 이후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의 종류와 수가 상당하기에 러시아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나는 미장센의 특징을 찾기 위한 연구 대상을 세 가지 기준에 맞춰 제한하고자 한다.
  • ‘제작 방식’에 따라 연극과 영화의 특징을 망라하는 애니메이션의 특징은 감독의 의견을 시각적으로 ‘창조’해내는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함께 미장센 분석에서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애니메이션 제작 방식을 기준으로 1차적 관점과 2차적 관점에 따른 적절한 분석요소를 설정하고, 작품의 제작 방식과 잇따른 특징이 작품에서 어떤 미장센으로 갖춰지는지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앞선 기준과 작가 및 작품 정보 등을 통해 화면에서 얻어지는 시각적 장치들의 역할을 복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애니메이션 특징에 따른 적절한 미장센 분석 방법이 될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극과 영화 공통의 중요 요소는 무엇인가? 표현 양식의 차이에도 연극과 영화는 희곡(스토리), 배우, 관객, 무대(극장)이라는 공통의 중요 요소를 갖는다. 문화 및 오락에서 연극이 지니고 있던 파이를 영화가 나눠 가짐으로써, 영화의 등장 이래 제1의 예술인 연극과 제7의 예술인 영화는 미술사 조에 따른 비평과 분석을 받는다.
미장센이란 무엇인가? 미장센은 무대 배치를 의미하는 프랑스의 연극 용어로 시각적인 요소를 연출하고, 구성하며 촬영하는 방법을 말한다. 영화 이론에서는 일찍이 1950년대 누벨바그 운동4)에 영향을 준 영화 비평지, <까이에 뒤 시네마(Cahiers du Cinema)>에서 당시 영화 비평의 주요 쟁점이었던 몽타주 이론에 대비되는 미학적 개념으로 미장센을 제시하였다.
이철우와 유인경의 저서에서 말한 연극과 영화의 차이 세 가지는 무엇인가? 첫째, ‘기록’된 영상과 ‘실제로 행하여지는 ’연극의 관점에서 비롯된 현장성의 유무다. 그들은 모든 제작이 끝난 상태에서 상영되어 화면 속 배우와 관객 사이의 직접적인 소통이 없는 영상의 한계를9) 지적한다. 반면, 배상준은 무대의 현장성이 관객의 반응 유도와 배우와 관객 사이의 소통이라는 장점을 차지하지만 매 공연이 라이브이기 때문에 동일 배우가 같은 대사를 통해 같은 연기를 하더라도 실제로 똑같은 공연은 있을 수 없다고 말 한다. 연극의 1회적이라는 한계를 살필 수 있는 부분이다.10) 둘째, 연극의 관객은 자기가 앉아 있는 위치에서 무대 전체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일부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영상은 카메라의 시점에 따라 대상을 본다.11) 셋째, 연극은 일정한 장소 내에서 진행되어 공연 도중 갑자기 장소를 전환하는 일은 불가능하며 연극의 진행 시간은 물리적 시간과 일치하는 반면에, 영상에서 장면 전환이나 시간의 비약, 장면의 반복 등의 표현은 매우 자유롭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석만,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연출, 풀빛, 2013. 

  2. 김윤아, 예술로서의 애니메이션, 일지사, 2010. 

  3. 데이비드 보드웰 . 크리스틴 톰슨, 주진숙 외 역, 영화 예술, 지필미디어, 2011. 

  4. 루이스 자네티, 박만준 외 역, 영화의 이해, K-books, 1995. 

  5. 모린 퍼니스, 한창완 외 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 2001. 

  6. 배상준, 영화예술학입문,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7. 배상준, 유럽 애니메이션 대표작가 24인, 쿠북, 2006. 

  8. 뱅상 아미엘, 곽동준 외 역, 몽타주의 미학, 동문선, 2009. 

  9. 베르나르 제넹, 윤락로 역, 애니메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10. 스티븐 디 캐츠, 김학순 역, 영화연출론, 시공사, 1998. 

  11. 오노 고세이, 김준양 역, 상상에 숨을 불어넣다, 나비장책, 2006. 

  12. 이철우.유인경, 연극 영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3. 

  13. 존 할라스, 황선길 역, 세계 애니메이션 작가와 작품, 범우사, 2002. 

  14. 토마스 소벅.비비안.C 소벅, 주창규, 영화란 무엇인가, 거름, 1998. 

  15. 피에르 소르랭, 이선형 역, 영상예술미학, 동문선, 2009. 

  16. 한옥근, 연극의 이해, 국학자료원, 1998. 

  17. 허버트 리드, 박용숙 역, 예술의 의미, 문예출판사, 1985. 

  18. 황의웅, 나치독일의 기술로 색깔 입은 소련의 망아지, 돌도래, 2013. 

  19. 나기용, "유리 놀슈테인의 애니메이션이야기속의 이야기의 詩的 이미지 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1999). 

  20. 함종호, "페인트 온 글라스(Paint on Glass)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에 관한 연구 : 작품 '금강'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1. 공덕외, 중국 문화대혁명 시기의 애니메이션과 모범극의 상광관계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4, pp.71-80. 

  22. 금보상, 애니메이션, 실사영화, 디지털영화의 프레임과 미장센 특성 비교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 11호(2007), pp.41-53. 

  23. 이태구 . 이화세, 애니메이션 미장센 분석,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 18호(2008), pp.153-162. 

  24. 이혜승, 1960-1980년대 초반 사회, 문화적 상황과 관련해 본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변화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 15호 (2009), pp.29-47. 

  25. Russell, R..Starr, E., Experimental Animation, Da Capo. press, 1988. 

  26. Caro, A. M., "Cinematic poetry: a study of Yuri Norstein's Tale of Tales", The National Film And Television School Master's Thesis, UK, 2012. 

  27. Laurila, H. J., "Envisioning the City: Moscow in the Mind and on Film", Lane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Atlanta, USA, 2012. 

  28.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com, 검색어 : 누벨바그, 플립 북애니메이션, 샌드 애니메이션, 페레스트로이카, 문화대혁명, 멀티플레인 카메라, 컷 아웃 애니메이션, 셀 애니메이션, 2015. 08. 

  29.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 검색어 : 알렉산더 알렉세예프, 클레어 파커, 유리 놀스테인, 알렉산더 페트로프, 2015.08. 

  30. 전자잡지 매거진 애니메이툰, http://olv.moazine.com 

  31. 나의 사랑(My Love, 2006) 

  32. 노인과 바다(The Old Man and The Sea, 1999) 

  33. 민둥산의 밤(Night on Bald Mountain, 1933) 

  34. 세 가지 테마(Three Themes, 1980) 

  35. 소(The Cow, 1989) 

  36. 안개속의 고슴도치(Hedgehog In The Fog, 1975) 

  37. 어리석은 자의 꿈(The Dream Of A Ridiculous Man. 1992) 

  38. 여우와 산토끼(The Fox and the Hare, 1973) 

  39. 왜가리와 학(The Heron and Crane, 1974) 

  40. 이야기 속의 이야기(Tales Of Tales, 1979) 

  41. 인어(The Mermaid, 1997) 

  42. 코(The Nose, 196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